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humidific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for Green Houses using Lithium Bromide Solution and Cooling Coil

리튬브로마이드(LiBr) 용액의 흡습성질과 냉각코일을 이용한 온실 습도 및 온도 제어

  • Lee, Sang Yeol (Dept. of Bi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ng Geon (Dept. of Bi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Euh, Seung Hee (Dept. of Bi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Oh, Kwang Cheol (Dept. of Bi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Oh, Jae Heun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Dea Hyun (Dept. of Bi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상열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이충건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어승희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오광철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오재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김대현 (강원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4.10.06
  • Accepted : 2014.11.25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Due to the nature of the ambient air temperature in summer in korea, the growth of crops in greenhouse normally requires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Even though various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methods have been presented, there are many obstacles to figure out in practical application such as excessive energy use, cost, and performance.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lab scale experiments using lithium bromide(LiBr) solution and cooling coil for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in greenhou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preliminary experiment of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for the greenhouse was done using LiBr solution as the dehumidifying materials, and cooling coil separately and then combined system was tested as well. Hot and humid air was dehumidified from 85% to 70% by passing through a pad soaked with LiBr, and cooled from 308K to 299K through the cooling coi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analysis and analytical solution were done for the change of air temperature by heat transfer.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final air temperature was calculated 299.7K and 299.9K respectively with the deviation of 0.7K comparing the experimental value having good agreement. From this result, LiBr solution with cooling coil system could be applicable in the greenhouse.

본 연구는 냉각코일과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활용하여 유리 chamber 내 냉각 및 제습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각수 온도별 냉각 효과와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제습량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동시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각수 온도별 냉각 실험은 279K, 286K, 293K에서 각각 19K, 13K, 10K 가량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냉각수 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냉각 성능을 보였으며, 여름철 상하수도 온도인 293K의 물로도 충분히 작물이 생육하기 좋은 온실 내부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활용한 제습 실험에서는 약 80%의 외부 습도가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결합하여 약 50%로 감소되어 약 30%의 제습량을 보였으며, 이는 시설 내 제습 시스템의 적용에 적합한 물질로 판단된다. 냉각코일과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동시에 적용한 실험에서 약 9K의 온도 강하, 15%의 제습량을 나타냈으며,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이 수증기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반응열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냉각 실험 결과와 대비 비교한 결과 약 299.7K의 내부 온도를 보여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분의 제습과정을 거치면서 농도가 낮아진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희용액)은 수집탱크로 모아 재생부로 이송되어 가열, 수분을 증발시켜 농용액으로 전환된 후 열교환을 거쳐 냉각되어 다시 제습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시스템을 적용하면 일정량의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만으로 온실 제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을 통해 냉각 및 제습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활용하여 실제 온실에 적용된다면 기존 온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방 및 제습 방법에 비해 에너지 절감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제습 부분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 및 실험결과와 대비 검증이 요구되고, Lab scale의 제습 시스템에서 Farm scale의 온실 규모로 확장하여, 추가 변수에 대한 제습 및 냉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Euh, S.H., J.B. Lee, J.C. Woo, S.M. Kang, D.M. Kim. 2012. The Study on Dehumidification fot Greenhouse with Lithium-bromide(LiBr)Solution.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24(2):24-29. (in Korea)
  2. Park, S.H. 1994. Experimental Study on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LiBr-Water solution in a Vertical Tube. M.S. Diss., Hongik Univ. (in Korea)
  3. Park, B.C., H.K. Park, J.H. Boo, J.S. Seo, T.B. Seo, K.J. Lee, J.S. Lee, and T.Y. Jeong. 2008. Introduction to Heat Transfer. 5th ed. Text Books.
  4. Kim, M.K., K.S. Kim, and S.W. Nam. 2001. Efficient application of greenhouse cooling systems. Ministry ofAgriculture and Forestry 186-188.
  5. Yun, N.K., M.K. Kim, and S.W. Nam. 1998. Dehumidification and evaporative cooling efficiency by water pipes in greenhouse. J. Bio. Fac. Env. 7(3):237-245.
  6. Yu, I.H., M.K. Kim, H.J. Kwon, and S.S. Kim. 2002. Development of CFD model for estimation of cooling effect of fog cooling system in greenhous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1(2):93-100. (in Korea)
  7. Nam, S.W. 1998. Adaptability of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greenhouse to the weather conditions of korea.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7(4):283-289. (in Korea)
  8. Jeon, D.S., J.H. Moon, S.C. Kim, Y.L. Kim. 2011.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of a plate heat exchanger type dehumidifier for a liquid desiccant system. 2011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Journal, pp 177-180.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