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망각의 번역과 자기구원의 서사-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

Translation of Oblivion and Narrative of Salvation - Focusing on Im Cheol-woo, A Hundred Years' Inn -

  • 발행 : 20130000

초록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피 맺힌 원한과 고통 가운데 살아가는 역사적 희생자들의 비극적 운명을 그리고 있다. 비극적인 역사와 개인의 운명 가운데 작가가 특히 주목하고 있는 점은 ‘망각’이다. 『백년여관』은 ‘망각과의 투쟁의 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망각은 서사의 중심축을 이룬다. 작품의 서사구조 역시 망각의 존재들이 백년여관에 모여 망각의 정체를 다시 기억해내고 자기 구원의 가능성에 이르는, 이른바 ‘망각-기억-구원의 모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임철우에게 망각과 기억은 곧 생의 의지와 에토스와 연결되고 있다. 작품 속의 망각은 발터 벤야민의 잃어버린 아담의 언어의 파편들이다. 작중의 소설가는 망각되고 실어증에 걸린 그들의 침묵을 다시 번역하기 시작하고, 이를 통해 잊고 있었던 낙원의 파편들을 만나게 된다. 역사의 피해자들의 기억을 복원하는 것은 고통의 재발견이 아니다. 피해자들의 파편적 기억이란 모두 역사라는 장 속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고통의 파편은 도리어 그들이 돌아가야 할 낙원의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임철우에게 망각과의 투쟁이란 역사적 진실의 증언과 함께 근원성에 대한 지향이기도 하다.

A novel of Im Cheol-woo, A Hundred Years' Inn, depicts the tragicdestinies of historical victims living in the bruised grudge and pain in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The author pays particular attentionto "oblivion" in the middle of tragic history and individual fate. As amatter of fact, oblivion is such a central axis of narrative in the noveltha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ovel presents a "process ofstruggle with obliv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shows theprocess of so-called "pursuit of oblivion-recalling-salvation," in whichthe beings of oblivion get together in A Hundred Years' Inn, recall theidentity of each oblivion, and reach the possibility of their ownsalvation. Forgetting and recalling are connected to will for life andethos of life to the author. In the work, oblivion is the fragments ofAdam's language lost by Benjamin. In the novel, the novelist restarts totranslate the silence of those who are forgotten and have aphasia, thusfacing the fragments of the paradise he has forgotten. Restoring thememories of historical victims is not re-discovering pain. Thefragmentary memories of the victims are all intertwined each other inthe venue of history, and the fragments of pain rather display theaspects of the paradise to which they should return. In the end, strugglewith oblivion is also orientation toward fundamentality along with thetestimony of historical truth to the auth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