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2005년도 춘계 KOSCO전(2005. 5. 7-5. 11, 숙명여자대학교)
- 운평어문연구소 편 (2002),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p. 168.
-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4.
-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6.
- 운평어문연구소 편 (2002), 뉴에이스 국어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p. 1884.
- 김민수 (2003), 건축에서 재현의 의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2.
-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서울: 통천문화사, p. 1.
- 봉현숙, 이상은 (2000), TV사극드라마 의상의 고증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3, pp. 113-136;
- 김경실 (2002), 조선시대 연화대무 동기복식 고증 및 재현, 복식, 52(6), pp. 1-13
- 이태옥, 윤현진, 조우현 (2005), 악학궤범의 처용무복식 고증제작,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pp. 1-13
- 한은희 (2005), 명성황후가 등장하는 TV사극에 나타난 의상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20
- 김문자 (2006), 춘향전에 등장하는 주요 여자복식 고증연구, 韓服文化, 9(2), pp. 41-58
- 이은주, 박가영 (2007), 조선시대 궁중의례 재현행사를 위한 고증복식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궁중의례 재현사업을 중심으로, 韓服文化, 10(1), pp. 115-127
- 이영혜 (2010), 2000년대 대중문화와 사극의상-TV드라마.영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63
- 손윤혜 (2012), 조선후기 왕세자 입학례 복식 고증,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28
- 곽경희 (2013), 조선시대 후기 궁중 어린이복식에 관한 연구 및 재현: 영친왕 일가 중 진왕자와 구왕자의 유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16
- 박정식 (1989), 텔레비전 드라마 원효대사의 고증과 실제: 복식 중심, 배화논총, 8, pp. 51-101
- 김영재 (2000), 왕회도에 나타난 우리나라 삼국사신의 복식, 韓服文化, 3(1), pp. 17-25
- 박현정 (2000), 고구려 수산리벽화 남자주인 포 고증제작을 위한 실험적 연구, 韓服文化, 3(3), pp. 95-104
- 박가영 (2001), 고구려 갑주의 고증제작, 韓服文化, 4(1), pp. 73-87
- 정희정 (2003), 고구려고분벽화에 나타난 여자 복식의 고증제작 연구 -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7
- 조우현 외 (2007), 대가야복식: 1500년만의 화려한 외출, 서울: 민속원, pp. 1-270
- 최해율 (2008), 고려 초중기 기녀의 고증복식 캐릭터 연구, 복식, 58(7), pp. 151-163
- 최정 (2010), 원의 진주 장식방법 및 고려 후기 제국 대장공주의 진주의 형태 고증연구, 복식, 60(6), pp. 48-61
- 김문자 (2011), 서동설화에 등장하는 주요인물복식고증, 복식, 61(7), pp. 135-151.
- 최정 (2011), 황성동 출토 여성토우의 복식고증과 돌코스튬 응용디자인 연구, 복식, 61(7), pp. 67-79
- 권수현 (2008), 고구려 복식의 고증을 기초로 한 구체관절인형복의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43
- 한국복식학회, 한성백제박물관 편 (2012), 이천년의 고도, 우리옷의 재발견 2012 KOSCO Costume Exhibition, 서울: 한국복식학회, p. 71.
- 서울대학교 박물관 편 (2000), 역사와 의식, 고구려의 숨결을 찾아서, pp. 10-17
- 한복문화학회 (2001), 한국의상전 -고구려고분벽화 복식, pp. 16-75
- 특별기획전 고구려! 행사추진위원회 편 (2002), 특별기획전 고구려!, pp. 160-169
- 한복문화학회 (2003), 한국민족복축제, pp. 16-27
- 고려대학교박물관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서울: 통천문화사, pp. 358-361
- (사)한국궁중복식연구원 편 (2008), 궁중복식 儀禮美-하늘과 땅을 품은 옷-, pp. 14-15, pp. 18-20.
- 임현숙 (2009), 고구려복식재현을 위한 장식문양 연구-고구려 복식관 실행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1, pp. 94-106.
-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201-205.
-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 유적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6-17.
- 정완진 (200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복식문화, 한국의 복식문화사, 蘭斯石宙善관장 10주기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서울: 학연문화사, pp. 324-330.
- 정완진 (200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복식문화, 한국의 복식문화사, 蘭斯石宙善관장 10주기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서울: 학연문화사, pp. 331-333.
- 隋書, 卷81, 列傳, 第46 東夷, 高麗, "婦人裙襦加襈"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二, p. 124.)
- 北史, 卷94, 列傳, 第82, 高句麗. "婦人裙襦加襈."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二, p. 42.)
- 周書, 卷49, 列傳, 第41, 高麗, "婦人服裙襦, 裾袖皆爲襈." (국사편찬위원회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譯註一, p. 596.)
-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5.
-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9-100.
- 홍정민 (2001), 고구려 고분벽화의 복식에 관한 연구-장천1호분, 삼실총 벽화를 중심으로-, 韓服文化, 4(3), p. 47.
-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 정완진 (2003),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5.
- KBS 한국방송공사 편 (1998), "영상복원-무용총 고구려가 살아난다", 역사스페셜 10월 17일 방송분, CD-ROM
- KBS 한국방송공사 편 (2000), "북녘 땅 고구려 고분벽화, 무엇을 그렸나?", 역사스페셜 6월 17일 방송분, CD-ROM
- KBS 한국방송공사 편(2002), "월드컵 특별기획 역사스페셜 제 2편, - 고분벽화, 되살아나는 고구려", 역사스페셜 6월 8일 방송분, CD-ROM.
- 朝鮮画報社편 (1986), 高句麗古墳壁畵, 日本東京: 朝鮮画報社, pp. 17-264
-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71-238.
- 황욱 (1958), 안악 제3호분 발굴보고, 평양: 과학원출판사, pp. 25-32.
- 최몽룡 (2000), 흙과 인류, 서울: 도서출판 주류성, pp. 145-149.
-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94-203.
-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171-238
- 박일록 (2004), 한국 견의 역사학적 연구, 서울: 경춘사, pp. 97-119
-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8.
-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199.
- 新羅本紀, 第十一, 景文王, 九年, 秋七月, ...大花魚牙錦一十匹. 小花魚牙錦一十匹. 朝霞錦二十匹. 四十升白疊毛布四十匹. 三十升紵衫段四十匹..., (김부식 (2005), 삼국사기(제 8 개정판), 이병도 역, 서울: 을유문화사, p. 302.)
- 김소현 (2003), 실크로드의 복식 호복, 서울: 민속원, pp. 52-53.
-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7-19.
- 한경순 (2003), 高句麗古墳壁畵와 古代유럽壁畵의 比較硏究-壁畵製作技術을 中心으로-, 高句麗硏究 16권, pp. 217-239.
- 안병찬 (2003), 高句麗古墳壁畵의 製作技法硏究-바탕벽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高句麗硏究, 16, pp. 457-473.
- 이호정, 조우현 (2012), 기산풍속화를 통하여 본 한국근대복식 고찰, 복식, 62(4), p. 23.
- 자료조사일: 2013. 6. 29, http://www.dychemi.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186785501&category=001002
- 지미화 (2006), 高句麗古墳壁畵의 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4-85.
-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p. 221-223.
- 정완진 외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 서울: 고구려연구재단, p. 220.
- 박성실, 박지선 (2008), 대체전시용 복식유물의 제작을 위한 제안, 복식, 58(5), p.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