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에 대한 동태적 분석

A Dynamic Analysis of Poverty Durations in Korea

  • 투고 : 2013.06.17
  • 심사 : 2013.07.26
  • 발행 : 2013.08.31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1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특성별로 빈곤가구의 빈곤지속기간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산시간위험률모형을 통해 빈곤탈피율과 빈곤재진입률을 추정하고 이들 확률을 결합하여 빈곤진입 이후의 빈곤지속기간을 추산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진입가구의 절반가량은 1~2년의 단기빈곤층, 1/4정도는 5년 이상의 장기빈곤층, 나머지 1/4은 3~4년의 중기 또는 반복 빈곤층으로 분류되었다. 가구특성에 따라 빈곤지속기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데, 여성가구주가구, 노인가구, 가구주 교육수준이 낮은 가구, 배우자 없는 가구, 가구주나 가구원이 미취업이거나 임시/일용직에 종사하는 가구에서 장기빈곤층의 비중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빈곤층이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각각에 알맞은 빈곤정책을 수립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ave 1~11)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duration of the poor as a whole and by household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 first estimated poverty exit rates and reentry rates applying discrete-time hazard model to the sample, and then calculated poverty duration combining these two probability rates. The results show that about a half of poor households are transitory (short-term) poor with 1~2 years of poverty duration. A quarter is chronic (long-term) poor lasting for 5 or more years of poverty duration. The remained quarter can be categorized as the recurrent or mid-term poor.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greatly affect poverty duration. Long-term poverty is prevalent among female-head households, elderly households, single households, or households headed by a person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 If households' heads do not work, or work as temporary or daily-employed workers, the poverty duration tends to be longer.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or consist of various social class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Efficient anti-poverty policy should be based on thoroughly identify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cla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