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Use of Picture and Letter Used in the Books of English Vocabulary for Children

아동영문어휘책에 제시된 그림과 문자의 사용에 대한 분석

  • Received : 2013.10.01
  • Accepted : 2013.11.13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This thesis intends to grasp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visual images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al properties between picture and letter and considering the children as user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ly published books of English vocabulary for children. Accordingly, the types of picture used in the books of English vocabulary for children,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picture, combination types of picture and letter, and semantic consistency of picture and letter are review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picture is high in general, in order of illustration, cartoon, and the mix of illustration and cartoon. In the combination form of picture and letter, the degree of utilization appears in order of picture plus vocabulary, letters without illustration, and pictorial symbol. In particular, the higher semantic consistency of picture and letter, it is effective in learning, however, semantic consistency is low, generally. Pictorial symbol type shows the frequency of the highest combination type in the five groups of higher semantic consistency. In conclusion, the presented types of picture and letter, shown in the currently published books of English vocabulary for children, are similar types by the publishing companies, thus, effective design research should be required based on diverse levels of children.

본 논문은 현재 출간된 아동영문어휘책의 현황분석을 통해 그림과 문자의 관계적 속성을 이해하고 사용자인 아동을 고려해 시각적 심상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아동영문어휘책에 사용된 그림의 유형과 그림의 활용도, 그림과 문자의 결합 형태, 그림과 문자와의 의미일치도 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그림의 활용도는 일러스트, 만화, 일러스트와 만화의 혼용 순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과 문자의 결합 형태에서는 그림+어휘형, 일러스트가 없는 문자형, 그림문자형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그림과 문자의 의미일치도가 높을수록 학습에 효과적인데 반해 의미일치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의미일치도가 높게 나타난 5개의 그룹 중 그림문자형이 가장 높은 결합형태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 출간된 아동영문어휘책에 나타난 그림과 문자의 제시형태는 비슷한 형태로 출판사별로 출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아동의 다양한 수준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디자인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Keywords

References

  1. Massin Robert, 글자와 이미지, 미진사, p.143, 1994.
  2. W. J. T 미첼, 아이코놀로지:이미지, 텍스트, 이데올로기, p.212, 2005.
  3. 전영미, 그림과 문자의 제시가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pp.67-69, 2000.
  4. 김영욱, "전자매체 시대 그림책의 '그림 쓰기'와 '글 그리기'", 인문콘텐츠, 제7권, 제17호, pp.320-328, 2009.
  5. 정영근,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 한국교육학회학술대회, 제18권, 제5호, pp.465-469, 2010.
  6. 나열주, 성은모,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그림자료와 텍스트 내용과의 관련성이 내용이해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5권, 제8호, pp.297-301, 2007.
  7. Stephen k. Reed, 박권생 역, Cognition: Theory and Application, 시그마프레스, p.172, 2006.
  8. 이정모, 인지과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p.174, 2008.
  9. Jean Georges, 김형진 역, 기호의 언어, 시공사, p.92, 2001.
  10. Arture Wing field and Denis L. Byrnes, 이관용외 공역, 인간기억의 심리, 법문사, p.147, 1984.
  11. 문선모, 박성옥, "그림이 설명적 교재의 회상에 미치는 효과", 중등 교육연구, 제10권, 제12호, pp.198-204, 1997.
  12. 이두희, 권오영, "광고의 그림메시지와 문자 메시지가 심상정보처리효과와 기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 연구, 제10권, 제2호, pp.384-390, 1999.
  13. 조은주,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학습전략, 어휘능력 및 성취도에 대한 연구, 제주대 석사논문, pp.84-105, 2011.
  14. www.kyoboboo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