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related to Relational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 오정아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남부현 (선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Oh, Jung A (Department of Children's Welfare, Chungbuk University) ;
  • Nam, Bu-Hy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un Moon University)
  • 투고 : 2014.04.05
  • 심사 : 2014.06.10
  • 발행 : 2014.06.30

초록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광역시와 군소도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들이 관계적 요인(부모, 교사, 친구)과 학교적응 요인(학교생활, 수업, 환경)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55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52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467부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학교적응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과 관계적 및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 그리고 학교생활과 수업이 진로준비성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계적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친구관계가 진로준비성과 독립성에서는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고 부모와 교사관계는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친구요인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결과이다. 셋째, 학교적응 요인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성과 준비성 그리고 독립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변인은 친구이며 학교생활이 이들의 진로준비성과 독립성 성숙에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학교 내 진로교육 강화, 동아리 활동, 그리고 진로교육연수를 통한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with five career elements(career decisiveness, goal orientation, confidenc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related to relational(parent, teacher, friend) and school adjustment (school life, instruction, environment) variables. To accomplish this, 467 collected data was passed through correlation,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 The main finding was that friend's support was highly correlated to and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tudents. School life and instruction were also highly correlated to their career preparation. Parents' and teachers' support affected their career decisiveness. Their school life w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career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tudents. Generally, friends' support and school life of the studen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middle schools need to provide more vocational education, diverse after-school activities, and teacher training to support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란혜, & 이미정. (2011).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진로태도, 직업가치관, 사회적 지지.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0(5), 941-953.
  2. 고복순, & 김영혜 (2011). 중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의식 성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2), 29-42.
  3. 교육과학기술부. (2012).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마련.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4. 교육부. (2013). 학생의 꿈과 끼를 살려 행복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계획[안]. 교육부, 공교육진흥과.
  5. 금지헌. (2012).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애착, 진로성숙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3(3), 5-26.
  6. 김나래, 마림, 김경아, & 이동귀. (2012).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4), 1799-1818.
  7. 김병숙, & 손미나. (2005). 진로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자기효능감 효과 분석, 진로교육연구, 18(2), 172-198.
  8.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2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용래. (2000). 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 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변인간의 관계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재호, & 정철영. (2006).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4), 119-137.
  11. 김진숙. (2013). 아일랜드 연계학년제(TY)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비교교육연구, 23(6), 163-183.
  12. 김충기. (2003).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학술정보.
  13. 김혜래. (2007). 중학생의 진로결정 실태와 진로성숙도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13, 51-74.
  14. 김혜래, & 이혜원 (2007).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28, 33-63.
  15. 민경애, 정환경, 류위자, & 천성문. (2011).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진로탐색 집단 상담이 잠재비행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상담평가 연구, 4(1), 1-15.
  16. 민영순. (1978). 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17. 박영신, & 김의철 (2004).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 관계의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청소년학회, 10(1), 135-165.
  18. 박은주, & 금명자 (2012).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와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학교교육연구, 7(2), 37-55.
  19. 소연희. (2011).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0(4), 203-220.
  20. 이미라. (2000).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학위 논문.
  21.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 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진로태도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기학, 송현정, 임희경, & 전윤경. (2004).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자기주장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2), 53-65.
  23. 이지연. (2007). 청소년의 진로개발 성과모형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20(2), 129-150.
  24. 이지혜. (201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133-154.
  25. 이현주. (1998). 진로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장석민, 임두순, & 송병국. (1991).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요강. 연구보고 RR 91-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7. 정경미. (2009). 시설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 및 자립준비도의관계. 상담평가연구, 2(1), 33-50.
  28. 정혜정, & 최인실 (200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성숙도에 관한연구. 상담학연구, 5(3), 773-791.
  29. 조미형, 최상미, & 엄태영. (2006). 남녀 청소년의 부모.친구.교사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5, 81-97.
  30. 최수미. (200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연구. 상담학연구, 10(4), 2257-2271.
  31. 한귀녀, 유순화, & 송현아. (2009). 진로장애와 진로포부가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7(3), 211-235.
  32. 이기학, & 한종철.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0(1), 167-189.
  33. 함승연. (2012).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 교과 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韓國水産海洋敎育學會, 24(5), 616-626.
  34. 황매향, & 임은미. (2004). 중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3), 177-191.
  35. Betz, N. E. (1989). Implications of the null environment hypothesis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for counseling psycholog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7, 136-144. https://doi.org/10.1177/0011000089171008
  36. Burke, R. J., Bristor, J. M., & Rothstein, M. G. (1995). The role of interpersonal network in women's and men's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areer Management, 7, 25-32. https://doi.org/10.1108/09556219510086788
  37. Crites, J. O. (1971).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American Personnel and Guidence Association. Washington, DC.
  38. Lynch, M., & Cicchetti, D.(1997).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adults and peers: An examina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t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81-99.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31-3
  39. Farmer, H. (1985). Model of career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woma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3), 363-390. https://doi.org/10.1037/0022-0167.32.3.363
  40. Rooney, G. (1983).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life roles of worker, student, and homemaker for young adults.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22(3), 324-342.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17-9
  41. Sharf, R. S. (2006).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4th Ed. Connecticut: Cengage Learning.
  42. Super, D. E. (1955).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3), 151-163.
  43. Super, D. E. (1974). Measuring vocational maturity for counseling and evaluation. Washington, DC :National Vocational Guidance Association.
  44. Tuckman, B. W. (1974). An age 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2), 193-212. https://doi.org/10.1016/0001-8791(74)90104-3
  45. Young, R. A., & Friesen, J. D.(1992). The intentions of parents in influenc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0(3), 198-206.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2.tb00326.x

피인용 문헌

  1.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15, pp.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