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 영재와 일반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 비교

Comparison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Logical Thinking Formation Levels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투고 : 2013.05.29
  • 심사 : 2013.06.20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재 학생의 인지발달 및 논리적 사고력 형성 수준을 조사하고 일반 학생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 79명과 초등학교 일반 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논리적 사고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인지발달 수준 분포를 비교한 결과 초등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구체적 조작기에 머물러 있는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로써 영재는 일반 학생에 비해 인지발달이 빠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 영재 학생의 학년에 따라서 논리적 사고력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5학년 영재에 비해 6학년 영재의 논리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학생의 비율도 34% 높았다. 논리적 사고력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보존논리와 상관논리를 제외한 4개의 논리에서 6학년 영재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6학년 모두 조합논리의 형성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상관논리 형성 비율이 가장 낮았다. 셋째, 영재의 성별에 따른 논리적 사고력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비율은 영재 남학생이 높았으나 구체적 조작기에 머물러 있는 비율도 영재 남학생이 높았다. 논리적 사고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상관논리에서는 영재 여학생이 영재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ve development and logical thinking formation level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to compare with those of elementary regular students. For this purpose, 79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14 reg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and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est) was administered to the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gical thinking score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students'(p<.05).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cognitive development level, elementary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ratio in formal operation and lower ratio in concrete operation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It was interpreted that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s preceded general students'. Second, analyzing according to the grade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logical think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5th graders and 6th graders(p<.05). Compared to 5th graders, logical thinking and formal operation ratio of 6th gifted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e scores of four logical thinking areas except for conservational logic and correlational logic of 6th gifted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5th gifted graders'. Both 5th and 6th graders showed the highest formation ratio in combinational logic, and the lowest ratio in correlational logic. Third, logical thinking scores of gifted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gifted boys reached formal operation more than gifted girls, but stayed more in the concrete operation.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correlational logic. The gifted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gifted boys in correlational logic(p<.05).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희 (2002). 과학 교수 전략에서 학생의 인지 수준과 교과 내용의 인지 요구수준. 교과교육 연구소 2002-01: 이화교육총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 강철웅 (2012).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과학적 개념 이해.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고승옥 (1989). 과학적 사고력의 발달수준과 물리개념 이해정도와의 관계: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장영숙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I)- 초 ․ 중학교 영재 교육과정 시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구자억, 조석희, 김홍원, 서혜애, 임희준, 장영숙, 방승진 (1999). 영재교육과정 개발연구 (II)- 고등학교 영재교육과정 시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권재술, 허명, 최병순 (1987).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그 운영 진단(II)- 지적발달수준과 학업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14.
  7. 김영민, 이성이 (2001). 학교 과학 우수아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과 물리심화 학습성취도의 상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77-688.
  8. 김용미 (1997). 중학교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 교과 내용의 인지요구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제6차 교육과정 2학년 과학교과서 중 화학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9. 김은정 (2007). 남 ․ 여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 정의적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0. 김희영 (1991). 과학적 사고력의 발달수준과 물리개념 이해정도와의 관계: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1. 박민숙 (1994). 중학교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연구- 제5차 교육과정 중 2학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양혜영 (2012).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3. 윤초희, 김홍원 (2004).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 사고, 초인지 및 창의력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8(1), 241-260.
  14. 이명재 (2010). 초등학교 영재 학생 집단의 영재성 수준편차에 대한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5. 이영미 (1991). 고3 자연계 학생의 논리적 사고 발달 수준과 물리 교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이정석 (1998). 논리적 사고력, 지능, 과학성적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물리 개념.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이항로 (2011).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3), 294-305. https://doi.org/10.5467/JKESS.2011.32.3.294
  18. 천혜정 (2009).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학 교과서의 내용 인지 요구도 수준 비교 분석: 제7차 교육과정 8학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 (1985). 중 ․ 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
  20. 한종하 (1982). 중 ․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적 사고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84-24.
  21. 최영재, 고영신, 이재희 (2001). 초등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관한 태도와의 관계. 과학과 수학교육논문집, 27, 69-88.
  22. Adey, P., Shayer, M., & Yates, C. (2001). Thinking Science. London: Thomas Nelson and Sons Ltd.
  23. Bitner-Corvin, B. L. (1988). Is the GALT a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in grades six through twelv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 Brown, A. L. (1978). Conservation of number of continuous quantity in normal, bright, and retard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44, 376-379.
  25. Carter, K. R., & Kontos, S. (1981). The application of developmental theories. Roeper Review, 4, 17-20. https://doi.org/10.1080/02783198109552578
  26. Carter, K. R., & Ormrod, J. E. (1982). A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by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6, 110-115. https://doi.org/10.1177/001698628202600304
  27. Douglas, J. D., & Wong, A. C. (1977). Formal operations: Age and sex differences in Chinese and America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8, 689-692. https://doi.org/10.2307/1128676
  28. Karplus, R. (1977). Science teaching and development of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4(2), 169-175. https://doi.org/10.1002/tea.3660140212
  29. Keating, D. (1975). Precocious cognitive development at the level of formal operations. Child Development, 46, 276-280. https://doi.org/10.2307/1128865
  30. Keating, D., & Schaefer, R. (1975). Ability and sex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formal oper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11, 531-532. https://doi.org/10.1037/h0076670
  31. Leskow, S., & Smock, C. (1970) Developmental changes in problem-solving strategies: permut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12-422. https://doi.org/10.1037/h0029168
  32. Linn, M. C, & Swiney, J. F. (1981). Individual differences in formal thought: Role of expectations and aptitu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274-286. https://doi.org/10.1037/0022-0663.73.2.274
  33. Maccoby, E., & Jacklin, C. (1974).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Mwamwenda, T. (1993). Sex differences in formal operations. The Journal of Psychology, 127(4), 419-425. https://doi.org/10.1080/00223980.1993.9915577
  35. Otaala, B. (1973).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thinking in primary school children. N.Y.: Teachers College Press.
  36. Robers, C. H. (1981). Equilibration and intelligence: Individual variation in conservation development as afunction of CA, MA and IQ.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yn Mawr College.
  37. Roa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38.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Y.: Norton.
  39. Piaget, J., & Inhelder, B.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n essay on the construction of formal operational structures. N.Y.: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