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 Places near the Grand Supermarket in Urban Areas: Focusing on the Case of Myung-Il Dong District

대형할인점에 인접한 전통시장의 활성화방안: 명일동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hn, Yeon S. (Gachon Universit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 Zhang, Ying (Gachon Universit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안연식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
  • 장영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14.09.09
  • Accepted : 2014.09.27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ried for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s, at which were located the same business district of grand supermarket of an urban area in Seoul. The Myung-Il Market, one of traditional markets near the Gang-Dong Homeplus was selected for this research. In our research including the survey from the 63 purchasers' samples of Myung-Il traditional Market, the policy to strengthen the traditional market's ability was suggested to use the price and hygiene factors which affecting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the other complementary stategic factors, service and geographical area factors, were induced which were significantly relating to the 100 samples of purchasers at Gang-Dong Homeplus as the grand modern market.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maintaining and enhancement strategy related to price and the hygiene factors should be impress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revitalization the traditional markets. And the other strategy which including service and geographical area factors as from the grand modern market's survey result will be considerated complementarily.

본 연구는 전통시장이 위축되는 현실 상황의 인식하에서 도심지역의 대형할인점에 인접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된 사례연구이다. 즉 전통시장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전통시장의 강점을 살리는 강화전략으로 제시하고, 인접한 대형할인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전통시장 활성화의 보완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명일동에 위치한 명일시장의 고객 중 총 63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가격요인과 위생요인은 전통시장의 강화전략 요인으로, 인근의 대형할인점인 강동 홈플러스 고객 중 10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서비스 요인과 입지 요인은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보완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전통시장의 상인 18명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의견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