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in the Fields of Agro-industry

농학계열 대학 졸업생의 농산업 분야 취업률

  • Kim, Jung Tae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Bae, Sung Eui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정태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개발학부) ;
  • 배성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개발학부)
  • Received : 2014.09.20
  • Accepted : 2014.11.1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Studies on the role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are mostly divided into agricultural production, which is the primary function of agriculture, and other functions, which have recently begun to be emphasized as a result of social needs. With the green revolution and the aging of the farming population, there is a strong view that the role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should remain as it is. However, agriculture is expanding in terms of concept and content by converging with other industries not traditionally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production. Thus, the fields that now need to form part of agricultural science knowledge are becoming more detailed and expansive. The government's perception remains at the level of merely fostering farmers. This was evident in a survey on the employment rate, a factor used to evaluate colleges, in which the role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was limited to fostering farmers. Agro- industry fields, other than agriculturalists, include general industries in which the academic fields of agricultural science are combined with other academic fields. Thus, even when someone is employed in an industry that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of agricultural science, there is often a perception that he or she is employed in a field that is irrelevant to the major.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in agriculture and farm villages by focusing on the employment of graduates of these colleges within agro-industry. We categorize academic research on agricultural science into 16 fields, based on the medium level of the National Standard Science and Technology Classification Codes. Then, we categorize the employment fields into 168 fields, based on the small classification level of the inter-industry relations classification. Thus, we investigate 220 departments of 37 colleges, nationwide. Our findings show that the averag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is 69.0%. Furthermore, 33.0% of all employees work in agro-industry fields that require background knowledge in agricultural science, which is one out of three job seekers. Then, 3.6% of employees work in business startups in agro-industry. The aforementioned government survey showed that only 0.1% of all college graduates in Korea were employed as agriculturalists in 2013. However, our results showed that 13.3% of graduates were working as agriculturalists,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 survey. These results confirm that agricultural science colleges contribute greatly to the employment of graduates, including farmers, agro-industry, and business startups in agro-industry fields.

농학계열 대학의 역할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농업의 본원적 기능인 농산물생산과 사회적 필요에 의해 새롭게 중요성이 강조되는 기능들로 구분되는데, 녹색혁명과 농업인 노령화가 심한 상황에서 농학계 학문은 현상유지 정도만이 필요한 분야로 바라보는 시각이 강하다. 그러나 농업은 전통적인 농산물 생산중심에서 벗어나고, 그 개념과 내용이 확장되면서, 농학적 배경지식이 필요한 분야는 보다 세밀해지고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대학평가의 가늠자로 평가받는 취업률 조사에서 농학계열 대학의 역할이 반영된 분야는 영농인 육성으로 보는 시각이 강하다. 영농업종사자를 제외한 농산업부문은 농학계열 학문분야와 다른 모든 학문분야가 한데 묶인 공통의 일반산업부문 범주로 구성되어, 농산업부문에 취업을 해도 전공과 관련 없는 분야에 취업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농학계열 대학 졸업생의 농산업분야 취업상황을 중심으로 인력육성측면에서 농학계열 대학의 갖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농학계열 학문연구 분야는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중분류 16개 분야로 구분하고, 취업분야는 산업연관부문 통합소분류 168개를 활용하여 전국 37개 대학 220개 학과를 대상으로 2013년 졸업생의 취업상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취업자 3명 중 1명인 33.0%가 농산업분야에 진출하고 있었고, 이 중 3.6%가 농산업분야에 창업하고 있었다. 특히 영농종사자의 경우 2013년 국내 대학졸업자의 0.1%만이 취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조사결과는 13.3%로 농업인 육성에 농학계열 대학의 기여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취업률 조사방식의 문제로 제대로 역할을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농학계열 대학의 농업, 농산업분야에 대한 기여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2013). 현직 농산업인력 교육담당자의 역량제고방안. 2013년 7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21-164.
  2. 교육과학기술부부, & 한국교육개발원. (2013).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DB연계 취업통계연보.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3). 2013년 대학정보공시: 지침서(대학 및 대학원용)
  4. 김명호. (2004). 농업과학 2004 심포지엄 참관기: 농학계 대학은 농업을 버려야 되는가. 바이오시스템공학, 29(4), 357-366.
  5. 김성아. (2011). 전문 농업경영인 육성방안: '농산업인재' 육성으로 농업의 희망을 연다. 생활과 농약, 266, 30-33.
  6. 김철민. (2010). 농림수산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추정. CEO Focus 249, 서울: 농협경제연구소.
  7. 김철민, 이명기, & 한오석. 2008. 농림수산 관련산업의 부가가치 및 종사자수 추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농림축산식품부. (2013). 2013-201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9. 마상진. (2012). FTA시대에 대응하는 농산업교육의 방향: 농산업분야 인력수급 전망에 기초하여. 2012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7-41.
  10. 박공주. (2013). 현직 농산업인력의 교육현황과 과제. 2013년 7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79-95.
  11. 박동렬. (2012). FTA시대 학교 농산업교육 방안: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 후계인력의 취업 및 창업을 중심으로. 2012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43-81.
  12. 유근창. (1996). 대학의 학제개편과 농학계 대학의 입장, 원예학 세계, 1(2), 8-11.
  13. 이준원. (2012). FTA시대 농산업분야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 2012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12.
  14. 이호철. (1995). 지방자치시대와 지역농업의 발전방안: 경북농업의 특성과 농학계 대학의 역할, 자원문제연구논문집 특집호, 7-42.
  15. 정황근. (2011). 농산업.농어촌 인력육성을 위한 교육 추진방향 : 추진체계개편과 보완과제를 중심으로. 2011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12.
  16. 조문수. (1996). 농학계 대학 교과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원예학 세계, 1(2), 12-15.
  17. 채제천, 박의호, 최재을, 이영태, & 심이성. (2004). 우리나라 농학계 대학, 농업연구, 농산업의 발전 및 샌존전략, 학국작물학회 2004년 4월 학술대회발표 논문집, 49(1), 2-11.

Cited by

  1. 농학계열 대학 졸업생의 취업분야를 통해 본 농산업영역 vol.22, pp.2,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5.22.2.0175
  2. A Demand Survey on the Priority of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Agriculturel Companies: A case study on G University vol.24, pp.4, 2014, https://doi.org/10.11628/ksppe.2021.24.4.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