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Model for the Practical and Creative Human Respirces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 개발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velop the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model for the practical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For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e study consists of literature studie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nts analysis, case study, expert(9samples) consultation and review, and in-depth-interview of the three advisory members.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odel is analyz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ntents validity ratio(CVR). The main results of the model development in our study are as follow. First, our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model for the practical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is developed with the analyses of NCS development manuals, training standard utiliz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organization manuals, NCS learning module development manual and case studies, NCS research report, NCS based curriculum pilot development resources directed toward the high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 as well a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study on career training model like NCS. Second, based on the findings of our analysis in combination with the findings from the consultations with the expert and advisory committee, total 19 sub-factors of each step and domain are extracted. The sub-factors of domain in step 1 are the competency unit, definition of competency unit, competency unit element, performance criteria, range of variable, guide of assessment, key competency; in step 2, they are subject title, subject objectives, chapter title, chapter objectives, pedagogical methods, assessment methods and basic job competence; and in step 2, they are NCS based subject matrix table, NCS based subject profile, NCS based job training curriculum table, NCS based subjects organization flowchart, NCS based job training operation plan. Third, the final model including step 3 NCS based subject profile are developed in association with the linked organizational sub-factors of step 1 and step 2. Forth, the validity tests for the final model by the step and domain yield the mean 4.67, CVR value 1.00, indicating the superior validity. Also, the means of each sub-factors are all over 4.33 with the CVR value 1.00, indicating the high validity as well. The means of the associated organizations within the model are also over 4.33 with the CVR value of 1.00. Standard deviations are all .50 or lower which are small. Fifth, based on the validity test results and the in-depth-interview of the expert and advisory committee, the model is adjusted complemented to establish final model of the NCS based vocational curriculum for the practical and creative human resources.

이 연구는 고교 단계에서의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 정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은 국내 외 문헌 연구, 내용 분석 연구, 사례 연구, 전문가(9명) 협의회 및 검토 자문 위원(3명)의 심층 면담 조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구안한 모형(안)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평균, 표준 편차, 내용 타당도 비율(CVR)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개발 매뉴얼과 훈련기준 활용 훈련과정 편성 매뉴얼, NCS 학습모듈 개발 매뉴얼과 사례집, NCS 연구보고서, NCS 기반 고교 단계 직업교육과정의 시범 개발 자료집과 사례 연구 분석, 국내 외 직업교육 모형 등 NCS 관련 선행 및 문헌 연구를 토대로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기본 모형(안)을 개발하였고 둘째, 구안한 모형(안)의 단계별 영역별 해당 하위 구성 요소 도출 자료를 토대로 전문가 심층 면담 조사 내용과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19개를 도출하였다. 즉 1단계의 영역별 하위 구성 요소로 능력단위, 능력단위정의, 능력단위요소, 수행준거,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이고 2단계의 영역별 하위 구성 요소는 교과목명, 교과목표, 대단원명, 대단원목표, 교수 학습 방법, 평가방법, 직업기초능력이며 3단계 영역별 해당 하위 구성 요소로 NCS 기반 교과목 행렬표, NCS 기반 교과목 프로파일,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편제표, NCS 기반 교과목 전체 구성도,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운영계획서를 도출하였다. 셋째, 1단계와 2단계 각각의 해당 하위 구성 요소를 3단계의 NCS 기반 교과목 프로파일과 연계 구성하여 모형(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모형(안)에 대해 단계별 영역별로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평균이 4.67이고 CVR 값은 1.00으로 타당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당 하위 구성 요소 도출 내용에 대한 평균이 모두 4.33 이상이며 CVR 값은 1.00으로 타당도가 매우 높았고 모형(안)의 연계 구성에 대한 평균도 모두 4.33 이상이며 CVR 값도 1.00이었다. 그리고 표준 편차는 .50 이하로 편차가 모두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가에 의한 타당성 검증 자료와 검토 자문 위원들의 심층 면담 조사 내용을 토대로 모형(안)을 수정 보완 단계를 거쳐 고교 단계에서의 실전 창의형 인재 양성을 위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종 외(2013). 광주공업고등학교 실전.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김동연, 김진수(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22-46.
  3. 김동연 외(2014).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143-163.
  4. 고진현, 최성주(2012). 용접분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능력단위 도출. 대한용접.접합학회지, 30(2), 5-10.
  5. 김선영(2009).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과 신문 활용 교육을 통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장호(2005). 국가직무능력표준 사업추진 배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김종우 외(2013).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실전.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교육과학기술부(2009). 고교단계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내부자료.
  9. 교육부(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보도자료(2010. 05. 12.).
  10. 교육부(2013).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교육부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발표. 보도자료(2013. 03. 28.).
  11. 교육부(2014).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발 방안. 내부자료.
  12. 교육부, 고용노동부(2013). 자격기본법(법률 제11722호). 내부자료(2013. 10. 06.).
  13. 김판욱 외(2010).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서울: 양서원.
  14. 박동열(2009). 고교 단계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소경희(2012). 역량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교육과정연구, 30(1), 59-79.
  16. 양정혜(2014). CTE(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내용 체계와 실과(기술.가정)교과 및 진로와 직업 교과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2(1), 161-179.
  17. 은태욱(2006). 한국과 미국의 직업교육 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이기우(201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과 활용. 한국산업인력공단 직업능력표준실.
  19. 이명훈(2012). 기술교사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직무연수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21-55.
  20. 이무근, 원상봉(2000). 직업교육과정 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21. 이수경 외(2009). KSS 교육훈련과정개발 매뉴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이용순 외(1999). 직업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이종성 외(1997). 교육체제 개편에 따른 고등학교 직업교육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4. 이종성 외(1999). 직업교육훈련 대사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이지연 외(2009).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구축(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장명희(2014).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교과 교원자격.임용.양성체제 개선 방안. 공청회 자료집, 3-137.
  27. 장명희, 박동열(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 방향과 과제. 2014년 한국 직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1-88.
  28. 정수연, 구자길, 이기우(2012). NCS 수준체계 구축 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29. 정향진(2013). NCS 학습모듈 개발 매뉴얼 및 학습모듈 사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0. 조정윤 외(2010). 2010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1. 진미석, 손유미, 김도협(2012). 주요국의 진로교육 정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2. 한국산업인력공단(2013a).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 원, 내부자료.
  33. 한국산업인력공단(2013b).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훈련기준 활용 훈련과정 편성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원, 내부자료.
  34. 한국산업인력공단(2014a).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활용 동향.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원, 내부자료(제201402_23호).
  35. 한국산업인력공단(2014b).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안).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 표준원, 내부자료.
  36. 한국산업인력공단(2014c).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활용 동향.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원, 내부자료(제201404_30호).
  37. 한국산업인력공단(2014d).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훈련기준 활용 훈련과정 편성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직무능력표준원, 내부자료.
  38.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교육과정개발운영센터. 내부자료.
  39. 황규호(2014). 2013년 국가 교육과정 포럼과 국가 교육과정 발전 과제. 국가 교육과정 포럼 제4차 전문가 토론회 발표 자료집, 1-24.
  40. 허영준, 최동선, 박동열, 장석근, 구자옥(2013).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실전.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1.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42. Dubois, D. D. (1993). Competency 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HRD Press, Inc.
  43. Gordon, H. R. D. (2003). The History and Growth of Vocational Education in America. Waveland Press, Inc.
  44. Gray, K. C., & Herr, E. L. (1998). Workforce Education: The Basics. Allyn & Bacon.
  4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8.
  46. Likert, R. (1932). A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Archives. of Psychology, No. 140.
  47. Scott, J. L. (2001). Overview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American Technical Publishers, Inc.
  48.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npetent at work.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