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M기반의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 성능분석 방법 및 사례연구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and Case Study for BIM based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

  • 전기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윤석헌 (경상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2.09.18
  • 심사 : 2013.05.07
  • 발행 : 2013.07.31

초록

건설프로젝트는 현장여건의 변화와 불확실성으로 신뢰성 높은 계획을 수립하기 힘들고 따라서 건축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도입으로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뢰성 높은 계획을 수립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시점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단순 애니메이션 용도로만 사용되고 실제 엔지니어링 업무를 지원하는 경우도 드물다. 최근 들어 이러한 한계점을 탈피하고 보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BIM의 가장 핵심이 업무 효율성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BIM기반 건축시공시뮬레이션시스템 등의 BIM기반 시스템은 성능 분석이 매우 필요한 요소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의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표준 시나리오를 정의하여 이를 기준으로 성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이고 적극성을 갖춘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Because that construction project is usually uncertain and the plan of it changes frequently, it is difficult to make a reliable and feasible plan for it. As the BIM technology is developed, we can simulate the futur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visually and make more reliable plan. However, data production efficiency is not so high, it is used just for animation and presentation usage. Although, a lot of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s are developed, it is difficult to measure performance of them.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construction simulation work process and the scenarios to measure performance of them. The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using simulation process scenario can make possible benchmark test of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진강.이현수.박문서.정민혁 (2013). "IFC활용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4권, 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53-64 https://doi.org/10.6106/kjcem.2013.14.3.053
  2. 김태수.김경환 (2008). "4D 시뮬레이션 구현을 위한 공정과 3D 모델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99-203
  3. 이재철 (2002).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객체 라이브러리의 정의 및 구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3호, pp. 149-156
  4. 이재철 (2004). "4D 시뮬레이션 및 일정별 물량정보검색을 위한 3D 모델 정보 활용".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07-114
  5. 유제승.김경환 (2010). "자동 공정 생성을 통한 4D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25권 9호, pp. 173-180
  6. 조진.박광호.박원호.백준홍 (2007).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3D 모델-공정 자동연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805-808
  7. 주성일.전한종 (2009). "4D 시뮬레이션에 활용 가능한 BIM기반 물량산출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335-338
  8. Julian H. Kang, Stuart D. Anderson, Mark J. Clayton (2007). "Empirical Study on the Merit of Web-Based 4D visualization in Collaborative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3, No. 6, pp. 447-46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7)133:6(447)
  9. Nashwan Dawood, Eknarin Sriprasert, Zaki Mallasi, Darren Scott (2003). "An industrial evaluation of the virtual construction site(Vircon) tools". The 20th CIB W78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10. Nashwan Dawood, Mallasi Z. (2006). "Construction Workspace Planning: Assignment and Analysis Utilizing 4D Visualization Technologies". Computer-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Vol. 21, No. 7, pp. 49-513 https://doi.org/10.1111/j.1467-8667.2006.00454.x
  11. Kristen Barlish, Kenneth Sullivan (2012). "How to measure the benefits of BIM - A case study approa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24, pp. 149-159 https://doi.org/10.1016/j.autcon.2012.02.008

피인용 문헌

  1. Assessment of th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Wartime Relocatable Military Facilities vol.14, pp.6, 2014, https://doi.org/10.5345/JKIBC.2014.14.6.545
  2. Framework and Core Competency of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IDM) vol.15, pp.1,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