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in Biotechnology Cluster: the Case of Singapore

바이오 클러스터에서의 트리플 힐릭스 관계 연구: 싱가포르 사례를 중심으로

  • Nam, Jae-Geol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 Received : 2014.10.01
  • Accepted : 2014.10.3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paper is a theoretically grounded empirical study aimed at shedding light on the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U-I-G) relations in biotechnology cluster of Singapore. It questions the issue about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Triple Helix of U-I-G relations and the actual reality in biotechnology cluster, and the experience of Singapore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evolutionary perspective, biotechnology cluster in Singapore has gone through ongoing processes from a certain stage to other, and within the processes the Triple Helix nexus has been found. Analysis of the empirical study reveals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government policie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operation of U-I-G relations rather than universities; second, therefore, the binding force of U-I-G relationships is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ies being comprehensive including researchers immigration, student scholarship for local students, and tax and non-tax incentives for firms, rather than focusing on a targeted policy; third, the role of government starts from an initial stage, and it's role is ongoing processes by supporting infrastructure, human sources and continuous nourishment enabling the triple helix of U-I-G relations.

본 연구는 트리플 힐릭스 모형을 활용하여 싱가포르의 첨단생명과학단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트리플 힐릭스 모형의 이론적 논의와 현실에서의 산 학 관 관계의 차이점에 주목하고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싱가포르 첨단 생명과학단지는 대학, 정부 그리고 기업체간의 삼자간 상호작용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트리플 힐릭스 모형의 이론적 틀과는 다르게 작동하고 있었다. 우선, 대학보다는 정부가 삼자간의 관계를 결정할 정도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정부는 이민정책, 장학금, 세금감면 및 세금이외의 인센티브 정책 등 생명과학 및 의료산업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정부는 초기단계에서부터 삼자간 관계를 주도하였으며 이러한 역할은 클러스터가 어느 정도 진전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었다. 정부의 이러한 지원은 삼자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추동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