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관계부처 합동. (2010).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 정책브리핑, 서울: 국무총리실.
|
2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2). 한국형 ODA 모델 추진방안(안). 제13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13-1호), 서울: 국무총리실.
|
3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3a). ODA 효과성 제고방안(안). 제16차 국제개발협의 실무위원회 의결안건(제16-1호), 세종: 국무총리실.
|
4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3b). 2012년도 개발협력 정책.집행평가(Peer Review) 권고사항 활용계획(안). 제16차 국제개발협의 실무위원회 의결안건(제16-2호), 세종: 국무총리실.
|
5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3c). OECD/DAC 개발협력 정책.집행 평가(Peer Review) 결과 및 활용방안(안). 제15차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의결안건(제15-1호), 세종: 국무총리실.
|
6 |
김용성 등. (2011). 한국국제협력단사업 심층평가,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
7 |
농림축산식품부. (2013). 국제농업협력사업 발전방안(안): 농림분야 ODA 중심으로, 세종:농림축산식품부.
|
8 |
박민지, & 김경량. (2011). 한국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의 현황과 과제선정에 관한 연구. 농업과학연구, 23(1), 61-68.
|
9 |
이대섭, 허장, 권태진, & 정승은. (2012). 농림수산분야 ODA 평가,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10 |
조이슬. (2014b). 다시 원조의 질을 이야기하자: 2014 ODA 질 평가 보고서(Quality of ODA, QuODA) 결과. ODA Watch 뉴스레터 92호, 서울: ODA Watch.
|
11 |
조이슬. (2014b). 인포그래픽스로 살펴본 2012-2013년 OECD DAC 통계 결과는?. ODA Watch 뉴스레터 89호, 서울: ODA Watch.
|
12 |
지성태. (2013). 농촌종합개발 프로그램 모델 연구, 성남: 한국국제협력단.
|
13 |
한국국제협력단. (2008).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파주: 한울아카데미.
|
14 |
한국국제협력단. (2013). KOICA 대외무상원조실적 통계 2012, 성남: 한국국제협력단.
|
15 |
허장 등. (2014). 2013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농정성과 확산(KAPEX) 사업 결과보고서(I, II),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16 |
허장, 이대섭, & 정승은. (2012). 한국형 ODA 모델 수립을 위한 농어업 분야 ODA 프로그램 선행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17 |
IFAD. (2012). Progress report on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based allocation system(Addendum), EB 2012/107/R.2/Add.2.
|
18 |
OECD. (2010). Measuring Aid to Agriculture. Paris: OECD.
|
19 |
OECD. (2011). Aid to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
20 |
OECD. (2013). Aid to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Paris: OECD.
|
21 |
EDCF 사이트(www.edcfkorea.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