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of Cheongsanbyeolgok in Goryeo Dynasty and Gangbo in Joseon Dysnaty

고려 <청산별곡>과 조선 <강보>의 관계

  • Received : 2013.06.21
  • Accepted : 2013.09.12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Chongsanbyeolgok is one of Goryeo songs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the composer of which is not known as well as other Goryeo songs. Balsang songs is structured with eleven songs that has been composed newly by King Sejong in Joseon Dynasty for using at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Johoe (royal audiences), performance, Gangbo is one of 11 songs in Balsang. In Sejongsillok, it is written that Balsang was composed by taking the melody and rhythm of gochwiak (processional music) or hyangak. Thus, it is interesting to know how gochwiak and hyangak, especially Chongsanbyeolgok affected structure and rhythm of Gangbo. As an analytical result of Gangbo and Chongsanbyeolgok, Gangbo consisted of 48 Haeng(line) repeated Chongsanbyeolgok's melody (10 Haeng) by three times. That is, 1-16, 17-32, and 33-48 Haeng of Gangbo excerpted from Cheongsanbyeolgok's melody, and those melodies of Gangbo are same or similar to Chongsanbyeolgok. In this report, Gangbo, one of Balsang's musics in Jos대n Dynasty is proven to be excerpted from the melody of Chongsanbyeolgok in Goryeo Dynasty and repeated.

<청산별곡(靑山別曲)>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이며, <강보(降寶)>는 조선 세종이 종묘, 조회, 공연에 사용하기위해 새로 창제한 <발상(發祥)> 11곡 중의 한 곡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의하면 <발상>은 고취악과 향악에 의하여 창제되었다고 하였으므로 이 기록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발상> 중 <강보>가 고려 향악인 <청산별곡>에 근거하여 창제되었음을 밝힌 논문이다. <강보>와 <청산별곡>의 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48행의 <강보>는 10행의 <청산별곡>을 세 번 반복하였는데, 즉 <강보>의 1-16행, 17-32행, 33-48행에서 <청산별곡>이 세 번 반복하여 발췌되었고, <청산별곡>과 <강보>의 선율은 거의 같거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세종 때 <발상> 중의 <강보>가 고려 향악인 <청산별곡>을 발췌하여 신악(新樂)으로 창제되었음을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樂章歌詞
  2. 樂學便考
  3. 時用鄕樂譜
  4. 張師勛, 國樂論攷, 서울大學校出版部, p.72, 1980.
  5. 장사훈, 증보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p.276, 1986.
  6. 李惠求, 韓國音樂論叢, 秀文堂, pp.55-70, 1976.
  7. 이혜구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2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p.206-207, 1973.
  8. 世宗實錄
  9. 송방송, "조선왕조 건국초기의 정재사(呈才史) 연구", 민족과 음악, 제23호, pp.193-232, 2002.
  10. 신대철, "세종대 이후 연산군대의 향악과 당악", 한국음악연구, 제29집, pp.99-100, 2001.
  11. 정경란, "고려 청산별곡(靑山別曲)의 현대적 습용(襲用)", 고조선단군학, 제26호, pp.384-387, 2012.
  12.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20집, pp.79-80, 1986.
  13. 정경란, "고려 <귀호곡>과 종묘제례악 <형가>의 관계", 국악원논문집, 제26집, pp.291-323, 2013.
  14. 정경란, "고려 야심사의 조선 종묘제례악 전승", 人文科學, 제96집, pp.141-184, 2012.
  15. 서은숙,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417-427, 2009.
  16. 김지원, 류지성, "전통춤 디지털콘텐츠에 관한 문화예술정책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156-17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