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and Power of language for Spinoza

스피노자: 언어의 힘과 공동체

  • Received : 2013.04.05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thesis amis to demonstrate basically that language has the potential enough to be able to determine human's belief, attitude and behavior for Spinoza. As long as the language could be conceived with the potential to do, then it is very important in human community. And it is through dynamic and changeable, not fixed state, that meaning of this language is revealed. For Spinoza, even sign and its meaning compose one language system, but both of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ther community. Because language as sign used in a specific society is articulated expression of body image, each imagination as idea is necessarily followed by its sign. This fact makes us say that language express imaginal knowledge. But language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n means to express adequate idea of it. By the reason that order of meaning is only determined by the connection of signs, and that of meanings, each meaning of sign is not fixed. In this respect, certain meaning is changeable on account of changing new order of ideas. Through re-arranging new order of meaning, language could express more adequate and better idea than before. but what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express adequate idea by the means of language. Power of language determining human's belief and attitude does not depend on whether meaning of sign is true or not, but on hegemony of order of meaning. with this regard, this world could be seen as battle area of conflicting for orders of meaning. The more members accept newly created rational thought through newly arranged words, the more new views of value gain power. Solidarity of man using common language can change the world. For this purpose, first step depends on freedom of thought, freedom of deliverance of thought in which spinoza insists through A Theological - Political Treatise.

스피노자는 인간의 생각과 태도, 행위를 규정하고 이끌어내는 힘을 언어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인간의 의식과 행동을 결정하는 힘이 언어에 있는 한, 인간 공동체에서 언어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런데 스피노자에게 이 언어의 의미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서 드러난다. 스피노자에게 언어를 이루는 기호와 그 의미는 서로 다른 것이다. 한 사회에서 널리 통용되는 기호로서의 언어는 숙고되지 못한 신체적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성립하기 쉬운 까닭에 자주 부적합한 관념으로서의 상상지를 수반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언어가 참된 관념을 표현하지 못하는 도구인 것은 아니다. 의미의 질서는 이미지들의 연쇄, 관념의 연쇄를 통해서만 결정된다. 의미는 항존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지와 관념의 질서를 바꿈으로써 바뀐다. 단어가 함축하는 이미지들과 관념들의 질서를 재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는 참되고 적합한 관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참된 관념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인간의 관념과 행위를 결정하는 언어의 힘은 그것이 참된 것을 표현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의미의 질서가 보다 큰 헤게모니를 가지는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세계는 서로 다른 의미의 질서들이 충돌하고 힘겨루기를 하는 장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성의 질서를 표현하는 언어의 의미를 수용하는 이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언어를 통해 매개되어 연대한 이들의 힘이 이 세계를 보다 더 이성적이며 합리적인 방향으로 바꾸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변화는 바로 언어의 질서를 바꾸는 일, 다시 말해 기존의 관념이 옳지 않다는 것을 밝히고 널리 알리는 일에서 시작되는 것임에 틀림없다. 이것이 바로 스피노자가 "신학 정치론"에서 "성서"의 허구적 측면을 언어 분석을 통해 폭로하고, 사상의 자유를 역설한 까닭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