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구려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고구려의 관복 제도

  • 정완진;남윤자;조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28
    • /
    • 2004
  • 본 연구는 문헌사료와 고분벽화를 토대로 고구려 관복 제도의 변천과정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의 관복 제도를 살펴보면 의복은 유고제를 유지했으며 관등 고하에 따른 유고의 색채나 소재상의 규제는 보이지 않는다. 신분표시의 기능은 주로 관모가 담당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문헌에 나타난 3세기-7세기까지의 고구려 관모 제도를 고분벽화를 참조하며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략)

  • PDF

A Re-examination the study on the Gogureoy Geomungo (고구려 거문고 연구 재검토)

  • Choi, Heo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2
    • /
    • pp.701-738
    • /
    • 2016
  • The Geomungo(거문고) is a instrument of Gogureoy(高句麗). The instrument had covered a lot of Korea, so it have become a important musical instrument in Korea. Hayasi Genjo(林謙三), Japanese scholar, had maintained his opinion that the Geomungo of Gogureoy is the Wagonghu(臥??), and the Geomungo was formed later, the record of Kimbusik, wrighter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三國史記), was incredible. Lee-Hyegu refuted his hypothesis because the introduction on the Wagonghu of Japan have been inaccurate. Since then, many scholars of Korea have studed on the Geomungo of Gogureoy. But their study of the Geomungo was inclined to the topic, relation of the Geomungo and the Wagonghu, or the Wagonghu, the origin of the Geomungo. And They have thought that the record of Kimbusik's was truth. Kimbusik had recorded that Wangsanak(王山岳) had made the Geomungo from the Chilheoyn-Geum(七絃琴, Seven stringed Zither. 古琴). But the Geomungo was different from Geum(琴), but similar to Wagonghu. Many ancient tomb have been unearthed in the old land of Gogureoy, and the were many tomb painting of Gogureoy Geomungo. They were many different style, the form, the size, the number of strings and the position of the musician. So I think that many various type of the Geomungo had been exsited in Gogureoy they had become a prestyle of the Geomungo. The Geomungo was originated from the Wagonghu, its form was similar to the Geomungo. The many scholars considered that it is truth, the Wagonghu was handed down from China, and was spreded to Japan. But there were the Wagonghu in the early Joseon(古朝鮮), The song of the early Joseon, Gongmudohaga(公無渡河歌). The song was accompanied by the Wagonghu. We can read off, at the Song, the Wagonghu had exsisted in the early Joseon. So I think cautiously on that point, the Wagonghu of the Early Joseon was old than that of China, and thd Geomungo of Gogureoy was originated from the Wagonghu of the Early Joseon.

On the Studies of Koguryo Archaeology in North Korea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 Kang, Hyunsoo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1
    • /
    • pp.106-125
    • /
    • 2020
  • From 1949 to the present day, many Koguryo sites have been excavated, in North Korea. It can also be said that archaeological surveys and studies in North Korea have triggered Koguryo archae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However, since the 1990s, the excavation of Koguryo sites and archaeological research in North Korea has been carried out as an extension of Daedonggang culture. Therefore, these archaeological surveys focused on the Pyongyang and more general northwestern areas of North Korea, and the conclusion was that Koguryo was a powerful nation with a millennium-long history inherited Gojoseon. Beginning in 1945 in North Korea, the archaeological surveys and related systems were organized, and burial mounds, castles, and city remains were excavated under the idea that Koguryo was a millennium-long, strong nation. In addition, archaeolog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validate and confirm this belief. On the notion that Koguryo was founded in 277 BCE, it was insisted that the age of the tombs in Pyongyang was increased and Pyongyang took the position as a Vice Capital in the 4th Century. Recently an excavation of the castle located in Pyongyang supports the idea that Koguryo inherited Gojoseon on a layered basis. However, the archaeological and conceptual grounds for the founding of Koguryo in the 3rd Century BCE or the succession of Gojoseon and Koguryo were insufficient. As can be seen from the re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s of the Dongmyung and Dangun, the archaeological surveys in North Korea were criticized for their selective discoveries and arbitrary interpretations. This further supports the necessity for joint excavations and academic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3D Mobile Management Simulation Game (모바일 환경 기반의 3D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의 제작)

  • Kim, Jin-Young;Kim, Yun-Jun;Kim, Ji-Youn;Song, Ji-Hyun;Oh, Kyoung-S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41-1347
    • /
    • 2006
  • 기존의 모바일 게임의 경우에는 간단한 스토리를 갖는 2D 게임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PC 에서만 가능하다고 여겨지던 3D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모바일에 접목해 보고자 하였다. 시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간편성과 이동성을 가진 모바일 게임의 장점을 살리며 3D 게임의 현실감, 시뮬레이션 게임의 재미를 모두 가질 수 있는 게임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게임의 기본적인 줄거리에는 고구려의 역사적 사건을 넣어서 게임을 하면서 고구려의 역사를 직접 느껴보도록 하였다. 세금의 단위나 정책에 관한 내용은 고구려의 실제 역사적 내용을 따랐으며 게임의 중간 중간에 시행되는 고구려의 정책 결정 과정을 통하여 고구려 왕의 생각과 흐름을 느끼도록 하였다. 게이머는 왕을 보조하는 입장에서 고구려의 정책을 간언할 수 있으며 왕의 정책을 지지할 수도, 반대할 수도 있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 왕도 변화하며 왕족의 계도도 고구려의 수순을 따르며, 왕의 역사적인 주요 정책도 게임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적용된다. 이로써 단순한 도시 경영이 주 테마가 아닌 고구려의 역사적 배경을 자연스럽게 삽입한 게임을 제작함으로써 게임의 사실성을 높였으며 한국적인 그래픽과 음악을 삽입하여 통적인 감각을 살렸다. 전본 논문에서는 3D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한고을]의 전체적인 구성과 본 게임의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있다. 본 게임 개발의 가장 큰 목적은 모바일 기반의 3D게임 개발을 통한 사실적인 게임을 제작하고 탄탄한 스토리를 가진 게임 제작이다. 그러나 역사적인 내용을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으로 교육적인 효과도 있었다. 이 게임개발을 계기로 하여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컨텐츠 시장에서도 컨텐츠의 수가 아닌 질적인 증가가 이루어 졌으면 하는 바램을 가진다.

  • PDF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System for Gogurye Ancient Tomb Mural (고구려 고분벽화를 소재로 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 Lee, Yong-Hwan;Lee, YuKyong;Cho, Han-Jin;Lee, June-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4 no.4
    • /
    • pp.13-19
    • /
    • 2013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an educational virtual system which can experience Goguryeo tomb murals in the virtual world. Goguryeo tomb murals are well known in the world, and they are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by the value Acknowledged worldwide. We design an user-friendly interface for Goguryeo tome murals by Flash, and make a modelling and rendering with 3D Max. In addition, we create an educational animation with Adobe Premiere. We choose some of items such as Goguryeo tomb murals, historical sites, high-level description of periodization, Goguryeo's clothes, home, play as sub-themes, and we develop a system with detailed views and informations for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of Goguryeo.

Koguryo's Buddhist Relations with Silla in the Sixth Century - Focusing on Koguryo's Role in Transmitting the State Buddhism of Northern Wei to Silla

  • Mohan, Pankaj 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9
    • /
    • pp.47-80
    • /
    • 2005
  • 고구려는 지리적인 조건으로 말미암아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불교를 수용할 수 있었으며 5세기부터 7세기사이에 고구려의 불교문화가 백제, 신라와 고대 일본에 전해져 동아시아 전체에 보급되었다. 불교 전래 당시부터 고구려 왕실이 열성적으로 불교를 신봉한 일은 충분히 주목할 가치가 있는데, 왜냐하면 중앙 집권적 국가로 전환을 시도하던 때 마침 불교의 사회적 정치적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와 왕권이 상호 관계를 강화하는 쪽으로 힘을 결집시켰는데, 왕실은 불교에 대해서 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불교는 전륜성왕, 혹은 우주를 지배하는 자, 미륵 그리고 보살 등 모티브의 상징적 중요성을 통치자에게까지 확대시킴으로써 통치자의 지위를 신성시하는 이념적 기틀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불교를 받아들인 후에 세워진 비문들이 왕명 앞에 성(聖) 자를 붙여 왕의 지위를 신성화하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4세기말 국가 차원에서 불교를 수용한 고구려와 6세기초 법흥왕 당시의 신라는 시대적인 차이가 있으나, 국가 발전의 같은 단계에 서있었기 때문에 이 두 나라의 초기 불교 정책에 많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고구려에서 거칠부와 더불어 신라로 넘어 온 혜량법사가 진흥왕 12년에 처음 개최된 백고좌강회는 《인왕경》에 입각한 것이며, 이 법회가 신라인의 사상적 통합과 진흥왕의 위업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진흥왕이 말년에 승복을 입고 법운이라는 법호를 택했는데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법운(法雲)이 《십지경》에서 말하는 보살의 수행 최종 단계 그것에서 따온 것이며, 《십지경》은 이미 고구려에 익히 알려졌을 것이었다.신라 화랑이 미륵의 현현으로 여겨졌다 함은 일찍부터 지적되어 온 것입니다만 이 논문에서, 그것은 북중국에서 5·6세기경 유행한 그리고 소미륵으로 간주된 월광동자 (月光童子)신앙이 고구려를 통해 남하여 화랑의 사상적인 바탕이 됐다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 증거로 《수라비구월광동자경》에 나타난 용어와 고대 한반도의 지명을 들 수 있는데 이 경은 고구려의 선인(仙人) 사상 및 신라의 화랑을 간접적으로 직결시킨다는 점도 염두 할 필요가 있다.

  • PDF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과 침선소품 개발에 관한 연구: 집안지역 고구려 고분을 중심으로

  • 이미석;김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30-30
    • /
    • 2004
  • 본 연구는 침선소품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집안지역의 고구려 고분벽화속에 나타난 다양한 문양들을 침선소품에 응용함으로서 우리나라 전통의 이미지와 현대적 감각을 살린 독창적인 소품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우리 문화유산속의 과학(11) - 고분벽화 "천연 광물성 재료 쓴 정상의 고구려 예술"

  • Lee, Jong-Ho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2 s.403
    • /
    • pp.30-31
    • /
    • 2002
  • 우리나라의 고분벽화는 주로 고구려 무덤에서 많이 발굴되었는데 압록강 유역과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지방에서 90여기가 발굴되었다. 삼국시대 이후 고려와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명맥만 유지해 왔다. 이 고분벽화는 종교적 내용에서 비롯하여 고구려인의 전투적 모습과 수호신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재료는 물에 녹지 않는 천연 광물성 재료들을 많이 이용했다.

  • PDF

Designing a Digital Reconstruction of Koguryo Mural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Interactive Cultural Heritage Learning (상호작용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가상현실을 이용한 고구려 벽화 복원 연구)

  • Cho Yong-Joo;Moon Hyung-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8
    • /
    • pp.1359-1365
    • /
    • 2006
  • Digital Koguryo is a virtual reality reconstruction of the Koguryo mural tumulus, Anak No. 3, designed for an interactive educational gaming and learning environment. Digital Koguryo aims at not only developing a digital recon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but also helping young students learn the living style and the custom of Koguryo Kingdom while playing the game environment. This paper describes the digital restoration process of Koguryo mural paintings and 3D structure,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virtual environment designed to get more user's interests. It then discusses a few design issues learned from the development and the public demonstration. Finally, it will presen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improve the users' imm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