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light Attendants

항공사 승무원의 감성노동이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5.02
  • Accepted : 2013.06.19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irline context. In this study, 2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re employed. Questionnaire was also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 convenience sample of 163 flight attendants was surveyed and 153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emotional labor was divided into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Burnout, on the other hand,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variable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feelings of personal accomplishment' accordingly. Then the data and hypotheses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AMO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emotional labor has no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while emotional labor has negative effects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feelings of personal accomplishment'. Secondly,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feelings of personal accomplishments'' factor have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emotional exhaustion' has no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tinuous and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o administer 'emotional labor'. Consulting system should also be conducted to reduce burnout and systematic procedure is also needed to induce positive results from burnout.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감성노동이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감성노동은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구분하였으며, 소진은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로 구분하였다. 편의표본추출을 통해 163부의 설문지를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회수하였으며,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하고 153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감성노동 중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는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고갈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를 높게 지각할수록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고갈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따라서 소진을 높게 지각할수록 조직몰입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하여 감성노동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팀별 혹은 소속 부서별로 상담 제도를 활성화하여 감성노동으로 인한 직무소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유재, 서비스 마케팅, 학현사 4판, 2010.
  2. 황승미, 윤지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제21권, 제2호, pp.277-294, 2012.
  3. A. R. Hochschild,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4. 윤선영,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학회, 제14권, 제1호, pp.1-10, 2010.
  5. 박동수, 전명구, 정성한, "감성노동의 개념화와 선행요인", 인사관리연구, 제29권, 제4호, pp.133-167, 225, 2005.
  6. 문연희, 정경은, 이성근, 최지호, "항공 서비스에서 정서노동, 직무소진, 그리고 고객 지향성 간의 관계", 상품학연구, 제26권, 제1호, pp.131-140, 2008.
  7. 송지준, "서비스 산업 종사원의 감정부조화, 소진, 조직몰입간의 구조적관계: 콜센터 상담직원을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3권, 제2호, pp.103-123, 2011.
  8. Y. N. Cho, B. N. Rutherford, and J. K. Park, "Emotional labor's impact in a retail environ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pp.1-8, 2012.
  9. D. Gursoy, Y. Boylu, and U. Avci, "Identifying the complex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and its correl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30, pp.783-794, 2011. https://doi.org/10.1016/j.ijhm.2010.10.009
  10. B. Ashforth and R.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pp.88-115, 1993.
  11. A. R. Hochschild,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35, No.3, pp.551-575, 1979.
  12. J. Lee and C. Ok, "Reducing burnout and enhancing job satisfaction: Critical role of hotel employe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labor,"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31, pp.1101-1112, 2012. https://doi.org/10.1016/j.ijhm.2012.01.007
  13. A. A. Grandey,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pp.86-96, 2003(2). https://doi.org/10.2307/30040678
  14. 김광지, "호텔 식음료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4권, 제4호, pp.27-44, 2011.
  15. 김수련, 김강식, 이동명,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6권, 제4호, pp.81-107, 2008.
  16. H. Freudenberger, "Staff Burnout Syndrome,"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0, No.1, pp.159-165, 1974.
  17. W. B. Schaufeli and B. P. Buunk, Burnout: An overview of 25 years of research and theorizing. The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second edition. UK: John Wiley & Sons, Ltd., 2003.
  18. C. Maslach and S. Jackson, The Maslach burn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19. C. Maslach and S. E. Jackson, Burnout in organizational settings, In S. Oskamp(ed). Applied Social Psychology Annual: Applications in Organizational Settings, Vol.5, pp.133-153, 1984.
  20. 최동희, 김홍범, "호텔종사자의 조직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경영학회, 제21권, 제2호, pp.37-54, 2012.
  21. G. M. Alarcon, "A meta-analysis of burn out with job demands, resources, and attitud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9, pp.549-562, 2011. https://doi.org/10.1016/j.jvb.2011.03.007
  22. C. Maslach, "Job burnout: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d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2, No.5, pp.189-192, 2003. https://doi.org/10.1111/1467-8721.01258
  23. T. S. Batcman and S. Strasser,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ny of Management Journal, Vol.27, No.1, pp.95-112, 1984. https://doi.org/10.2307/255959
  24. 조경희, 고호석,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7호, pp.404-41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7.404
  25.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pp.1-1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26. 유기석, 고선희, "대면종사자 교육이 서비스몰입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항공사, 호텔종사자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13권, 제3호, pp.113-132, 2009.
  27. 고종식, 황진수,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절변수의 영향에 관한 가설검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3권, 제1호, pp.523-545, 2010.
  28. 강영욱, 이승철, 김명희, "조직변화 냉소주의가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사립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제7호, pp.243-25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7.243
  29. 박영배, 안대희, 이상우, "호텔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9권, 제12호, pp.853-86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853
  30. 오정학, 김철원, 이향정, "소진의 원인, 결과 및 완화요인에 관한 연구: 국적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제20권, 제4호, pp.271-291, 2011.
  31. C. M. Brotheridge and A. A. Grandey,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0, pp.17-39, 2002.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32. T. A. Wright and S. E. Hobfoll, "Commi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performance, An examination of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and job burn out,"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pp.389-406, 2004.
  33. 구효진, 고재윤, "카지노 종사원 소진이 조직적 참여, 직무만족, 직무불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제27권, pp.144-159, 2007.
  34. 소영호, 조현익, 양재근, "상업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조직 몰입 및 이직의도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pp.272-286, 2009.
  35. J. E. Jr.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 variate Data Analysis, Fifth Edi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1988.
  3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8.
  3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8.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pp.74-94, 1988. https://doi.org/10.1007/BF02723327

Cited by

  1.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Service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Hotel Employees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vol.13, pp.1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470
  2.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ustomer Orientation among Flight Attendant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vol.14, pp.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401
  3. The effect of pre-flight attendant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on commitment to customer service vol.10, pp.2, 2016, https://doi.org/10.1007/s11628-015-0273-2
  4. Impact of customer orientation on turnover intention: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ur vol.25, pp.5, 2017, https://doi.org/10.1108/IJOA-06-2017-1184
  5.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emotional labour and job burnout vol.8, pp.2, 2017, https://doi.org/10.1108/JCHRM-03-2017-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