DOI QR코드

DOI QR Code

Semiotic Approaches to New Archival Methodology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 이영남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
  • 조민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Received : 2014.06.28
  • Accepted : 2014.07.21
  • Published : 2014.07.30

Abstract

For the p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ctive seeking of archival practices outside of public institutions. For example, there is oral history archive which has an actual field of its own, community archive, archives of everyday life, cultural resources archive, digital archive, and post-modern archive with its discourse practical character. In this reading, such flow is organized through everyday paradigm, and examines new archival methodology that is suitable for it. Through such critical mind, semiotic approach is taken and the need, direction and alternative of archival methodology is offered. Especially, archival methodology, which can be applied to archives is thoroughly observed. Also, the way how sign practices can be executed in the archival field is explained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course, it is clearly stated that this is an instance, and that it is an archival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institutions. We hope this would be a discuss that would enabl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cords.

최근 몇 년 동안 공공기관 외부에서 다양한 기록실천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장을 가지고 진행되는 구술아카이브, 커뮤니티아카이브, 일상아카이브, 문화자원아카이브, 디지털아카이브 등이나 담론 실천적 성격의 포스트모더니즘 아카이브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런 흐름을 '일상패러다임'으로 정리한 후, 여기에 적합한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살펴보았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호론적 접근을 취하면서 기록방법론의 필요성과 방향,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기록에 적용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록현장에서 기호실천이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지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물론 이것은 하나의 사례라는 점, 그리고 공공기관에도 적용될 수 있는 기록방법론이라는 점을 밝혀둔다. 기록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논의가 되기를 바란다.

Keywords

Cited by

  1. '개념적 구성물로서의 기록'의 관점에서 보는 조선시대 성리학 세계관과 기록·기록관리 vol.51,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1.235
  2.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vol.53,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3.005
  3. 기록학과 교육적 관점 기록향연, 몇 가지 단상 vol.57,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8.57.165
  4. 일상생활과 기록 vol.63,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67
  5.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vol.66,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20.66.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