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패션 광고에 표상된 남성 몸에 관한 담론

Discourse On the Male Body Represented In Fashion Advertisement

  • 박선지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Park, Seon-Ji (Dep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tudies of Arts, Sungkyunkwan University) ;
  • Yim, Eun-Hyuk (Dept.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투고 : 2013.01.22
  • 심사 : 2013.03.26
  • 발행 : 2013.09.30

초록

In this study, the image of the male body represented in fashion advertisement is analyzed based on discourses on the male body. Fashion brand advertisements, which emphasized the images of the male body, were selected from two magazines: GQ, a men's magazine, and VOGUE, a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 The published dates of the selected images were from Feb. 2010 to Oct. 2012, and these imag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results of the discourse on the male body appearing in fashion advertisement based on the discussion of changing masculinity suggests the following 4 features: i) macho, powerful and muscular male representing the hegemonic manhood; ii) refined and decorated male representing the wealthy and disengaged figure of a successful businessman; iii) androgynous male represented by the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embedded in gender; iv) as an aesthetic object, the male with sex role of changed from a subject to an ornament, whose body becomes the object of voyeuristic view.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ideal and modern masculinity, and in particular, attempted to offer suggestions in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ale body image depending on the consumer type in order to enhance the brand image. This new masculinity is thought to be a foundation on which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s suitable for the demands of future customers can be produc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호기 (2004), 페미니스트 문화 실천의 장, 책으로 읽는 21세기, 서울: 도서출판 길, p. 275.
  2. 한국서양사학회 편 (2011), 몸으로 역사를 읽다, 서울: 푸른역사, p. 6.
  3.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허정선 (2004), 패션아트에 나타난 몸의 왜곡과 변형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4(3), pp. 145-158.
  5. 김소영, 이병화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신체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54(3), pp. 129-143.
  6. 임은혁 (2011), 패션에 나타난 몸의 이상화 -외면화된 코르셋으로서의 스키니 진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5(10), pp. 1215-1227.
  7. 염혜수, 임은혁 (2011), 패션광고에 나타난 몸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징,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15(2), pp. 52-70.
  8. 황지영 (2006), 광고에 표상된 몸 이미지와 그 의미: 기호학적 접근, 한국광고학회, 17(4), pp. 7-32.
  9. 백주연, 송민희, 김동덕 (2010), TV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몸과 이데올로기 분석, 2010 한국디자인학회봄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 74-75.
  10. 양숙희, 양희영 (2005), 현대 광고에 나타난 남성 신체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2), pp. 326-337.
  11. 김진욱 (2008), 남성 패션잡지의 광고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수진, 박길순 (2008),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외모의 변화양상,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pp. 105-114.
  13. 한경정, 조창환 (2010), 광고 속 남성성의 시대에 따른 변화에 대한 분석: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1(5), pp. 174-177.
  14. 김민주 (2009), 2010 트렌드 키워드, 서울: 미래의 창
  15. 심지용 (2002), 마케팅과 광고, 서울: 삼영사, p. 172.
  16. 김충현 (1996), 이상화된 광고이미지의 비의도적인 효과, 광고연구, 33, pp. 9-31.
  17. 이희욱, 안의진, 이경탁 (2009), 광고 이론과 전략, 서울: Pegasus, p. 303.
  18. 안보은 (2005), 패션광고에 나타난 메트로섹슈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19. 현실문화연구 편 (1999), 광고의 신화, 욕망, 이미지, 서울: 현실문화연구, p. 95.
  20. Newhall (1987), 사진의 역사, 정진국 역, 서울: 열화당, p. 345.
  21. 김진욱 (2008), 남성 패션잡지의 광고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22. 김진욱 (2008), 남성 패션잡지의 광고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23. 양해림 (2008),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p. 160.
  24. 양해림 (2008),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 161-162.
  25. 양해림 (2008),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p. 163.
  26. 양해림 (2008),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pp. 167-168.
  27. 홍은영 (2004),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서울: 철학과현실사, p. 94.
  28. 윤조원 (2003), 교환과 상징적 폭력: 부르디외의 논의를 중심으로, 비평과 이론, 8(2), pp. 5-25.
  29.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
  30. 염혜수, 임은혁 (2011), 패션광고에 나타난 몸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징,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15(2), p. 62.
  31. Mosse, George L. (2003), 남자의 이미지, 이관조 역, 서울: 문예출판사, p. 10.
  32. 박노자 (2009), 씩씩한 남자 만들기, 서울: 푸른역사, p. 33.
  33. Mosse, George L. (2003), 남자의 이미지, 이관조 역, 서울: 문예출판사, p. 13.
  34. Prentice & Carranza (2002), What Women and Men Should Be, Shouldn't be, are Allowed to be, and don't Have to Be: The Contents of Prescriptive Gender Stereotype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6(4), pp. 269-281. https://doi.org/10.1111/1471-6402.t01-1-00066
  35. 마정미 (2000), 지루한 광고에 도시락을 던져라, 서울: 문예출판사, p. 190
  36. D.F. Sabo & R. Runfola (1980), Violence and the masculine mystique, Jock: Sports and male identity, NJ: Prentice Hall, pp. 131-157.
  37. "Calvin Klein Jeans" (2012. 4), GQ, pp. 22-23.
  38. Segal, L. (1990), Slow motion: Changing masculinities, changing men, NJ: Rutgers University Press, p. 58.
  39. "DOLCE & GABBANA" (2012. 3), GQ, pp. 16-17.
  40. "Ralph Lauren" (2012. 4), GQ, pp. 4-5.
  41. "Ermenegildo Zegna" (2012. 3), GQ, pp. 20-21.
  42. "BURBERRY" (2011. 10), GQ, pp. 14-15.
  43. "BURBERRY" (2011. 9), GQ, pp. 14-15.
  44. "LANVIN" (2012. 4), VOGUE, pp. 30-31.
  45. "GUCCI" (2011. 8), VOGUE, pp.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