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ticulturalism and Representation of Racial Others in Korean TV Dramas

드라마 속에 재현된 외국인과 한국의 다문화주의

  • 주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언론학과) ;
  • 노광우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3.07.29
  • Accepted : 2013.09.0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thnoscape of TV dramas on three Korean nationwide television channels from 2005 to 2012 by breaking down how many non-Koreans appear and how they are represented. Among all TV dramas, 6.4% show non-Korean characters of which are generally supportive or small roles. These character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doration, sympathy, proximity, and other. The adoration group consists mostly of white males from USA or Europe that have professional careers such as medical doctors or lawyers and are positively represented with attractive appearance and nice character. On the other hand, the sympathy group is made up of Southeast, Central Asians and blacks. They are mainly represented as an underprivileged group: females and low-paid workers. In the proximity group are the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The Japanese are often represented as rich people that are highly competent or are able to easily cooperate with Koreans. This result shows that Korean TV dramas provide racial and ethnic stereotypes. Though rarely, some dramas represent various lives of foreigners and racial others in Ko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sound multiculturalism by analyzing representation of racial others in TV dramas and internalized stereotypes of foreigners in the diverse and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국내 거주 외국인 100만 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한국의 미디어에 등장하는 외국인의 비율도 점차 늘고 있다. 하지만 대중적인 미디어에서 인종 소수자인 외국인을 정형화된 모습으로 재현할 경우, 이를 보는 한국인의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지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8년간 한국의 지상파 3사 드라마에서 외국인이 얼마나 등장하고 어떤 방식으로 묘사되고 있는지를 유형화해 한국 드라마의 민족적 정경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상파에서 외국인이 등장하는 드라마는 전체 드라마의 6.4%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외국인의 극 중 역할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조연이나 단역에 머물고 있었다. 한편, 극 중 역할을 유형화한 결과 크게 동경집단과 동정집단, 근접집단, 기타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동경집단에는 미국 유럽 출신의 백인과 백인혼혈인이 속했는데, 대다수가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직에 종사하는 남성들로 호감을 주는 외모나 성격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었다. 반면 동정집단은 베트남, 필리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의 유색인종과 흑인혼혈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여성의 비율이 높고 사회 하류층으로 재현되는 경향이 있었다. 근접집단의 경우 우리나라와 역사적 관계가 깊은 일본과 중국 출신의 인물들이 속해 있는데, 일본인의 경우 경제적인 부(富)와 한국인과의 경쟁 및 우호관계가 강조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한국 드라마에서 특정 인종과 민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상당수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일부 드라마에서 고정화된 이미지를 탈피해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외국인의 삶을 재현하고자 했으나, 이런 시도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가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드라마에 등장하는 외국인의 면모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해 한국인에게 내재된 고정관념을 밝히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다문화주의를 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국토비전 2050 수립추진II, 2010.
  2. 강휘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요인과 통합정책. 국가정책연구, 2006, 20권 2호, 5-34.
  3. 김명혜, <황금신부>를 통해 본 한국의 민족적 정경(ethnoscape). 프로그램/텍스트, 2008, 17호.
  4. 김세은.김수아, 다문화사회와 미디어의 재현 :외국인 노동자 보도 분석. 다문화사회연구, 2008, 제1권 1호, 39-73.
  5. 김예란, 한국의 사회적 약자 관련 보도 현실: 언론인들의 자기 성찰적 평가를 중심으로. 저널리즘 평론: 사회적 약자, 2005, 통권21호, 63-103, 서울: 한국언론재단.
  6. 김예란.유단비.김지윤, 인종, 젠더, 계급의 다문화적 역학: TV '다문화적 드라마'의 초국적 사랑 내러티브와 자본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009, 17권 1호, 2-41.
  7. 백선기, 한국 언론의 소수자.약자 보도경향과 사회문화적 함축 의미. 저널리즘 평론: 사회적 약자, 2005, 통권 21호, 10-62, 서울: 한국언론재단.
  8. 이명현. 타자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공룡 둘리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2009, 40호, 169-187.
  9. 이선옥, 한국에서의 이주노동자운동과 다문화주의,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의 현실과 쟁점", '국경없는 마을' 학술토론회 발표논문, 2007, 76-89.
  10. 정의철.이창호,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07, 51권 5호, 84-476.
  11. 행정안전부, 2012년 지방자치단계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 2013.
  12. Bogle, D. Toms, Coons, Mulattoes, Mammies, and Bucks: An Interpretive History of Blacks in American Films, New York: Continuum, 2001.
  13. Dixon, T. L., & Linz, D. Overrepresentation and underrepresentation of African Americans and Latinos as lawbreakers on television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2000, 50(2), 131-154.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0.tb02845.x
  14. Dixon, T. L., & Linz, D. Race and the misrepresentation of victimization on local television news. Communication Research, 2000, 27, 547-573. https://doi.org/10.1177/009365000027005001
  15. Entman, R. Representation and reality in the portrayal of Blacks on network television news. Journalism Quartely, 1994, 71, 509-520. https://doi.org/10.1177/107769909407100303
  16. Guerrero, E. Framing Blackness: The African American Image in Film.,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1991.
  17. Harwood, J., & Roy, A. Social identity theory and mass communication research. In J. Harwood & H. Giles (Eds.), Intergroup Communication: Multiple perspectives 2005, (Vol. 2, pp. 189-212). New York: Peter Lang.
  18. Kim, S. The birth of the local feminist sphere in the global era: 'trans-cinema' and Yosongjang. Inter-Asian Cultural Studies, 2003, 4(1), 10-24. https://doi.org/10.1080/1464937032000060186
  19. Lippmann, W. Public opinion. 1957, New York: Macmillan.
  20. Mastro, D. Effects of racial and ethnic stereotyping. In J. Bryant & M. B. Oliver (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2008, NY: Routledge.
  21. Morgan, Shanahan, & Signorielli. Growing up with television: Cultivation processes. In J. Bryant & M. B. Oliver (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2008, NY: Routledge.
  22. McArthur, L. Z., & Resko, B. G. The portrayals of men women in American television advertisement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75, 97, 209-220. https://doi.org/10.1080/00224545.1975.9923340
  23. Park, S., Holody, K. J., & Zhang, X. Race in Media Coverage of School Shootings: A Parallel Application of Framing Theory and Attribute Agenda-Setting.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2012, 89(3), 475-494. https://doi.org/10.1177/1077699012448873
  24. Romer, D., Jamieson, K., & DeCoteat, N. The treatment of persons of color in local television: Ethnic blame discourse or realistic group conflict. Communication Research, 1998, 25, 286-305. https://doi.org/10.1177/009365098025003002
  25. Shohat, E. & Stam, R. Unthinking Eurocentrism: Multiculturalism and the Media., 1994,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Cited by

  1. Narratives of ‘mixed race’ youth in South Korea: racial order and in-betweenness vol.18, pp.4, 2017, https://doi.org/10.1080/14631369.2016.1219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