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igorating Local Festival Directing -Case Study of Namhaean Byeolsingut-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축제의 연출 방안 모색 -남해안 별신굿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12.03
  • Accepted : 2014.01.10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Local festivals quite often give their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a good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regional culture thoroughly. Also, the festivals empower the cultural pride and communal sociality, and create new jobs improving local economy. In Korea, more than 700 local festivals are held every year. Each festival is organized and operated upon all different purpose and mission. It is unfortunate, however, that many festivals fail to balance between making profits and accomplishing their purpose. Festival's marketing plan and content management should be cohesive,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estival's purpose and program. Especially in case of performance natured festivals, the role and function of festival directing should be more weighed on content management. Namhaean Byeolsingut is one of performance natured festivals, in which its archetype or primitive form is well maintained. This study observes the primitive form of NB from the director's viewpoint, and then provides a solid foundation on how those main characteristics of NB could be applied to invigorating local festival directing. The directing suggestions here are motivated by NB's ritual, performative, and play form.

지역의 문화를 종합적으로 경험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델로 단연 축제를 꼽을 수가 있다. 축제에는 개최되는 지역마다 지역 고유의 문화가 종합적이고 압축적으로 녹아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축제는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적 자긍심을 고조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재통합의 기능을 하여 공동체 사회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또한 축제 개최로 인한 고용창출이 이루어지고, 외지의 여행자들을 불러들이는 데도 결정적으로 기능하여 관광산업으로서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매년 7백여 개 이상씩이나 개최되는 전국의 축제들이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획적인 측면과 연출적인 측면에서의 활성화 방안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축제의 원형적 성격과 형식을 바탕으로 기획되는 지역축제들에 대하여 연출적인 측면에서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적용이 가능한 축제의 연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축제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전승되고 있는, 축제의 전통적인 유산인 남해안 별신굿에서 축제의 연출 특성을 밝히고, 연극의 연출기법을 적용하여 지역축제의 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축제의 특성을 살리고 성공적인 축제를 연출해내기 위한 방안으로 축제의 제의형식, 공연형식, 놀이형식을 모티브로 한 연출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원, 고호석, "문화관광축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제5권, 제1호, pp.9-28, 2003.
  2. 서철현, 고호석, "지역축제 개최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애호도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1호, pp.447-466, 2011.
  3. 안혜원, 이민규,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78-38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378
  4. http://culturestat.mcst.go.kr/
  5. 신중철,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논총, 제3권, 제1호, pp.1-26, 2012.
  6.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보고서, 2006.
  7. 이원근, 김병준,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축제 활성화 방안 연구", 지역사회논문집, 제35권, 제2호, pp.33-44, 2010.
  8. 이용화, 송형종, 김영석, 성공적인 축제연출, 연극과 인간, 2007.
  9. 김선풍, 남해안별신굿, 박이정, 1997.
  10. 조흥윤, 巫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2000.
  11. 조성애, "문화정체성과 축제",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pp.101-110, 2007.
  12. 김차동, 지역축제 만족요인이 참가자의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이상일, 축제의 정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14. 고원규, "전통축제의 제의성과 놀이에 관한 연구", 진주전문대학논문집, 제15집, pp.353-372, 1992.
  15. 빅터 터너, 이기우, 김익두 역,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1996.
  16. J. 호이징하, 김윤수 역, 호모루덴스, 도서출판 까치, 1993.
  17. 안형혜,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168-175,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168
  18. A. 판 게넵, 정경수 역, 통과의례, 을류문화사, 1985.
  19. 리차드 쉐크너, 김익두 역, 민족연극학, 신아, 1992.
  20. 로제 카이와, 이상률 역,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