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ublime in Tarsem's Films : Focused on

타셈 싱의 영화에 나타난 숭고 연구 : <더 폴>을 중심으로

  • 이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미디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09.0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films by director Tarsem Singh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sublime. The medium of film works in dimensions of both spectacle and narrative. Tarsem's strength mainly comes from spectacle. The visual style of Tarsem is unique and undeniably beautiful, but in a strange and magnificent way, rather than sweet and pleasant. If you accept the premises of Kant and Lyotard that the beautiful is a positive pleasure and the sublime is a negative pain, Tarsem's spectacle is certainly closer to the sublime than the beautiful. The Fall proves the director's ability in both spectacle and narrative. The spectacle of this film is so overwhelmingly huge, and vivid, it easily surpasses spectators' maximum capacity of imagination, which leaves the spectators in awe. Spectacle tends to hinder thinking thus obstruct the flow of narrative, but at the same time it blocks rational suspicion about the narrative. The spectacle of the Fall works as the power to immerse the spectators into the internal logic of the film. Since the spectators are deeply moved by the spectacle, they willingly follow the narrative of the film, the tragic adventure of the heroes which again gives the audience deep catharsis.

본 논문은 타셈 싱 감독의 작품들을 숭고이론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영화라는 매체가 크게 스펙터클과 내러티브가 맞물리며 작용한다고 볼 때 타셈의 강점은 주로 스펙터클에서 나온다. 타셈의 독특한 스펙터클은 감미롭고 유쾌하다기보다는 기이하고 장엄하며 환상적이다. 미는 감미롭고 긍정적인 쾌이고 숭고는 주체가 파악할 수 있는 것과 주체가 표상들로 나타낼 수 있는 것 사이의 분열이라는 불쾌로부터 유래하는 부정적인 쾌라는 칸트와 리오타르의 전제를 받아들인다면 타셈의 스펙터클은 확실히 미보다는 숭고에 가깝다. <더 폴>은 내러티브적인 측면이나 스펙터클적인 측면에서 모두 타셈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이 작품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타셈의 영화가 주는 숭고미를 관찰할 수 있다. <더 폴>이 다섯 살짜리 소녀를 앞세워 제시하는 '이야기의 상상된 비전'은 거대하고 신비로우며 아이답게 컬러풀하다. 이 작품의 스펙터클은 관객의 상상할 수 있는 한계를 압도적으로 초월하여 경탄을 불러일으키며 숭고를 체험시킨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렇게 스펙터클을 통해 불러일으켜진 숭고가 그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타셈의 거대한 스펙터클은 영화 속에 묘사된 현실과 상상된 비전 사이를 오가면서 내러티브에 추진력을 더해 관객이 영화의 내적 논리 속으로 몰입하게 만드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루어진 몰입을 통해 관객은 로이와 알렉산드리아와 함께 하며 그들이 만들어낸 이야기 속 영웅들이 겪는 비극적 모험담을 기꺼이 체험한다. 즉 타셈의 스펙터클이 주는 숭고는 영웅들의 죽음이라는 내러티브적 숭고와 겹치면서 관객으로 하여금 '존재의 고양'을 느끼게 하고, 결국 총체적인 숭고 체험으로 승화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앤드류 달리, 김주환 역,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2.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이현복 편역,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2011
  3. 임마누엘 칸트, 이석윤 역, 판단력 비판, 박영사, 2003
  4. 김미숙.고부웅, 할리우드 스펙터클 영화의 숭고와 이데올로기, 문학과 영상, 제 12권 4호 (2011, 겨울), pp.895-926.
  5. 김상현, 칸트, 판단력 비판, (해제), 철학사상 별책 제 5권 제 6호,2005,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http://audio.dn.naver.com/audio/ncr/0850_1/20111213164105744_C13KUNEN2.pdf 2013년 7월 25일 검색
  6. 서대정, 재현을 넘어서는 영화미학: 숭고, 푼크툼, 환유적 사유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 38호 (2008, 12), pp.313-340.
  7. 이윤영, 멀리서 바라보기-영화 속의 숭고: 데이비드 린의 <아라비아의 로렌스>와 존 포드의 <수색자>를 중심으로, 미학, 제62집 (2010, 6월), pp.175-217
  8. 이윤희, 동화 "백설 공주"를 영화화한 작품들의 비교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 30호, (2013, 3), pp. 245-262
  9. 정수경,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비인간과 숭고, 미학, 제63집 (2010, 9월), pp.101-141
  10. Debord, Guy, La Societe du spectacle (1967), Translated by Donald Nicholson-Smith,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Zone Books, 1994, http://www.cddc.vt.edu/sionline/si/tsots00.html 2013년 7월 5일 검색
  11. Lyotard, Jean-Francois, Translated by Regis Durand,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http://courses.arch.ntua.gr/fsr/142088/Lyotard,%20Answering%20the%20Question%20 What%20Is%20Postmodernism.pdf, 2013년 7월 2일 검색
  12. Williams, Raymond, "Culture is Ordinary(1958)," Resources of Hope: Culture, Democracy, Socialism, Verso, pp. 3-14, http://artsites.ucsc.edu/faculty/Gustafson/FILM%20162.W10/readings/Williams. Ordinary.pdf, 2013년 7월 28일 검색
  13. Ebert, Roger, "Tarsem and the Legend of "The Fall"", RogerEbert.com, (June 3, 2008)http://www.rogerebert.com/interviews/tarsem-and-the-legend-of-the-fall, 2013년 7월 30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