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according to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

노후준비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생산적 활동의 매개효과-

  • 홍영준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이정훈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4.10.01
  • Accepted : 2014.11.11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ductive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 age in Korea.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226 older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 fare program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18.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were utilized. The result revealed that productive activitie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주.이영애(2010).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1031-1044.
  2. 강유진(2005). 한국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30.40.5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4), 159-174.
  3. 고선강(2011) 중.노년기 가정의 세대 간 자원이전: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 자원 경영학회지, 15(1), 157-175.
  4.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5. 김규엽(2005).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활성화 실시 경로당과 미실시 경로당의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기태(2004). 장년층 노후준비 태도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영.손서희.박미석(2011).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65-78.
  8. 김수연(1987). 도시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양이.이채우(2008).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10. 김인숙(2004).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주성(2010). 중.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주성.최수일(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3), 97-119.
  13. 김주현(2007) 노인 생산적 활동의 복합성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0(3), 57-81.
  14. 노무라 종합연구소(2014). 2014 한국경제 대예측. 서울: 청림출판사.
  15. 박기남(2004).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16.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17. 박충선(1990). 한국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여성연구, 8(3), 115-153.
  18. 박혜성(2007). 노인가계의 경제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혜성.계선자(2008). 노인가계의 경제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57-72.
  20.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21. 배문조.전귀연(2004).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7), 89-102.
  22. 보건복지부(2012). 국민연금, 사적연금 및 노후준비 인식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3. 보건복지부(2009). 노인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보건복지부.
  24. 소광섭(2007). 도농복합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연구. 노인복지연구, 38(1), 7-30.
  25. 서지원(2008). 노년기 경제적 복지를 위한 사회투자정책의 방향 :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31-55.
  26. 성말순(2004).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와 대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신승희(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2009).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
  29. 윤순덕(2003).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임경자(2002).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상매.최수일(2012). 여성노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 학회지, 12(7), 203-214.
  32. 이선형.최은희(2010).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93-212.
  33. 이성은(2013).빈곤노인의 경제활동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39-58.
  34. 이영은(1990). 노인의 성격 유형과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정화(2009).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36. 장연주.서지원(2011). 은퇴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29-49.
  37. 조미영(2006). 중년층의 노후생활대책에 관한 연구. 한일 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39. 최신덕.김모란(1998). 노년사회학, 서울: 하나의학사.
  40. 최은정(2004). 농촌노인들의 노후준비 실태와 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혜련(2012).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2). 2012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한국노인인력개발원.
  43. 한국투자보호재단(2011). 2011 펀드투자자 현황조사, raw data 분석. 한국투자보호재단.
  44. 한은정.김경화(2010) 여성노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여가활동 참여의 매개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231-232.
  45. 홍현방(2005). 생산 활동 수준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9, 203-235.
  46. 통계청(2013). 장래인구 추계. www.nso.go.kr. 통계청.
  47. 통계청(2011). 장래인구추계: 2010 인구 주택 총 조사기준. 통계청.
  48. 통계청(2010). 2010고령자통계. www.nso.go.kr. 통계청.
  49. 통계청(2009). 2009년 건강보험통계연보 www.nso. go. kr. 통계청.
  50. Bass, S. A., Caro, F. G. & Chen, Y.(1993). Achieving a Productive Aging Society, Westport. C. T: Auburn House.
  51. Bull, C. N.(1975). Voluntary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Replication Note. Journal of Gerontology, 30(1), 73-76. https://doi.org/10.1093/geronj/30.1.73
  52. Burr, J. A., Caro F. G. & Moor head, J.(2002). Productive aging and civic participation. Journal of Aging Studies, 16(1), 87-105. https://doi.org/10.1016/S0890-4065(01)00036-6
  53. Chekola, M. G.(1974). The concept of happines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USA.
  54. Chou, K. L. & Chili.(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4(1), 1-14. https://doi.org/10.2190/9K7T-6KXM-C0C6-3D64
  55. Clark R. L. & Spengler J. J.(1980). The economics of individual and population aging.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919-962.
  56. Danigelis, N. L. & McIntosh, B. R.(1993). Resource and the productive activity of elders: race and gender as contexts. Journal of Gerontology, 48(4), S192-S203. https://doi.org/10.1093/geronj/48.4.S192
  57.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New Jersey: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58. Iso-ahola, S.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owa: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59. Jun, H. J.(2001). Productive roles activities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among older adults,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60. Kalish, R. A(1975). Aging self and personality Late Adulteni per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aili Wordsworth Publishing company.
  61. Klumb, P. L. & Baltes, M. M.(1999). Time use of old and very old Berliners: productive and consumptive activities as functions of resources. Journal of Gerontology, 54B(5), S271-S278. https://doi.org/10.1093/geronb/54B.5.S271
  62. Knapp, M. R. J. (1976). Predicting the Dimensions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31(5), 595-604. https://doi.org/10.1093/geronj/31.5.595
  63. Kuhelen, R. G.(1984). Developmental Change in Motivation during the Years: A Reader in Social Psychology. Chicago: The Univ. of Chicago Press.
  64. Li, Y. & Ferraro, K. F.(2006). Volunteering in middle and later life: Is health a benefit, barrier or both? Social Forces, 85, 497-519. https://doi.org/10.1353/sof.2006.0132
  65. Ling, J.(1982). Sex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36(1), 85-89.
  66. Mackinnon, D. P., Lockwood, C. M., Hoffman, J. M., West, S. G. & Sheet, V.(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Psychological Methods, 7(1), 83-104. https://doi.org/10.1037/1082-989X.7.1.83
  67. Medley. M. L.(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 Sixty-Five Years and Older. Journal of Gerontology, 31(4), 448-449. https://doi.org/10.1093/geronj/31.4.448
  68. McIntosh, B. R. & Denigelis. N. I.(1995). Race, gender and the relevance of produtive activity for elders affects. Journal of Gerontology, 50B, S229-S239. https://doi.org/10.1093/geronb/50B.4.S229
  69. Neugarten, B. L., Har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51(3), 48-69.
  70. OECD National Accounts(2010). Household production in OECD Countries: Data sources and measurement method. National Accounts Publications.
  71. Riddick, C. C.(1986). Life satisfaction precursor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8(4), 259-265.
  72. Rily, W. W. & Former, A.(1986). Aging and Society: Inventory of Research Finding. N. Y: Russel Sage Foundation.
  73. Rodin, J. & Langer, Z.(1980). Aging levels: the decline of and the full of self-esteem.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57-63.
  74. Rowe J. W. & Khan R. L.(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est, 37,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75. Saleebey, D.(1992). Conclusion: Possibilities and Problems with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ed.). New York: Longman.
  76. Smith, J., Fleesom, W., Geiselmann B., Settersern Jr. R. A. & Kunzmann, U.(2001). Sources of well-being in very old age. In P. B. Baltes & K. U. Myer(Eds.). The Berlin Aging Study Aging from 70 to 100.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Tinsley, H. A., Teaff, J. D., Colbs, S. L. & Kaufman, N.(1985). A system of classifying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40(2), 172-178. https://doi.org/10.1093/geronj/40.2.172
  78. Thoits, P. A. & Hewitt, L. N.(2001).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 115-131. https://doi.org/10.2307/3090173
  79. United Nations.(2002). Report of the Second World Assembly on Aging. UN.
  80. United Nations.(2010).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0 Revision. UN. precursor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8(4), 259-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