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isual Methods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Class Identity and Practices of Everyday Life -A Case Study on Youths of 'Gangbuk'

'강북'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문화와 계급 정체성 형성에 대한 영상방법론적 연구

  • Lee, Sangkyu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Seok-Kyeo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상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4.08.31
  • Accepted : 2014.10.18
  • Published : 2014.11.15

Abstract

This paper addresses questions on the marginalized position of youths of 'Gangbuk' and elucidates how they construct their own identities in the individual trajectories of everyday life. Three years of research, includ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on nine students from Northeastern district of Seoul. The research also adopted reflexive photography interview method in order to encourage the informa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 result illustrates the diversity of the everyday life experiences. More 'marginalized' youths from middle to lower class background had to endure the burdens of their daily lives without programs. Still, they were elaborating their own cultural taste and positive self-narratives at the periphery of the mainstream culture, by practicing music, online community activities and bodily performances. They had to negotiate the crucial turn of life after their graduation, when they entered into the harsh social competition with limited resources. We observed how they gradually assimilate the identity of the 'working youth', some of them developing a positive valorization of their experiences labor. Findings underline the active role of the cultural practices in the making of class identity of the youth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es situating the making of class identity and the reproduction of the class for the youth in the larger geography of class culture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Lastly, it is argued that these youth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determined subjects, who reproduce already established class identities, but as active agents of their lives who deserve more respects and attentions from the society.

이 연구는 기존 학술담론과 사회문화적 현실에서 주변화되고 간과되어 왔던 서울 '강북' 청소년들이 어떻게 그들 나름의 일상을 영위하고, 저마다 정당한 정체성을 추구하는 청년으로 성장해 나가는지 탐구한다. 이를 위해 약 3년에 걸쳐, 서울 동대문구 고등학생 아홉 명의 1학년 시절과 졸업 후 진로를 택하게 된 시기, 이렇게 두 시점 속에서 그들에 대한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또한 그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민속지학적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성찰적 사진 인터뷰(reflexive photography interview) 방법을 도입했다. 같은 '강북' 청소년이라 할지라도 경제적 배경에 따라 일상의 구조와 경험이 달랐는데, 상대적으로 중하층의 '주변부적' 위치에 놓인 청소년들은 방치되고 무료하게 흘러가는 일상을 보내야 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그들은 음악듣기, 독특한 취향 형성, 온라인 커뮤니티, 육체적 실천 등을 통해 소비문화에서 벗어난, 저마다의 일상생활 문화를 만들어내고 긍정적 자기 서사를 구축해 왔다. 그러나 청년으로 진입하는 시기에 이르러 그들은 결국 계급적 한계 앞에서 좌절할 수밖에 없었고, 현실과 타협해야 했다. 아르바이트와 직업교육, 자격증 획득으로 이어지는 '노동하는 청년'으로서의 현실경험 속에서 계급 귀속성이 생성되는 가운데, 부분적으로는 그 경험에 대한 긍정적 가치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계급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문화실천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고, 향후 한국사회의 복잡한 계급문화 지형도 속에서 청소년기의 계급 문화의 형성과 재생산에 대한 총체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 논문은 강북 청소년들을 계급 재생산으로 결정지어진 수동적 객체로 볼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존중받아야 할 각자 자기 삶의 능동적 행위자로 볼 것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