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roach Method for the Excavation of the Outstanding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농업분야 국제개발협력 우량사업 발굴을 위한 접근법 연구

  • Ji, Seong Tae (FTA Implementation Farmer Support Cente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Received : 2014.08.08
  • Accepted : 2014.09.20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pproach method for the excavation of the outstanding projects in order to improve the ODA quality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a situation of the recent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Korea's ODA.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ODA development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Korea's ODA development trends, the problems of system, procedure and contents. The analysis drew five approaches, such as an approach based on the strategies, an approach based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an approach based on the partnership, an approach based on the networking, an approach of modeling. If each approach method is applied to the excavation of project closely linked to other approach methods, it would be easier to excavate outstanding project. And it could lead to enhancement of project effectiveness. This study introduced the KAPEX program which excavate the customized ODA projec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se approach methods.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ODA의 양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농업분야 ODA 질적 제고를 위해 우량사업 발굴을 위한 접근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은 국제사회의 ODA 발전 패러다임, 우리나라 ODA 발전 방향 및 농업분야 ODA 사업 발굴에 있어서의 구조 절차 내용상의 문제점을 기초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전략에 근거한 접근(Strategy Approach), 비교우위에 기초한 접근(Comparative Advantage Approach), 파트너십에 기초한 접근(Partnership Approach), 공여주체간 협의에 기초한 접근(Networking Approach), 모델화 접근(Modeling Approach) 등 5가지 접근법이 도출되었다. 각각의 접근법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적용될 경우 우량사업 발굴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결국에는 사업의 효과성 제고로 이어질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접근법을 적용하여 맞춤형 ODA 사업을 발굴한 KAPEX 프로그램 사례를 소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 합동. (2010).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 정책브리핑, 서울: 국무총리실.
  2.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2). 한국형 ODA 모델 추진방안(안). 제13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13-1호), 서울: 국무총리실.
  3.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3a). ODA 효과성 제고방안(안). 제16차 국제개발협의 실무위원회 의결안건(제16-1호), 세종: 국무총리실.
  4.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3b). 2012년도 개발협력 정책.집행평가(Peer Review) 권고사항 활용계획(안). 제16차 국제개발협의 실무위원회 의결안건(제16-2호), 세종: 국무총리실.
  5.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3c). OECD/DAC 개발협력 정책.집행 평가(Peer Review) 결과 및 활용방안(안). 제15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15-1호), 세종: 국무총리실.
  6. 김용성 등. (2011). 한국국제협력단사업 심층평가,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7. 농림축산식품부. (2013). 국제농업협력사업 발전방안(안): 농림분야 ODA 중심으로, 세종:농림축산식품부.
  8. 박민지, & 김경량. (2011). 한국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의 현황과 과제선정에 관한 연구. 농업과학연구, 23(1), 61-68.
  9. 이대섭, 허장, 권태진, & 정승은. (2012). 농림수산분야 ODA 평가,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조이슬. (2014b). 다시 원조의 질을 이야기하자: 2014 ODA 질 평가 보고서(Quality of ODA, QuODA) 결과. ODA Watch 뉴스레터 92호, 서울: ODA Watch.
  11. 조이슬. (2014b). 인포그래픽스로 살펴본 2012-2013년 OECD DAC 통계 결과는?. ODA Watch 뉴스레터 89호, 서울: ODA Watch.
  12. 지성태. (2013). 농촌종합개발 프로그램 모델 연구, 성남: 한국국제협력단.
  13. 한국국제협력단. (2008).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파주: 한울아카데미.
  14. 한국국제협력단. (2013). KOICA 대외무상원조실적 통계 2012, 성남: 한국국제협력단.
  15. 허장 등. (2014). 2013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농정성과 확산(KAPEX) 사업 결과보고서(I, II),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허장, 이대섭, & 정승은. (2012). 한국형 ODA 모델 수립을 위한 농어업 분야 ODA 프로그램 선행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 IFAD. (2012). Progress report on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based allocation system(Addendum), EB 2012/107/R.2/Add.2.
  18. OECD. (2010). Measuring Aid to Agriculture. Paris: OECD.
  19. OECD. (2011). Aid to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20. OECD. (2013). Aid to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21. EDCF 사이트(www.edcfkorea.go.kr).

Cited by

  1. 가치사슬분석법에 기초한 농업분야 공유가치창출(CSV) ODA 사례분석 - 베트남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사업 - vol.25, pp.1,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8.25.1.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