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대의 진화과정 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Exploring the Evolution Patterns of Trading Zones Appearing in the Convergence of Teachers' Ideas: The Case Study of a Learning Community of Teaching Volunteers 'STEAM Teacher Community'

  • 투고 : 2013.07.07
  • 심사 : 2013.08.07
  • 발행 : 2013.08.30

초록

이 연구는 서로 다른 교과의 교사들로 이루어진 학습공동체 활동 중 아이디어 융합과정에서의 교역지대의 형성과 진화 양상을 알아보고, 교역지대 경험과정에서 느낀 어려움과 변화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중학교의 교내 학습공동체인'STEAM 교사 연구회'소속 교사들에 대해 참여관찰, 심층면담 그리고 반성적 에세이 작성 및 검토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STEAM 교사 연구회'소속 교사들은 융합형 교수-학습 계획안 작성이라는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전문성 교환을 위하여 성공적으로 교역지대를 형성하였으며, 전교역지대, 엘리트 통제에 의한 교역지대, 경계대상이 있는 교역지대, 공유된 정신모형의 교역지대의 형태로 형성되고 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교역지대의 하위 단계로는'아이디어 융합의 당위성 확인',' 개인적 해석과정',' 모두가 공급자'가 나타났고, 엘리트 통제에 의한 교역지대에서 나타난 하위단계로'기여적 전문성의 등장'과 '제도적 힘의 불균형'이 있었으며, 경계대상이 있는 교역지대에서는 하위단계로'상호작용적 전문성의 등장','공약불가능 상태의 확인', '경계물 및 매개물을 통한 교집합 형성',' 중간언어 사용 및 의미협상을 통한 공약불가능의 극복노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유된 정신모형의 교역지대'에서는 하위단계로서 '교역지대 공간의 유지 노력'및'형성된 교역지대 공간의 확장시도'가 나타났다. 또한 교역지대 형성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들은'교과간의 문화와 견해 차이',' 융합동기의 결여',' 융합의 주도권과 융합을 위한 억지 요소 도입',' 용어의 불통'이 있었다. 그러나'STEAM 교사 연구회'교사들의 교역지대 경험 후'융합의 필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교사공동체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실천의지',' 타 교과 및 자신의 교수-학습에 대한 관점의 변화', '융합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 해소와 자신감 획득'과 같은 인식의 전환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 도출된 교역지대 모형은 교과 융합을 위한 자율적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on and evolution patterns of a trading zone an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 in the trading zone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experience. Seven teachers involved in the 'STEAM Teacher Community'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d reflective essay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successfully formed a trading zone to share their expertise when the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for the convergence of different subject matters. Moreover, such a trading zone evolved in the order of pre-trading zone, trading zone under elite control, trading zone with boundary object, and trading zone of shared mental model. The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d in the trading zone were categorized under the difference of culture and opinion across subject matters, the lack of motivation for convergence, the hegemony of convergence and far-fetched factors for convergence, and difficulty of communication due to jargons. Also teachers in this study experienced perceptual changes in the trading zone. The trading zone model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bring forth implications for voluntar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tivity for the convergence of different subject matt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도영, 신명환, 신필여, 위햇님, 윤경욱, 양찬호, 김지영, 민현식, 노태희, 김찬종(2012). 지각 변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중간 언어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3(1), 69-81.
  2. 곽영순, 김주훈(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144-154.
  3. 구원희, 박영희, 나귀수, 황연주, 하정미(2010). 자기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PDS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4(3), 579-599.
  4. 김광웅(2009). 우리는 미래에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서울: 생각의 나무.
  5. 김권숙, 최선영(2012). 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16-226.
  6. 김동환(2002). 개념적 혼성과 의미구성 양상. 언어과학연구, 21, 45-68.
  7.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9-402.
  8.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9. 김학진, 우상호, 김진수(2012).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전기전자기술 단원에서 활용할'뮤직로봇'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교원교육, 28(4), 123-139.
  10. 김효정, 정가윤, 이현주(2013).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 경험과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90-404.
  11. 문지영, 송주연, 김성원(2012).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통합 활동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32(5), 890-902.
  12.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37-451.
  13. 박상욱(2012). 융합은 얼마나: 이론상의 가능성과 실천상의 장벽에 관하여. 홍성욱(편). 융합이란 무엇인가? 서울: 사이언스북스.
  14. 박영석, 구하라, 문종은, 안성호, 유병규, 이경윤,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함승환, 황세영(2012). STEAM의 현황과 과제: 2011년 STEAM 교사연구회 자료분석, 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학술대회 발표자료.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5. 박용혁(2012). 상상표현에서의 개념적 혼성. 한국초등교육, 23(1), 193-212.
  16. 박혜원, 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17.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4), 149-171.
  18. 서경혜, 이주연, 현성혜, 이자연, 심수원, 김지혜(2007). 교육과정 개혁과 학습문화. 교육과정연구. 25(3), 155-191.
  19. 서동인(2012). 융합연구를 경험한 과학 및 과학기술자의 교역지대 교유경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신승철(2011). 경계언어와 특이성 생산 피진에 대한 가타리의 다층기호론적 분석틀 적용을 중심으로 -. 시대와 철학, 22(2), 197-228.
  21.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22. 신재한, 남궁정도, 김유, 박성수, 조준범, 이영미, 한주연(2013).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215-240.
  23. 심재호(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37.
  24. 양미경(2012). 학제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열린교육연구, 17(3), 51-72.
  25. 양찬호, 김지영, 신필여, 위햇님, 신명환, 강도영, 김소요, 민현식, 김찬종, 노태희(2011). 과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유형 및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45-757.
  26. 오필석, 이선경, 김찬종(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297-308.
  27. 오헌석, 김희정, 배형준, 서동인, 김한솔(2012). 융합학문 어떻게 탄생하는가? 교육문제연구, 43, 51-82.
  28. 유은정, 이선경, 오필석, 신명경, 김찬종(2008). 중등과학 수업의 참여구조 사례 연구: '혼성적 의미 창출 공간'의 형성 가능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03-617.
  29. 이민희, 임해미(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 -177.
  30. 이현명(2012). 'C 교육대학교와 부성초등학교 간의 영어교과 전문교사학습공동체(PLC) 활동'의 실제와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85-623.
  31. 조상식(2002). 현상학과 교육학. 서울: 원미사.
  32. 조향숙, 김훈, 허준영(2012).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이슈페이퍼(OR 2012-02-02).
  33.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34. 차원용(2009). 산업기술관점에서의 융복합 차이 및 가치제안. 한국산업기술진흥원.
  35. 최재천, 주일우(2007). 지식의 통섭. 서울: 이음.
  36. 태진미(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37. 하민수, 이준기(2012).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융합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에 관련된 변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20-330.
  38. 한윤이(2006). 음악과 교육과정 중심의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 초등교과교육연구, 7, 71-90.
  39. 한재영 ,심재호 ,류성철 ,임혁 ,최정훈(2008). 교사 모임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향상: 실험 행사 중 교사의 상호작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2(2), 397-411.
  40. 홍성욱(2008).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융합시대의 과학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41. 홍성욱(2011). 성공하는 융합, 실패하는 융합. 홍성욱(편).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서울: 사이언스북스.
  42. Apobela, S. W., Larson, E., Bakken, S., Carrasquillo, O., Formicola, A., Giled, S. A., Haas, J., & Gebbie, K. M. (2007). Defin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nclusions from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Services Research, 42(1), 329-346. https://doi.org/10.1111/j.1475-6773.2006.00621.x
  43. Bhabha, H. K. (1994). The Location of Culture. London, UK: Routledge.
  44. Bybee, R. W. (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he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45. Collins, H. (2004). Interactional expertise as a third kinds of knowledge.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3, 125-143. https://doi.org/10.1023/B:PHEN.0000040824.89221.1a
  46. Collins, H., Evans, R., Gorman, M (2007). Trading zones and interactional expertise.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38, 657-666. https://doi.org/10.1016/j.shpsa.2007.09.003
  47. Cooper, S., Khatib, F., Treuille, A., Barbero, J., Lee, J., Beenen, M., Leaver-Fay, A., Baker, D., Popovic, Z., & Foldit players (2010). Predicting protein structures with a multiplayer online game. Nature, 466, 756-760. https://doi.org/10.1038/nature09304
  48. Couturier, Y., & Dumas-Laverdiere, C. (2006). Comparison of methods and interdisciplinary possibilities: The case of literature reviews in social work and nursing science. The Qualitative Report, 11(1), 80-87.
  49. Dooner, A.-M., Mandzuk, D., & Clifton, R. A. (2008). Stages of collaboration and the realiti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564-574. https://doi.org/10.1016/j.tate.2007.09.009
  50. Fauconnier, G. (1997). Mapping in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Fauconnier, G., & Turner, M. (1998).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s. Cognitive Science, 22, 133-187.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2202_1
  52. Fauconnier, G., & Turner, M. (2009).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김동환, 최영호, 역). 서울: 지호출판사. (원서 출판 2002).
  53. Galison, P. (1996). Computer Simulation and the Trading Zone. In Galison & Stump(Ed.). The Disunity of Science: Boundaries, Context, and Power. Califo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54. Galison, P. (1997). Image and logic: A material culture of microphysic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5. Gorman, M. E. (2002). Level of expertise and trading zones: A framework for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Social Studies of Science, 32(5/6), 933-938. https://doi.org/10.1177/030631202128967343
  56. Gorman, M. E., Groves, . F., & Shrager, J. (2004). Societal Dimensions of Nanotechnology as a Trading Zone: Results from a Pilot Project. in D. Baird, A. Nordmann & J. Schummer (eds.), Discovering the Nanoscale, (IOS Press Amsterdam) pp. 63-73.
  57. Wellington, J., & Osborne, J. (2010). 과학교실에서 언어와 문식력 (임칠성, 김종희, 전은주, 박종원, 원진숙, 이창덕, 심영택, 최재혁, 박철웅,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2001).
  58. Gorman, M. E., Werhane, P., & Swani, N.(2009). Moral Imagination, trading zones, and the roles of ethicist in Nanotechnology. Nanoethics, 3, 185-195. https://doi.org/10.1007/s11569-009-0069-8
  59. Gouvea, J. S., Sawtelle, V., Geller, B. D., & Turpen, C. (2013). A Framework for Analyzing Interdisciplinary Task: Implications for Student Learning and Curricular Design. CBE-Life Science Education, 12, 187-205.
  60. Jason, O.- S., Kabo, F. Levenstein, M., Price, R., & Davis, G. F. (2012). A Tale of Two Buildings: Socio-Spatial Signiflcance in Innovatio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61. Jenkins, L. D. (2010). The evolution of a trading zone: a case study of the turtle excluder device.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41, 75-85. https://doi.org/10.1016/j.shpsa.2009.12.008
  62. Johansson, F. (2005). 메디치 효과. (김종식, 역). 서울: 세종서적.(원서출판 2004).
  63. Kellogg, K. C., Orlikowski, W. J., Yates, O. (2006). Life in the Trading Zone: Structuring Coordination Across Boundaries in Postbureaucratic Organizations. Organization Science, 17(1), 22-44. https://doi.org/10.1287/orsc.1050.0157
  64. Kim, H. S. (2012). Climate change, science and communit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21(3): 268-285. https://doi.org/10.1177/0963662511421711
  65. Klein, J. T. (1990). Interdisciplinarity: History, Theory, and Practice.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66. Klein, J. T. (2001). Transdisciplinarity: Joint Problem Solving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 Effective Way for Managing Complexity.
  67. Kruse, S. D., Louise, K. S., & Bryk, A. (1995). An emerging framework for analyzing school-based professional community. In K. S. Louise & S. D. Kruse (Eds.),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 Perspectives on reforming urban schools (pp23-24).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68. Kuhn, S. T.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Lele, S., & Norgaard, R. B. (2005). Practicing interdisciplinarity. BioScience, 55(11), 967-975. https://doi.org/10.1641/0006-3568(2005)055[0967:PI]2.0.CO;2
  69. Lincoln, Y. S., & Guba, E. G. (1989). Naturalistic inquiry. Beverley Hills, CA: Sage Publication.
  70. Lumpe, A. T. (2007). Research-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engaged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 125-128. https://doi.org/10.1007/s10972-006-9018-3
  71.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
  72. Mansfield, R. S., & Busse, T. V. (1993). 창의적인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임선하, 역). 서울: 도서출판 하우. (원서출판 1981).
  73. McCartney, M. (2013). Interdisciplinary Check. Science, 341, 11.
  74. Morris, N., & Hebden, J. C. (2008). Evolving collaboration: A self-referential case-study of a social/natural sciences collaborative project. Science Studies, 21(2), 27-46.
  75. Nonaka, I., & Konno, N. (1998). The concept of 'Ba': Building a foundation for knowledge cre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40(3), 40-54. https://doi.org/10.2307/41165942
  76. Shrager, J. (2010). From wizard to trading zone: Crossing the chasm of computer in scientific collaboration systems. In M. E. Gorman(Ed.), Trading Zones and Interactional Expertise: Creating New Kinds of Collaboration. The MIT Press.
  77.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78.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79. Smith, P. (2012). Innovating in the trading zone Organizing inter-organizational R&D. In 2012 Academy of Management Annual Meeting. Snow, C. P. (2001). 두 문화 (오영환,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서출판 1959).
  80. Star, S. L. (1989). The structure of ill-structured solutions: Boundary objects and heterogeneous distributed problem solving. M. Huhns and L. Gasser, Eds. Readings in Distributed Artiflcial Intelligence. Morgan Kaufman, Menlo Park, CA.
  81. Star, S. L. (2010). This is Not a Boundary Object: Reflections on the Origin of a Concept.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35(5) 601-617 https://doi.org/10.1177/0162243910377624
  82. Star, S. L., & Griesemer, J. (1989). Institutional ecology, 'Translations', and Boundary objects: Amateurs and professionals on Berkeley's museum of vertebrate zoology. Social Studies of Science, 19, 387-420. https://doi.org/10.1177/030631289019003001
  83. Stohr, K. (2003). A multicentre collaboration to investigate the cause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The Lancet, 361, 1730-1733. https://doi.org/10.1016/S0140-6736(03)13376-4
  84. Surowiecki, J. (2004)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New York: Doubleday.
  85. Thagard, P. (2005). Being interdisciplinary: Trading zone in cognitive science. In S. J. Derry, C. D. Schunn & M. A. Gernsbacher(Eds.).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 emerging cognitive science. Lond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
  86. Toffler, A., & Toffler, H. (2006). 부의 미래 (김종웅, 역) 서울: 청림출판. (원서출판 2006).
  87. Van den Bossche, P., Gijselaers, W., Segers, M., Woltjer, G., Kirschner, P. (2011). Team learning: building shared mental models. Instructional Science, 39, 282-301.
  88. Wallace, C. S. (2004). Framing new research in science literacy and language use: Authenticity, multiple discourses, and the "Third Space". Science Education, 88(6), 901-914. https://doi.org/10.1002/sce.20024
  89. Wardak, A., & Gorman, M. E. (2006). Using trading zones and life cycle analysis to understand nanotechnology regulation. The Journal of Law, Medicine & Ethics, 34(4), 695-703. https://doi.org/10.1111/j.1748-720X.2006.00089.x
  90. Weick, K. E. (1979).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ing. Reading, MA: Addison-Wesley.
  91. Westheimer, J. (1999). Communities and consequences: An inquiry into ideology and practive in teachers' professional work. Education Administration Quarterly, 35(1), 71-105. https://doi.org/10.1177/00131619921968473
  92. Wilson, E. O. (2005). 통섭, 지식의 대통합 (최재천, 장대익,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서출판 1998).

피인용 문헌

  1.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23
  2. 공동체 단위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를 중심으로- vol.53, pp.2,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2.201
  3. Meanings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Comments on Science Classroom Culture vol.18, pp.3,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827
  4. 중등 과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vol.35, pp.6,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49
  5.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 on STEAM education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 vol.20, pp.1,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6.20.1.50
  6.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잠재집단분석의 적용- vol.37, pp.1,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13
  7. Exploring the Perception Structure of Science Teachers on Basic Science,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Science vol.56, pp.4, 2013, https://doi.org/10.15812/ter.56.4.201712.487
  8. THE RELATION OF GENDER AND TRACK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vol.18, pp.3, 2019, https://doi.org/10.33225/jbse/19.18.417
  9. 과학 규범에 관한 인식 측정 도구 개발 및 예비 과학교사 대상 적용 vol.39, pp.4,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4.489
  10. STEAM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향 -STEAM 교육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견해를 바탕으로- vol.39,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573
  11. A review of the effect of integrated STEM or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vol.5, pp.1, 2013, https://doi.org/10.1186/s41029-019-0034-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