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pecial Classes for the Large-scale Elementary schools in jeju

제주시 대규모 초등학교의 특별교실 실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1.10
  • Accepted : 2014.02.22
  • Published : 2014.02.25

Abstract

Education is about sharing knowledge and using techniques and skills that can person's ability. the goal is to educate and develop people as a whole. In order to achieve this educational purpose efficiently, our society has many educational courses. The educational facility which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made flexible. It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ever student can grow. Being creative, using a variety of methods should help to develop character in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chool's facilities should be future-orient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systemically about its changes and feed back according to the social demand,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changes of educational course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basic material which will be need from now on for the facility of the special classes in jeju city. Elementary schools should consider having a reasonable scale and arrangement pattern. The facility for special classes has to find a way to operate flexib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lass number.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남,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특별교실 및 지원교실 계획특성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2005
  2. 김영빈.이경선, 지속가능한 초등학교 디자인의 계획 및 개선 방향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9
  3. 김용현, 아동의 행태를 고려한 현대화 초등학교 다목적공간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 박아영외 3명, 초등학교 전용현황에 따른 학습 공간 배치 선호도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5. 배정온, 방과 후 활용을 고려한 영어학습실 공간구성 방안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 송동훈, 중소도시 초등학교 교육시설 실태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7. 이경환, 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교육인적자원부, 2001
  8. 이일권, 초등학교 새교육과정에 대비한 교사정원 및 교육시설의 적정성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9. 이은진외 4인, 사용자 의식조사에 따른 초등학교 특별교실의 계획특성 분석 및 개선방향 제시,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5,
  10. 이은창, 교육과정 대응한 초등학교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유길준.하성태, 부산시 현대화초등학교의 공간구성 특성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06
  12. 전여진외 2명, 초등학교 도서실의 구성에 대한 건축 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009
  13. 정지현외 3명, 초등학교시설 소요실 전용실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009
  14. 정진영, 초등학교 교육시설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5. 천선영.김형우, 초등학교 저학년단위학습공간의 다양화를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우수시설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7
  16. 현봉추, 저출산 시대 제주특별자치도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 수용정책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허영환.이상호, 초등학교 도서실의 배치유형과 실내 공간 규모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