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nds and Beyond of the Research on the Healthy Families - Focused on a Review of the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건강가정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 가족자원경영학회지에 실린 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

  • 박정윤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이선형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전공)
  • Received : 2014.09.26
  • Accepted : 2014.11.03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Increasing interest in family problems caused by social environment changes has elevated the importance of strong family policy. That is why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has enacted in 2004 in Korea and it marked the 10th anniversary of establishing the law. This study finds out the meaning of enacting the law and an academic field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the studies on the healthy families from 2000 to 2013 year i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ivide research themes into three parts: policy, practice(I)(center management), practice(II)(program development & efficiency), specialist area. The research trends have most focused on the issue of practice(II), that is, program analysis and development, contents review, because of the settlement of delivery system after the early of law establishment. But it is needed to rethink research themes because it has been dealt with not academical researches on theoretical basis but practical ones, for example, program development on Healthy Families Center and the tendency still lasts until now. Second, more than half of research methods have been concentrated on contents analysis and about 70% of research objects are focused on the center program. It needs to adopt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objects. Last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academic identity clear that can be faithful to Family Resource Management Studies.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2007). 건강가정사 양성교육에서 액션러닝(Action Learning) 활용에 관한 탐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67-79.
  2. 강기정.박수선(2013).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지역사회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25-144.
  3. 고선강(2005). 건강가정사 양성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 교과개편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33-144.
  4. 구혜령(2004). 건강가정 생활진단 척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5-39.
  5. 구혜령.김선미(2010). 가족친화 사회조성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3-189.
  6. 김경신.이승미(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을 위한 건강가정 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57-370.
  7. 김경신.정민자.송혜림.성미애.박정윤(2008). 가정정책 방향모색을 위한 전문가 조사연구 : 통합적 가정정책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67-179.
  8. 김명자.계선자.박미석.장진경.김연화(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2004년 용산구.숙명여대 가정생활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34.
  9. 김명자.계선자.박미석.장진경.김연화.유진아.한은주(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운영에 대한 전반적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43(8), 123-139.
  10. 김미정(2005).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사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5-61.
  11. 김선주.박정윤(2013). 신혼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9-37.
  12. 김성희(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실천적 전략 모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9-73.
  13. 김성희(2009). 여주군건강가정지원센터의 녹색성장운동-재활용악기를 이용한 가족봉사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3-184.
  14. 김성희.양정선(2007).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위한 자가진단 척도 개발의 기초연구-감마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55-71.
  15. 김성희.양정선(2011). 건강가정지원센터 위상 재정립을 위한 정책 제안 연구-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43-64.
  16. 김승권(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9.
  17. 김진희(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2), 25-37.
  18. 김혜연.곽인숙.홍성희.김성희(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코칭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209-225.
  19. 김혜연.서종선(2007). 건강가정 및 건강가정실천방안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81-105.
  20. 도미향(2009).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owering Family Welfare Service in Korean Local Communities. 한국가족복지학, 14(2), 51-70.
  21. 박경애(2011). 가족봉사단의 봉사활동 경험의 효과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79-105.
  22. 박미금.이미선.이영호.최보아(2005a). 건강가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152.
  23. 박미금.이미선.이영호.최보아(2005b).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3), 97-112.
  24. 박미석(2004). 건강가정지원센터와 건강가정사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31.
  25. 박미석.김경아(2006). 가족생활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정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건강가정 구현을 위한 가정 CEO-.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13-130.
  26. 박정윤(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문화 사업평가에 관한 연구.l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3), 25-36.
  27. 박정윤(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한부모가 정 관련 사업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67-178.
  28. 박정윤.윤소영(2010).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봉사단 및 건강가정캠페인 사업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59-77.
  29. 배은숙.강기정(2006). 시설청소년의 가족 인식 및 건강가정 형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요구-시설청소년과 퇴소자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07-125.
  30. 손여경.이송이(2009). 건강가정현장실습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247-280.
  31. 손주영(2005). 고려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사례-2005년 고려대학교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9-83.
  32. 송혜림.장진경(200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과 운영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03-318.
  33. 송혜림(2005a). 연구측면에서 본 가족자원경영학의 과제-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공공가정경영연구의 활성화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31.
  34. 송혜림(2005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주부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1), 17-39.
  35. 송혜림(200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노년기 생활설계프로그램-실태와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25-240.
  36. 송혜림(2009). 공공가정의 인적자원 관리방안-건강가정사 직무분석에의 적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23-39.
  37. 송혜림(2010).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찾아가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혼 취업여성 대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1-17.
  38. 송혜림.권혜진.기은광.김선우.김소영. 채화영(2004). 초기 건강가정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3), 65-93.
  39. 송혜림.김소영(2006).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개발의 가능성-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18.
  40. 송혜림.김소영(2007).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구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2), 95-110.
  41. 송혜림.김유경(2011). 녹색성장 관점에서 본건강가정 : 과제와 실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17.
  42. 송혜림.김유경.조영희(2012). 2011 건강가정지원센터 조손가정 지원 시범사업의 성과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83-107.
  43. 송혜림.라휘문(2009). 광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 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16.
  44. 송혜림.정영금(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20.
  45. 양정선.김성희(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213-237.
  46. 오윤자(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장애아가족 통합지원서비스 사업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67-179.
  47. 윤경자(2008). 건강가족을 위한 한국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지원센터를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4), 85-101.
  48. 윤종희(2006). 건강가정 사업에서 가족-중심개입을 위한 개념 모형.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44(3), 115-126.
  49. 원소연.장진경(200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및 홍보 활성화 방안. 대한가정학회지, 44(8), 101-116.
  50. 이선형(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보편적 서비스의 관점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7-52.
  51. 이승미(2003). 건강가정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7-90.
  52. 이승미.김선미(2005). 저소득 한부모가정, 사례에 비추어 본 지원방안 연구 :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95-112.
  53. 이승미.송혜림.라휘문.박정윤(2012). 가족복지전달체계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5), 1-15.
  54. 이영호(2004). 생활설계프로그램의 활용-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5-66.
  55. 이영호(2005). 자취생의 생활설계 프로그램-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 프로그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3-113.
  56. 이윤정(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79-100.
  57. 이은주.전미경(2013).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헌법 만들기' 사업의 '가정헌법' 분석과 발전방향- 서울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93-108.
  58. 이지원.박정윤.김양희(2008). 가족자원봉사 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6), 89-100.
  59. 임춘희(2007). 건강가정사가 지각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담업무와 근무환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83-105.
  60. 장진경.오제은.한은주.류진아.원소연(2006a). 건강가정지원센터 홍보 및 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27-149.
  61. 장진경.오제은.한은주.류진아.원소연(2006b).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전문가 및 실무자의 역할인식 조사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0), 21-34.
  62. 정민자(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19-329.
  63. 정선희.김윤선.손주영.이연숙.이윤정(2006).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1), 127-147.
  64. 정여주.이기숙(2013).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4), 461-484.
  65. 정영금.강기정.박정윤.정지영.조성은(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브랜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83-98.
  66. 정영금.송혜림(2007). 건강가정 주부 CEO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37-53.
  67. 정영금.조성은.안재희.김지수(2013). 가족친화지원사업의 시행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83-96.
  68. 정지영.정영금.조성은(2007).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93-114.
  69. 정지영.조성은(2009). 녹색가족성장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3-69.
  70. 조성은.정지영.이윤정(2010).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153.
  71. 조희금(2003). 가족자원경영 측면에서 본 건강가정육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3-56.
  72. 조희금.박미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31-344.
  73. 조희금(200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가족자원경영학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7-14.
  74. 조희금.고선강.박정윤.성미애.송혜림.이승미.이현아.장진경.정민자(2014). 건강가정백서. 서울 : 대한가정학회.
  75. 진미정.유재언(2012). 지리적 접근성이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0(7), 13-20.
  76. 차성란(2012a).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안-지역화폐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67-82.
  77. 차성란(2012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운영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87-2010.
  78. 채옥희.홍달아기(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가정을 위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 향상 교육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63-88.
  79. 최연실.송명숙.권희경.조은숙.남영주(2012). 가족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건강가정사의 관점에 대한 질적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0(7), 21-35.
  80. 최옥자.박현식(201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85-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