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소외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Analysi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Disadvantaged student (소외계층 학생의 인공지능 교육 실태 조사)

  • Kim, Seong-Won;Kim, Youngm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에서 소외계층의 지원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소외계층과 일반 학생의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된 여러 요인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를 소외계층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소외계층의 인공지능 교육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인공지능 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할 수 있는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소외계층 662명과 일반 학생 1,48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소외계층은 일반 학생보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프로그램이 언어나 피지컬 컴퓨팅을 경험한 학생 비율이 높았다. 또한, 인공지능 직&·간접적 경험의 비율은 일반 학생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인공지능 교육 경험 비율은 일반 학생이 약 20% 높았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인공지능 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W Career Selec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W Learning Mo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ducational Underprivileged Areas (교육 소외지역 초등학생의 내·외적 SW학습 동기 성향에 따른 SW진로 선택 연구 -인천광역시 읍·면 지역을 중심으로-)

  • Lee, Jaeho;Jang, Junhyung;Kim, Junghoon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7 no.4
    • /
    • pp.187-196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tudy on the SW career education of students from underprivileged areas,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SW education to become a universal education or where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W career selection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s for 2,231 students in grades 3 to 6 in 6 schools located in the marginalized areas of eup/mye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intrinsic SW learning motive of students from underprivileged areas did not affect their SW career choice, whereas the external SW learning motive was analyzed to affect their SW career choice. This is inferred that the intrinsic SW learning motive does not affect the SW career choice due to the lack of SW experience of students in underprivileged areas.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W learning motivation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 In the future, as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class have more SW education experience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how internal SW learning motives affect SW career choice and how external SW learning motives support internal SW learning motives.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s for Underserved Science Gifted Students (소외된 과학영재들의 사고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설계)

  • Park, Ki-yong;Park, Eun-young;Jung, Eun-shik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3 no.2
    • /
    • pp.321-33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s for underserved science gifted students, especially developing the thinking skills. We made orientation and methodology to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s. According to these orientation and methodology, we designed instructional models that improving cognitive thinking and affective attitude of underserved science gifted students. Particularly, we designed instructional models that is composed of objective, activ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Bloom's cognitive educational objective taxonomy(cognitive thinking process) and Krathwohl's affective educational objective taxonomy(affective attitude), we designed integrated(cognitive and affective) and progressive 4 stages or steps instructional models.

  • PDF

Minority Students' Learning Patterns in Science Class (소외 계층 학생들의 과학 학습 유형)

  • Shin, Donghee;Kim, Seolhee;Lee, Jihy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1
    • /
    • pp.129-141
    • /
    • 2019
  • As the number of minority students such as multicultural, North Korean defectors, and low-income groups increases, more research is needed in science education to help their learning. Due to the various growth backgrounds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the underprivileged students,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rather than the whole group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bout 50 hours of science lessons for seven students in the underprivileged class, categorized them by observing and inter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cience learning. Seven underprivileged students showed five different learning patterns, these are 'I love science', 'I think I know science', 'I want to know science', 'I need to know science', and 'I don't know what I want'. Although the scientific activities they experienced were not all of an excellent educational quality, their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has increased with their experience in science activities. It shows the need to provide more abundant science experience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se minority students who can only experience science learning under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al Program for Disadvantaged Students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7-208
    • /
    • 2019
  •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하여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영재교육의 활성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체 학생 중에서 영재교육의 대상자 수의 비율도 증가하였으며, 영재교육 대상자 중 소외계층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일반 영재학생과 다르게 소외계층 영재 학생은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중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총 20차시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수학, 정보 교과의 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주제를 기반으로 기초-심화로 이루어진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교과별 역량 개발을 위하여 탐구 과제를 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Thinking of the Minority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 Low SES (교육소외 학생들을 대상으로 확률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 Baek, Jung-Hwan;Koh, Sang-Sook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1 no.3
    • /
    • pp.301-321
    • /
    • 2012
  • Since research has barely been done on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in probability, this research attempted to search the change of their thinking level in the classes of probability and motivate them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to feel confident in mathematics. We can say that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al discriminations are due to the overlook on the individual condition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some discrimination, 4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minority group, engaged in the research, based on 10 units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signed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for the student's thinking level, it was observed that they were improved from the 1st to the 3rd level in probability. Also,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adequate use of the encouragement, the praise, the direct explanation, and the scaffolding enabled them to prompt their learning motives and the increased responsibility on the learning. As time passed, the participants could share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and its concept with others, in the increased confidenc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for Science Culture and Creative Education

  • Kim, Harim;Kim, Hyoungbum;Sul, Ah-Chi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3-73.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PEST 방법론을 적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는 창의교육을 위한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과학문화 소외지역에 대한 이동천문대 활용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효과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연구로, 과학 문화에 소외된 지역의 학생들에게 천문에 대한 흥미를 주어 향후 천문과학의 올바른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미래 직업으로서 천문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은 관련분야 전문가 5명이 한국천문연구원을 통해 이동천문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PEST 방법론 적용 및 소외지역에 대한 현장 적합성 연구를 5회의 워크숍과 전문가 타당화회의와 Pilot test를 통해 최종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이동천문대는 모든 학생들에게 천문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총 11시간의 PEST 방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으로, '상황제시 1차시, 감성적 체험 5차시, 창의적 설계 5차시로 구성되어 과학문화 소외지역 학생들에게 높은 수업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EST 방법을 적용한 이동천문대 STEAM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천문과학에 대한 과학적 소양과 과학적 본성을 불러일으키는데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에서 다양한 학년과 지역 및 위계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될 필요가 있다.

  • PDF

인문학의 르네상스를 위하여

  • Jeong, Hye-Suk
    • 대학교육
    • /
    • s.92
    • /
    • pp.52-58
    • /
    • 1998
  • 지금까지 대학은 문자 그대로 교육부의 종속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며, 경제제일주의의 천박한 하청업체로 전락한 느낌이다. 온 나라를 산업사회, 과학기술사회화 하려는 시책들은 자연히 인문학의 소외현상을 불러일으켰고, 인문학의 위기는 곧 기존의 인문대학 자체에 대한 존폐 여부까지 논의되는 단계에 이른듯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