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경제권에 있어서 통상정책과 외환보유고의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Trade Policy and Its Effectiveness to International Reserves Implemented by Emerging Markets

  • Park, Suk-Gang (Division of Business & Commer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Bok-Jae (Division of Business & Commer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5.29
  • 심사 : 2013.09.22
  • 발행 : 2013.09.27

초록

본 논문은 외환보유고 축적이 신흥경제권의 금융시스템에 중 장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외환보유고의 축적은 신흥경제권에 있어서 금융위기의 재발방지라는 관점에서 매우 유효한 수단이며 금융위기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외환보유고의 과도한 축적이 경제적으로 대외채무, 국내소비, 국내투자 및 경제성장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중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외환보유고의 축적이 국내소비를 감소시키는 한편 수출증가에 의한 무역재 산업의 확대를 가져온다. 즉 무역재 산업의 확대는 무역재 산업이 자본집약적인 경우에 국내투자의 확대를 통해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중국은 국내투자를 대폭적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 외의 국가에서는 과도한 외환보유고의 축적으로 인해서 국내투자가 정체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을 제외하고 과도한 외환보유고의 축적이 비무역재 산업의 축소를 통해 중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침체시킴으로서 잠재적인 리스크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aper, the accumulation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in the financial systems of emerging markets mid-to long-term impact on how investigated. The accumulation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in emerging markets is a highly effective mean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another financial crisis as well as to minimizing risks of financial crisis. By examining the economic effects of excessive accumulation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on factors such as foreign liabilities, domestic consumption, domestic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from a mid-to long-term perspective, it reduced domestic consumption, but on the other hand, led to the expansion of the trade-related industries based on increase of exports. Although China implements a policy to substantially increase domestic investment, other emerging market countries have stagnant domestic investment activities due to excessive accumulation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Such fact signifies that excessive accumulation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increases potential risks by depressing the mid-to long-term economic growth through the scale down of trade-related industr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