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종

Search Result 56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모패의 체중별 교차수정에 의한 치패의 성장

  • 강경호;김영훈;김재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22-623
    • /
    • 2001
  • 전복류는 세계적으로 100여종으로 알려져 있고, 이중 어획 대상이 되는 대형종은 20여종으로서 주로 온대수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류는 소형종인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supertexta)를 비롯하여 난류계의 대형종인 말전복(H. gigantea), 까막전복(H. discus), 시볼트 전복(H. sieboldii) 그리고, 한류계인 참전복(H. discus hannai)의 5종이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Introduction of seven-type channels on large experimental facility (대형 수리모형 실험시설의 7종 실험수로 구축 소개)

  • Yoon, Jae-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6-236
    • /
    • 2018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 구축되고 있는 대형 수리모형 실험시설은 수공구조물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수행, 설계기준 제 개정, 호안 검인증제도 지원 등 국가의 정책지원과 개방 공유를 통한 국내 건설기업의 하천분야 신기술 개발 및 국가 경쟁력 확보, 하천 관련 원천기술 확보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는 대규모 분산공유형 실험시설에 해당한다. 본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구축 진행되고 있는 7종의 실험수로는 장기하상변동, 토석류, 실규모 호안블록, 감세공 수리특성, 신형어도개발 등 다양한 수리특성에 대한 계측 및 분석이 가능한 대형 실험시설에 해당한다. 7종의 실험수로는 PIV시스템의 연계 계측이 가능한 1) 고정식개수로, 2) PIV실험수로와 1/5의 역경사 재현이 가능한 3) 가변식경사수로, 호안블록 및 사석의 소류력 측정이 가능한 4) 고정식급경사수로, 토석류흐름 측정이 가능한 5) 가변식하도실험수로, 장기하상변동 분석을 위한 6) 대형유사순환수로, 부유사의 침 퇴적 양상 재현을 위한 7) 소형유사순환수로로 구성되어진다. 7종의 실험수로는 '18년 2월에 착공하여 현재 실시설계도서를 검토 중에 있으며, 18년 9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 PDF

해가리비, Anusium japonicum japonicum의 성성숙과 성비

  • 손팔원;정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7-368
    • /
    • 2003
  • 해가리비는 주로 제주도 남부의 서귀포 법환과 강정연안을 중심으로 수심 20∼40m의 모래바닥에 서식하는 제주 지역 특산종이다. 본 종은 각장 13cm까지 성장하는 대형종으로 패각이 아름답고 수율이 높으며 육질의 맛이 단백하여 양식기술이 개발될 경우 산업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가리비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본 종의 자원량이 날로 감소되어 자원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증ㆍ양식 기술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중략)

  • PDF

One New Species of The Genus Galloisiana (Notoptera ; Grylloblattidae) from Korea (한국산 갈르와벌레의 1 신종)

  • Namkung, J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 no.2
    • /
    • pp.53-58
    • /
    • 1986
  • 한국에서 발견된 갈르와벌레의 세 번째 신종을 기재하였따. 세계적으로 희귀한 본 속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2종 [Galloisiana biryongensis Namkung, 1974 (비룡갈르와벌레) 및 Galloisiana kosuensis Namkung, 1974(고수갈르와 벌레)]이 보고된 바 있고 , 이 신종 [Galloisiana magnus, n.sp.(동대갈르와벌레)]을 추가함으로서 한국산 갈르와벌레는 3 종이 된다. 본 신종은 미지의 어느것보다도 대형종이며 그 형태적면에서 비룡갈르와벌레와 비슷한 점이 많으나 , 제 10 복절배판(supra-anal plate) 및 주교속돌기(principal couplatory sclerite)의 모양 등엣 뚜렷한 차이가 있다. 본 종의 한국명은 동대 동굴탐험연구회의 다년간에 걸친 동굴 탐험연구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 동대갈르와벌레\" 로 명명하였다.; 로 명명하였다.

  • PDF

Bioecological Study of the Upwelling Area Around Cheju Island -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Chagwi-do, Cheju Island - (제주도 주변 요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

  • 이정재;현재민;김종철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1-2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제주도 차귀도 4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9문, 17강, 35목, 75과, 146종이었다.2. 계절별 출현종수는 춘계에 124종, 하계 113종, 추계 99종, 동계에 86종이었다.3.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1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N. exigua), 제2우점은 거북선(P. mitalla). (N.japonica),울타리고둥(M. labio), 중부구역은 배무래기(N. schrenkii), 밤고둥(C. argyrostoma lischkei), 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M. perplexa), 검은따개비(T. squamosa japonica)가 지점에 따라 제1, 제2우점종을 이루었다. 하부구역은 밤고둥, 검은따개비, 줄군부 (L. coreanica), 거북손, 굵은줄격판담치(S. virgatus)가 지점에 따라 우점하였으며, 상부구역 우점종의 군집우점지수는 매우 높았다.4. 조간대 하부구역의 종다양성은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고 계절별 출현종수에 유의성이 있었으나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는 없었다.5.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에는 상. 중. 하 구역별유의성은 없었고 풍부도에서는 상부구역에서 유의하였다.6. 제주 미기록종으로 부채넓적이끼벌레(D. su-bovoidea), 딱지조개(P. japonica), 목주림고둥(T. guerinii), 전촉수갯지렁이(A. validus), 바다거미(L. hilgendorfi)가 채집되었다.

  • PDF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수정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 이재용;정지현;김명희;한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0-271
    • /
    • 2000
  • 십각 갑각류의 수정관은 정자의 성숙, 정포형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획득 그리고 교미 전까지 정포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종에 따라 수정관은 3에서 10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부위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Mclaughlin, 1983; Hinch and McKnight, 1988; El-Sherief, 1991). 본 종은 체장 90mm 전후까지 성장하며, 우리 나라 담수산 새우류 중에서는 비교적 대형종에 속한다. (중략)

  • PD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Common Species of Macrobenthos in Biin Bay of the Yellow Sea, Korea (비인만 대형저서동물의 전 군집 공통 출현종에 관한 공간분포 특성)

  • KOH, Byoung-Seol;CHOI, Ok-In;JO, Young-Jo;SONG, Jae-Hee;KWON, Dae-Hyeon;LEE, Chang-Il;LEE, Dong-Yup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9 no.3
    • /
    • pp.13-24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if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 were related with sedimentary characteristics. Sedimentar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n each community after carrying of community analysis based upon species composition. Macrobenthic animals were distinguished with 4 communities based on the tidal level, of which 3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sediment composition. Common species which were presented in all communities, Nephtys californiensis Hartman 1938, Haploscoloplos elongatus Johnson 1901, Glycera sp., Heteromastus sp. Notomastus sp. Timarete amtarctica Mono 1930, Glysinde sp., Lumbrineris japonica Marenzeller 1879 were having different appearance densities at each community area caused by different sedimentary characteristics. But only two species among the common species have a correlation significantly. Temporal variation of common species could not be recognised because of 4 times of seasonal investigation was not enough know their life cycles. So, in the future more frequently sampling method should be required.

  • PDF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across Spatial Scales of Macrobenthos in the Seomjin River (섬진강 하구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공간 규모에서 다양성)

  • Huh, Man Kyu;Joo, Woo Hong;Choi, Choo Joo;Seo, Jeoung-Yo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10
    • /
    • pp.1286-1294
    • /
    • 2012
  • Biological assessment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were carried out in the Seomjin River from May 2009 to November 2010. Fishes from 106 species belonging to 24 families and 10 orders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sites. Locational dominant species differed among sites, and the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differed depending on site, although six si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same survey dates. Across sites,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was 38.3, ranging from five at site 1 to 66 at site 2 in May 2009. Site 2 had the highest number of species on November 2009, while site 3 had the lowest. Arthropods dominated the macrobenthic community at species (63.2% May) and individual (60.9% November) levels. DO, BOD, and COD were shown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numbers of macrobenthos. Peaks in the diversity index trended downward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sites.

Macrobenthos Assemblages on the Rocky Shores of Wando and Jodo islands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in Summer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완도·조도 암반조간대 하계에 출현한 대형저서무척추동물)

  • Lee, Changil;Yang, Sehee;Gang, Sunhwa;Seo, Ch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843-852
    • /
    • 2022
  •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benthic species on the southwest coast, a macrobenthos study was conducted at 18 sites on the islands of Wando and Jodo for seven summers (2014-2021) from June to September. Two hundred and twenty species(645 ind./m2) were collected on the rocky shores of Wando and Jodo. A similar 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in Wando (165 species) and Jodo (167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higher in Wando (726 ind./m2) than in Jodo (564 ind./m2). The number of species was the highest at Site 15 (116 species), and the density was highest at Site 7 (1,664 ind/m2). The dominant species were Nodilittorina radiata with 175 ind./m2 (27.1%), Littorina brevicula with 97 ind./m2 (15.1%), and Heminerita japonica with 41 ind./m2 (6.3%). The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Tetraclita japonca, appeared in 15 sites, and the endemic species, Ptilohyale bisaeta, appeared in some sites. Fusinus spectrum, which appears on the Red List as a Near Threatened (NT) species, the lowest level of extinction risk, appeared in Jodo. The macrobenthos of Wando and Jodo demonstr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ocky shores in Korea. Based on the tides and substrate, the rocky shores revealed a vertical distribution trend where Nodilittorina radiata, Littorina brevicula, Chthamalus challengeri, and Reishia clavigera were dominant. Wando and Jodo exhibited similar habitat distribution pa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