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 (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 김현정, 홍훈기, 전화영 (2010). 수업 평가와 반성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수업 수행 능력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36-849.
-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 (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 박미화, 이진석, 이경호, 송진웅 (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 박성혜 (2003). The Development of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ment in Science Teaching for Elementry School Teac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 (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28(6), 641-648.
- 손만수 (2009). 교원양성 기관에서 개설된 생물실험수업의 유형 분류와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의 만족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일호, 정진우, 허명, 김영신, 김진수, 김민경, 최현동, 오창호 (2005). 과학 실험 수업 분석 도구 개발. 초등과학교육, 24(5), 504-517.
-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 (2006).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 상호 작용 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5), 509-520.
- 양일호, 조현준 (2005). 학교 과학수업에서의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24(3), 268-280.
-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8). 예비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46-564.
- 윤지현, 임희준, 박지애, 노태희 (2012). 멘토링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의 특징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 고찰. 초등과학교육, 31(1), 99-108.
- 윤혜경 (2012).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03-716.
- 이근준, 정진우 (2004).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07-518.
- 이송연, 민희정, 원정애, 백성혜 (201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21-640.
- 이윤정 (2011).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96-209.
- 이은주, 강순희 (2012). 탐구 기능의 직접적 수업을 위한 탐구 기능 하위 요소 추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236-264.
- 이정아 (2010).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378-388.
-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 정진우, 이근준, 김진국 (2006).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64-373.
-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1105-1149).
-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Abrahams, I. (2009). Does Practical Work Really Motivate? A study of the affective value of practical work in second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31(17), 2335-2353. https://doi.org/10.1080/09500690802342836
- Bennett, J., & Kennedy, D. (2001). Practical work at the upper high school level: the evaluation of a new model of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 97-110. https://doi.org/10.1080/09500690119244
- Davis, E. A. (2006). Characterizing productive reflec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eing what ma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3), 281-301. https://doi.org/10.1016/j.tate.2005.11.005
- Lunetta, V. N., & Hofstein, A. (1991). Simulation and laboratory practical activity. In B. E. Woolnough (Ed.), Practical Science: The role and reality of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125-137). Open University Press.
- Magnusson, S., Krajcik, J. S.,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 Roth, W. M., & Tobin, K. (2001). The implications of coteaching/cogenerative dialogue for teacher evaluation: Learn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of everyday practice.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15(1), 7-29. https://doi.org/10.1023/A:1011100117706
- Shulman, L. S., & Sykes, G. (1986). A national board for teaching? In search of a bold standard. Paper prepared for the Task Force on Teaching as a Profession, Carnegie Forum on Education and the Economy. New york: Carnegie Corporation.
-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1.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 Tamir, P. (1988).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2), 99-110.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11-X
-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https://doi.org/10.2307/1179579
- Ward, J. R., Suzanne S., & McCotter, S. S. (2004). Reflection as a visible outcome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3) 243-257. https://doi.org/10.1016/j.tate.2004.02.004
- Wellington, J. J. (1998).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Time for re-appraisal. In Wellington, J.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3-15). London: Routledge
피인용 문헌
- Analyz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s Reflection on their Instruction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A Case of Three Years of Biological Laboratory Class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523
- Analyzing the Growth of a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Case of a Three-Year Volu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vol.14, pp.4, 2013, https://doi.org/10.29333/ejmste/8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