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OJT training program for a Software Compan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 Case of Firm A

소프트웨어 산업의 NCS 기반 S-OJT 교육과정개발: A기업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training program to educate professional workers for software industry with growing importance in this area as software industry takes more parts in Korean economy. Additionally,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using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S-OJT), For this study, we reviewed economic index about software industry such as economic ratio and the influx of the workforce. Also literature review for S-OJT was conducted to explore its concept for better application of the concept to the program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use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manual suggested by Korean Department of Labor. We selected specific job which needs training program to be developed based on thorough needs analysis for a company A. Previously developed NCS and other documents were review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core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job. 44 training programs were developed and objective of each program, hours, contents and methods were also suggested. Additionally detailed program name, education system, road map and operation strategy were developed and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ther industry and jobs which are facing to the development of NCS based education program by suggesting detailed stage of development process. For more animate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using NCS, the effect of the program should be tested in the future. For the te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as well.

본 논문에서는 국가경제성장에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전문인력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절차와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개발된 교육과정은 산업현장을 반영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을 두었으며, 교육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S-OJT(체계적 현장직무 교육훈련: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산업과 관련한 경제지표와 관련인력의 투입 등의 자료를 검토하여 그 산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S-OJT방법의 차용을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해당 개념을 충분히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NCS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 틀로서 고용노동부에서 개발하여 배포된 한국형 일 학습 듀얼 시스템 운영매뉴얼의 개발절차를 활용하였다. 현장성 높은 과정 개발을 위해 소프트웨어 분야 주식회사A의 교육요구조사분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직무를 선정하였다.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수준을 발굴하기 위해, 기 개발된 NCS를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NCS에 반영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기존자료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총 44개의 교육과정이 4년간의 교육기간동안 이수되도록 개발되었으며, 각 과정은 교과목표, 소요시간, 교과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선수과목을 각각 표기하였다. 또한 44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교육체계 로드맵, 세부 운영전략 등을 개발하였다. 사회적으로 NCS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 도출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은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고용노동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매뉴얼에 따른 개발 절차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향후 NCS에 기반한 산업직무별 교육과정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활발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해당 과정의 교육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개발과 NCS에 특화된 교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두승(2006). 성인교육자론. 서울: 교육과학사.
  2. 김소나(2010).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전이 관련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수원(2005). 고용촉진훈련체계 개편 및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노동원, 송영수(2010). 기업 코칭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HRD 연구, 12(1), 161-185.
  5. 문세연(2010).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6. 박경규, 임효창(2000). OJT 의 도입효과: Off-JT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산업관계연구, 10(2), 95-125.
  7. 박귀찬(2010). 기업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근전이와 원전이의 영향요인. 산업교육연구, 21, 69-87.
  8. 박영용, 김진모(2006). 기업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4), 215-239.
  9. 박한규, 이찬(2011).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실시 수준과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직업능력개발연구, 14(2), 107-126.
  10. 박홍화(2010).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신입사원 OJT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배을규, 김대영. (2007).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학습방식, 학습전이, 전이풍토의 관계 연구. HRD 연구, 10(2), 24-46.
  12. 이계정(2012).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9-291.
  13. 이도형(1995). 조직 내 교육훈련의 학습 및 전이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이유진, 김진모(2010). 대기업 직무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훈련전이와 전이동기 및 업무환경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249-274.
  15. 이찬 외(2012). 중소기업 교육훈련 프로그램 전이측정도구개발 및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1), 161-184.
  16. 이찬 외(2013). DACUM을 활용한 S-OJT 기반의 계약학과 교육체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5(1), 58-65.
  17. 유정만(2007). 기업 신입직원 OJT 특성요인이 OJT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전은지 외(2011).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특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이도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33(3), 180-199.
  19. 정기영(2006). 신입사원 OJT 교육훈련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 동조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0. 조세형, 윤동열(2010). 구조화된 현장훈련(Structured OJT)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HRD연구, 13(2), 1-19.
  21. 주영주 외(2008).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능력, 온라인과제가치가 학업성취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9(4), 1-16.
  22. 천장현(2005). 기업 내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최성(2011). 소프트웨어 테스팅 산업 현황과 전망. 정보처리학회지, 18(1), 9-18.
  24. 최영준, 이찬(2011). Success Case Method를 활용한 직무 교육훈련 전이 핵심 성공요인 탐색. 직업교육연구, 30(3), 303-326.
  25. 최우재.조윤형(2010). 학습목표 지향성과 학습 자기효능감이 적응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비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HRD 연구, 12(2), 145-171.
  26. 최창환, 정철영(2008). 연구소 기술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 40(3), 247-274.
  27. 한안나(1999). 기업교육에서 학습의 직무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8. Bjorkquist, D. C., & Murphy, B. P.(1996).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Pitfalls and payoffs. In C. P. Campbell (ed.),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rk. Lancaster, PN: Technomic Publication.
  29. Burke, L. A., & Hutchins, H. M.(2007). Training transfer: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6(3), 263-296. https://doi.org/10.1177/1534484307303035
  30. Choi, W., & Jacobs, R. L.(2011). Influences of formal learning, personal learning orientation,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on informal lear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2(3), 239-257. https://doi.org/10.1002/hrdq.20078
  31. Conner, J.(1983). On-the-job training. Boston, MA: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32. Goldstein, I.(1974).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Monterey, CA: Books/Cole.
  33. De Jong, J. A.(1993).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 Report of a multiple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3), 186-199.
  34. Jacobs, R. L.(1989). Systems theory appli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s theory appli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Boston, MA: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35. Jacobs, R. L.(2003).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Unleashing employee expertise in the workplace.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36. Jacobs, R. L., Jones, M. J., & Neil, S.(1992). A case study in forecasting the financial benefits of unstructured and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3(2), 133-139. https://doi.org/10.1002/hrdq.3920030205
  37. Jacobs, R. L., McGriffin, T. D.(1987). A human performance system using a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approach. Performance and Instruction, 25(7), 8-11.
  38. Jacobs, R. L., Osman-Gani, A.(2005). Case studies in workplace training and learning: Across-cultural perspective. Singapore: Pearson Prentice Hall.
  39. Jacobs, R. L., Park, Y. H.(2009). A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of workplace learning: Implications for theory development and research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8(2), 133-150. https://doi.org/10.1177/1534484309334269
  40. Lawson, K.(1997). Improving on-the-job training and coaching. Alexandria, VA: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41. Noe, R. A.(2008). Employee training development(4th ed.). Boston: McGraw-Hill Irwin.
  42. Rothwell, W. J., & Kazanas, H. C.(1994). Improving on-the-job training: How to establish and operate a comprehensive OJT program. San Francisco, CA: Pfeiffer.
  43. Sullivan, R. S., & Smith, T.(1996). On-the-job training for family planning service providers. JHPIEGO Corporation.
  44. Walter, D.(2002). Training on the job. Alexandria, VA: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