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re for Diverse Children

다양한 유아에게 적합한 보육실천 현황 및 발전방안 : 장애유아, 다문화유아, 영아 및 시간연장필요 유아

  • 정정희 (경북대학교 아동학부) ;
  • 최효정 (포항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배재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02.15
  • Accepted : 2014.04.24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pluralistic society, the needs of educare are also more diversified in terms of edu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lti-cultural background, infant-toddlers, and children who need time extended care. Recently, as the interest in these vulnerable areas is increased, providing quality child-care services have become mo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es, issues, research trends and suggeste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child care services for disabilities, multi-cultural, infant care, and time extended car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development in the future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집에서의 다양한 유아를 위한 보육(장애아보육, 다문화가정 유아보육, 영아보육, 시간연장형보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아 보육과 통합보육 및 다문화가정 보육과 영아 보육의 현황 및 정책과 이에 따른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본 후, 문제점 및 개선점을 제시하고,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초자료 제공 및 관련 논의를 통해 장애아 보육과 특수보육 등의 다양한 보육 대상자를 위한 포괄적 서비스 제공을 도모함으로써 보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김매희, 이경희, 정정옥(2000). 야간 및 24시간 보육실태 및 요구도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2, 27-56.
  2. 강미라(2007).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의 교육진단.평가 실제와 지역사회 협력에 관한 현황.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8(2), 1-29.
  3. 강민정(2008). 다문화 내용의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다문화에 대한 태도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곽승주(2011). 24시간 다문화보육시설의 존재와 운영의 의미에 대한 이해: 시설장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5(1), 417-442.
  5. 교육인적자원부(2007).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및 통합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김남순(2005).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통합정책 분석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3), 255-277.
  7. 김민석(2010).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병순(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8, 98-138.
  9. 김성애(2007).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통합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통합교육연구, 2(2), 1-25.
  10. 김소영(2010).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보육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영숙(2008). 장애아보육정책에 따른 '장애아보육전문가(교사)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9(4), 311-328.
  12. 김영지(2009). 시간연장보육프로그램 실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옥주, 조혜진(2010).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93-209.
  14. 김용욱, 백운찬, 류종열, 김관주(2010).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장애아동전담보육시설 종사자 및 보호자의 인식과 실천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4(4), 85-104.
  15. 김유진(2003). 영아의 안정애착 유발요인 연구. 아동복지연구, 2(2), 1-15.
  16. 김윤숙, 조희숙(2011). 영아 초기적응 과정에서의 교사-영아, 교사-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1(6), 121-146.
  17. 김정희, 이경아, 서화숙, 최현진(2004). 특수(시간연장형)보육 수요조사 및 정책 대안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18. 김채린(2012). 시간연장보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요구조사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김현주(2013). 영아교사 관련 주제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401-419.
  20. 김혜숙(2008). 어린이집 생활주제와 통합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남상순, 최외선(2007). 장애아동 전담보육시설 이용자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8(4), 209-227.
  22. 대한민국정부(2011).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
  23. 박재국, 강대욱(2004). 장애유아 보육실태 및 발전방안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6(1), 37-58.
  24. 박형신, 이나영(2011).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음악활동에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다문화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10.
  25. 방소영, 황혜정(2011).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수용.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7), 51-66.
  26. 배재정(2011). 교사가 지각한 유아 다문화교육의 내용. 유아교육연구, 31(4), 143-163.
  27. 백운찬, 김관주, 조윤경(2011). 장애아동 전담 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정체성 인식 및 미래지향방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4), 385-411.
  28. 백은주, 한선아, 강민정(2011). 영아기 자녀 양육을 위한 육아지원서비스 이용 및 선호유형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209-232.
  29. 보건복지부(2008).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30. 보건복지부(2009).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31. 보건복지부(2010).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32. 보건복지부(2011).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33. 보건복지부(2012).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34. 보건복지부(2013).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35. 보건복지부(2014). 2013년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36.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2). 시간연장보육 이용 실태 및 수요조사. 보건복지부 보육사업 기획과.
  37. 서문희, 양미선(2013). 시간연장보육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59-276.
  38. 서문희, 양미선, 권미경, 김혜진(2011).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 방안. 보건복지부.
  39. 서문희, 양미선, 조혜주, 정은미(2011).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 및 지원 실태와 요구. 육아정책연구소.
  40. 서원경(2006). 야간보육교사의 애착에 대한 인식 및 상호작용변화에 따른 영아와의 애착증진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213-247.
  41. 서원경, 최석란(2005).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42, 253-277.
  42. 서 현, 윤경아(2012). 시간연장 보육을 받는 유아의 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5), 347-373.
  43. 송효연(2009).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간 놀이상호작용.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4. 오성배(2006).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45. 유해미, 서문희, 한유미, 김문정(2011). 영아 양육비용 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향-양육수당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46. 윤갑정, 고은경(2006). 다문화적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47. 윤문숙(2004). 유치원 반편견 교육활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이금주(2010). 장애유아 통합교육 운영 및 지원실태 조사 연구: 인천광역시 공.사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이명주, 유연옥(2011).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재원경험에 따른 2세 영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2), 1-20.
  50. 이선미, 송지연(2008).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 신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185-214.
  51. 이소현(2005).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277-305.
  52. 이수련(2011).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련 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32(6), 1-14.
  53. 이순배(2009). 영아보육과 여성의 사회참여 및 출산장려의 관계. 한국지역혁신논집, 4(2), 57-78.
  54. 이승기, 조윤경, 이계윤(2008). 장애아보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정비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55. 이정원(2013). 가정양육지원의 영향과 나아갈 방향-제 2차육아지원정책포럼-. 육아정책연구소.
  56. 이진희, 임진형(2004).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요구분석. 한국보육학회지, 4(2), 193-215.
  57. 이현미(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8. 전재영(2011). 다문화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적 접근. 초등도덕교육, 35, 29-54.
  59. 정병오(2011). 장애아동의 보육실태와 보육시설 선택요인. 한국보육학회지, 11(1), 75-101.
  60.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61. 정은희, 김태강, 박윤(201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과 진단.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특수아동교육연구, 14(3), 113-141.
  62. 정정희(2006). 대구경북지역 결혼이주여성 자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구경북연구원 연구보고서.
  63. 정정희, 이효림(2013) 유아교육기관 문화적 역량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5-33.
  64. 정정희, 이효림(2014). 유아교육기관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4(1), 251-273.
  65. 정희영(2009). 보육시설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육실태와 정책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정책과 관리, 3(2), 3-34.
  66. 조윤경(2009). 장애 관련법을 통해 본 장애아 보육의 질적 제고 방안 모색. 특수교육, 8(1), 163-183.
  67. 조윤경(2010). 장애유아 통합 중심 교과목 구성에 대한 고찰: 통합 실행교사평정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9(2), 5-29.
  68. 조재규(2012). 장애영유아 부모의 보육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지원 욕구. 발달장애연구 16(1), 49-73.
  69. 조혜진(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70. 차순호(2011). 장애전담 보육시설환경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1. 최인수, 송미연(2002). 24시간 어린이집 야간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5, 157-175.
  72. 최지현, 권경숙(2012). 미혼 초임교사의 영아반 적응과정 탐색. 육아지원연구, 7(2), 75-102.
  73. 최진화(2010). 시간연장 가정보육시설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김해시를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4. 탁정화, 황해익(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75. 한민경(2013). 효율적인 유아통합교육 실행방략.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6. 현정환(2010). 다문화 가정 유아 보육의 지원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적 연구. 아동학회지, 31(1), 235-248 .
  77. 형근혜, 허기, 홍혜경(2014). 놀이게임 과정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와의 상호작용 탐색-배트남 다문화 가정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1(1), 115-138.
  78. 홍영숙(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9. 황옥경(2013). 영아 무상보육 정책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81-100.
  80. Cardona, C., M.(2009). Current trends in special education in Spain: Do they reflect legislative mandates of inclus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pecial Education, 10(1), 4-10.

Cited by

  1. The Needs of Language Developmental Supporters to Serve Children With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in Korea vol.26, pp.1, 2014, https://doi.org/10.15724/jslhd.2017.2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