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 by Majoring in Education for the Gif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 비교

  • Received : 2013.09.30
  • Accepted : 2013.10.26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 by majoring in education for the gifted from the graduate school. The subjects were 44 graduate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major and 56 gifted education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ho did not major i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majors showed higher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ubject knowledge,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understanding gifted student, personal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an the teacher who did not major i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p<.05). Second, in the results of Two-Way ANOVA by the major status in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and the gender, there was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subject knowledge, the understanding gifted student, personal efficacy, and the females were influenced by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by the major status in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more than mal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major status in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and career for gifted educati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personal efficacy show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5).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teaching efficacy, all subordinate scopes of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5). I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 knowledge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have effects on the personal efficacy. So the majoring in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from the graduate school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velopment of the subject knowledge and the professionality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 further, it can be said that has positive effect on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교수 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원 영재교육 전공자 44명과 영재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초등학교 영재교사 56명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전공자의 교과지식, 교수전략, 영재아 이해, 개인효능감과 결과기대감에서 영재교육 미전공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은 영재교사로서의 전문성 인식을 높여주고, 교수효능감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재교육 전공 여부 및 성별에 따른 이원변량분석 결과, 교과지식, 영재아 이해, 개인효능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재교육 전공 여부와 영재지도 경력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수전략과 개인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p<.05). 여교사와 영재지도 경력이 짧은 영재교사는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라 남교사와 영재지도 경력이 오래된 교사에 비해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이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과지식과 교수전략이 개인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로써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은 영재교사의 교과지식과 교수전략의 전문성 신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교수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3). 제3차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안). 서울: 교육부.
  2. 김미숙, 서혜애 (2005). 영재교육 가화 사업성과 지표 평가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미숙, 이미경, 강병직, 김영아, 김인순, 박지은, 서예원, 유경재, 이희현, 전경남, 서정연, 김아름, 김정연, 박지희, 이석영, 이정희, 정경란 (2010). 한국의 영재교육: 영재교육 현황과 국가 표준 정립.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현태 (2011). 초등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5. 류지영 (2005). 미국 영재교원 양성체제가 한국 영재교원 양성 체제에 주는 시사. 한국교원교육학회지, 22(1), 69-88.
  6. 박지은, 이봉우 (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7. 서예원, 이재분, 유경재, 정영옥, 박지은, 이경숙 (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수립 연구. 수탁연구 CR2012-3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8. 여상인, 임희준 (2006). '생활속의 화학'강좌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4), 374-382.
  9. 윤미라 (2010).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0.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이희권 (2007).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 연수, 배치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정현철 (2003). 창의적 지식 생산자 양성을 위한 제4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12. 최남구 (2011). 영재 담당 교사의 전문성과 효능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3. 한슬지 (2011). 우리나라 대학원 영재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구성 비교와 분석 및 교사 인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4. 학교알리미 홈페이지. http://www.schoolinfo.go.kr/ (검색일: 2013.5.7.).
  15. Ashton, P. T., Webb, R. B., & Dota, N. (1983). A study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Final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contact.
  16. Ashton, P. T., & Webb, R. B. (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
  17. Chan, D. W. (2001).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of Teachers of Gifted Learners: The Hong Kong Teacher Perspective. Roeper Review, 23(4), 197-202. https://doi.org/10.1080/02783190109554098
  18.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 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2048.x
  19.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4-582.
  20. Hansen, J. B., & Feldhusen, J. 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