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ea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by the Component Ratio of District Heating Users

지역난방 사용자 구성비에 따른 열소비 패턴 분석

  • Lee, Hoon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Department of Chemical E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Min-Kyun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Department of Chemical E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Lae Hyun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Department of Chemical E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화공생명공학과) ;
  • 이민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화공생명공학과) ;
  • 김래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화공생명공학과)
  • Received : 2013.02.13
  • Accepted : 2013.04.26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o run an optimal operation of Integrated energy supply facilities, we need to analyze heat consumption patterns of District heating users and derive optimum and maximum load ratio of heat production facilities unit. This study selects three District heat production facilities. It also classifies District heating users into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s and eight non-residential buildings and analyzes heat consumption results for an year. Finally it carries out the analysis of how the ratio change of each type affects maximum load ratio, facility utilization ratio, heat supply range. According to this study, three different District heat facilities of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 show similar daily and annual heat consumption patterns. Annual average load ratio, maximum load ratio and annual heat demand increase as outdoor temperatures decrease. Non-residential buildings in urban District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s display similar by the daily and annual heat consumption patterns. Yet their daily and annual maximum load ratio differ according to outdoor temperature, District, building types and their composition ratio. In the case of urban District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s reach optimum and maximum load ratio when apartment buildings reaches 60-70% of the total. At that point heat supply range becomes maximized and the most economic efficiency is obtained.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위도의 도시 유형별로 주택과 건물 구성비를 가진 3지역을 선정하여 대상 지역별로 2008년 1년간(1.1~12.31)의 실제 운전실적을 이용하여 지역난방 사용자의 일일 및 연간 열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지역별 상호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택과 건물의 열소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주택 및 건물 지역난방 사용자가 사용한 열소비 패턴을 매시간대별로 파악하고, 연결 열부하(난방면적 ${\times}$ 단위열부하 : 시설용량과 지역난방 배관망의 설계기준이 되는 열부하로 난방면적에 용도별 단위열부하를 곱하여 산출[Gcal/h])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일, 연간 및 최대 부하율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주택 및 건물 지역난방 사용자 비율에 따른 최적의 열원시설 용량산정이 가능케 하고 수요개발(해당 시설용량으로 열공급이 가능한 지역난방 사용자의 범위로 각 사용자기계실의 연결열부하 합과 같음.)단계에서의 정확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반영식, 이영재, 이건영,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 6, No. 3, pp. 125-132 (1990)
  2. 강재식, "주택의 열성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I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4)
  3. 유호선, 정주혁, 문정환, 이재헌, "주택 단위난방 부하 계산을위한 단위공법 제안",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Vol. 19 No.1, pp. 68-76, (2007)
  4. 유호천, 조균형, 이영아, "전과정 평가에 의한 주택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 18 No.5, pp. 212-221, (2002)
  5. 이봉진, 정동열, 이선, 홍희기, 한국형 아파트의 난방에너지 분석 2 : 난방방식에 따른 차이,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Vol. 16 No.5, pp.286-295, (2002)
  6. 박유원, 유호선, 홍희기, 한국형 아파트의 난방에너지 분석 3 :실내 설정조건의 영향,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Vol. 17 No.8, pp. 342-350, (2002)
  7. 최원기, 김헌중, 이현근, 서승직, "주택의 세대별 냉난방에 따른 온도변화 및 열부하 양상에 관한 이론적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Vol. 23 No.6, pp.279-288 (2007)
  8. 정광섭, 김성민 "지역난방 주택에서 외기온도가 난방부하 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Vol. 25 No.2, pp. 233-240 (2009)
  9. 이 훈, 김래현, 장원석, "광역에너지이용 통합 최적화 운전 시스템 개발 및 경제적 효과", 에너지공학 (Journal of EnergyEngineering), Vol. 18, No. 4, pp. 220-228 (2009)
  10. 최정희, 김주영, 홍원화, "대구광역시 주택의 열병합발전시스템 운전패턴에 따른 경제성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 9 pp.299-306 (2006)
  11. Erik Dotzauer, "Prediction system of heat loads in District heating systems", Applied Energy Vol. 75 pp.182-189 (2004)
  12. A. J. Heller, "Heat-load Districtling for large systems", Applied Energy, Vol. 72, No.1, pp. 371-387 (2002) https://doi.org/10.1016/S0306-2619(02)00020-X
  13. Linda Pedersen , Jacob Stang, Rolf Ulseth ," Load prediction method for heat and electricity demand in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planning for mixed energy distribution systems", Energy and Buildings Vol. 40 pp. 1124-1134 (2008). https://doi.org/10.1016/j.enbuild.2007.1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