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4-H Seoul Field-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 김진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청소년교육과)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09.11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iveness of 4-H Seoul Field-Experiential Learning Program(4-H SFELP). The effectiveness scale of youth accredited activity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fter screening the data, 155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H SFEL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global leadership, initiative in exchange, and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which are related with effectiveness of youth exchange activity. Second, 4-H SFEL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confidence, challenge spirit,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llective leadership which are related with effectiveness of youth adventure and challenge activity. Third, 4-H SFEL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problem-solving skills, morality, other-respect, and self-respect which are related with effectiveness of youth self-improvement activity. Fourth, 4-H SFEL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autonomy but has not effects on the level of inquiring mind of participants. Al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youth workers and researchers.

본 본 연구는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에서 인증된 청소년 수련활동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청소년 인증수련활동의 효과성 측정도구"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H청소년 서울 현장체험학습"은 글로벌리더십, 교류의 적극성, 세계(지역)문화의 이해 등 교류 활동으로서의 효과성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은 자신감, 도전정신, 성취동기, 공동체 리더십 등 모험개척활동으로서의 효과성과 관련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은 문제해결능력, 도덕성, 타인존중, 자기존중 등 자기계발활동으로서의 효과성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서 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내었다. 넷째,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은 자기효능감, 자율성에서 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내는 반면, 탐구심에서는 정적인 효과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주, 김진호, & 김혁진. (2012).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개선 연구: 우수인증기관 지정제 도입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 임영식, 문성호, & 정경은. (2008). 2008년 청소년인증수련활동 영역별 효과성 척도 개발 연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한국청소년진흥센터.
  3. 임영식, 문성호, & 정경은. (2009). 2009 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 연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한국청소년진흥센터.
  4. 임영식, 문성호, & 정경은. (2011). 2011 인증수련활동 효과성 검증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5. 정경은, & 정미나. (2010). 2010 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6. 한국4-H본부. (2001). 2001년도 사업활동 종합보고서. 서울: 한국4-H본부.
  7. 한국4-H본부. (2003). 2002.2003년도 사업활동 종합보고서. 서울: 한국4-H본부.
  8. 한국4-H본부. (2006a). 농촌청소년 도시문화체험인증심사 제출자료. 서울: 한국4-H본부.
  9. 한국4-H본부. (2006b). 2004.2005년도 사업활동 종합보고서. 서울: 한국4-H본부.
  10. 한국4-H본부. (2011).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 교육자료. 서울: 한국4-H본부.
  11. 한국청소년진흥센터. (2007). 청소년수련활동인증신청 매뉴얼. 서울: 한국청소년진흥센터.
  12. 한국청소년진흥센터. (2008). 청소년수련활동인증신청 매뉴얼. 서울: 한국청소년진흥센터.
  13. 한국청소년진흥센터. (2009). 2009년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인증심사원 직무연수 교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한국청소년진흥센터,청소년수련활동인증위원회.
  14.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1). 2011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인증심사원 직무연수교재. 서울: 여성가족부.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Cited by

  1.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사례 - vol.25, pp.3,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8.25.3.0161
  2. 농업교육 참여자의 인식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농생명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 vol.26, pp.4,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9.26.4.0205
  3.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4-H experience on adolescents’ agricultural career variables vol.27, pp.2, 2013, https://doi.org/10.1080/1389224x.2020.1844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