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Attitudes of Local Residents to the Mountainous Ecology Trail Development Plan - Focusing on Sobaeksan Jarackgil -

산악형 생태탐방로 개발계획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분석 - 소백산 자락길을 대상으로 -

  • Park, Kum-M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Y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금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11.14
  • Accepted : 2013.02.26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s of local residents to the development plan of Sobaeksan Jarackgil by applying the social exchange theory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untainous Ecology Trail Development Plan, collecting opinions of local residents. For this, we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personal interview targeting 150 residents of seven villages.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because of analyzing the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most of the local residents turned out to be aware of the Sobaeksan Jarackgil development plan and agreed on i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ciousness of residents, for attitudes according to gender, females expected more than males of exchanging with visitors and excavation of cultural assets. Furthermore for attitudes according to age, groups aged under 60 turned out to be concerned about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s, rise in crimes, destruction of cultures, and the induction of conflicts among residents. For attitudes according to occupations, farm workers were worried about the destruction of ecology, and for local characteristics and damages to the landscape, all of the local residents turned out to be concerned. It was shown that groups that agreed on the development plan expected positively on most of the items of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aspects, while those that disagreed on the plan were anxious for negative effects such as landscape damages and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s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and the induction of conflicts among residents from the point of sociocultural perspective.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산악형 생태탐방로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회교환이론을 적용하여 소백산 자락길 개발계획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식분석 및 태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7개 마을 주민 1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 및 개인면접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주민 의식분석 결과, 소백산 자락길 개발계획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며, 또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주민 태도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태도는 탐방객과의 교류 및 전통문화재 발굴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기대하였으며, 연령별 태도는 마을의 환경오염 증가, 범죄 증가, 문화 파괴, 주민갈등 유발 등에서 60세 미만 집단에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에 따른 태도는 농업 종사자가 생태계 파괴 부분을 우려하고 있었으며, 지역적 특성 및 경관 훼손에서는 모든 지역주민들이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발계획의 찬성집단은 경제적, 환경적, 사회 문화적 측면 대부분의 항목에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집단은 환경적 측면의 경관훼손, 환경오염 증가와 사회 문화적 측면의 주민갈등 유발 등 개발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완(1998) 지역주민의 지각된 관광영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동완, 정승호(2004)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태도차이. 대한국토도시학회지 39(2): 177-188.
  3. 고동우(2000) 기획 축제 참가자의 여가 경험: 내재적 동기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4(2): 47-71.
  4. 김동석(2005) 산림지역의 생태관광개발을 위한 지역주민 참여의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지역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미, 김미주, 김성섭(2010) 카지노 개발 이전의 기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인식, 장소애착심, 카지노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의사 간의 관계. 한국관광학회지 34(5): 307-330.
  6. 김성일, 강미희(1998)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 한국임학회지 87(4): 620-630.
  7. 김인환, 김웅진(2009) 농촌관광사업에서 지역주민간의 파트너십 및 갈등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4(5): 251-273.
  8. 노형진(2005) 한글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9. 박민정(2010) 강원도 국립공원의 생태관광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지 2010(2):1005-1020.
  10. 사단법인 울진숲길(2011) 금강소나무 숲길 운영보고서.
  11. 심진범, 최승담(2007) 관광개발정책 과정에서의 주민 저항 영향요인 연구. 관광연구 22(1): 1-19.
  12. 양성수, 허향진, 장승훈(2009) 제주지역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태도관계 분석. 한국관광학회 제 65차 학술심포지엄 발표집. pp. 599-606.
  13. 양영관(2008) 지역민의 환경의식과 결속력이 생태관광축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윤원(2011) 농촌관광 사업에있어 주민갈등 구성요인과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충기, 강세영(2004) 폐광카지노 지역주민 인식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호텔경영학회지 13(1): 1-12.
  16. 장혜영(1998) 생태관광지의 야생동물 탐방로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영철, 정병웅(1999) 사회교환 이론의 적용을 통한 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학회지 1(1): 155-178.
  18. 정승호(2002)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태도 차이.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록환(2003) 농촌관광 사업지역의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조우현, 윤희재, 임승빈(2011) 북한산 둘레길 이용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4): 60-73. https://doi.org/10.9715/KILA.2011.39.4.060
  21. 조은경, 한상열, 유리화, 김재준(2009) 지리산길 조성에 따른 산촌지역 주민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4): 1-11.
  22. 허향진, 현용호, 허성철(2005) 주민참여의식에 따른 지역경제여건, 지각된편익.비용, 관광개발 유형간의 구조모델 분석. 한국관광학회지 30(3): 229-250.
  23. 환경부(2008) 국가생태.문화탐방로 사업설명회 자료.
  24. Homans, G. C.(1958) Social behavior as exchang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3(6): 597-606. https://doi.org/10.1086/222355
  25. Jurowski, C., M. Uysal, & D. R. Williama(1997) A theoretical analysis of host community resident reaction to tourism. Journal of Travel Research 36(2): 3-11. https://doi.org/10.1177/004728759703600102
  26. Lee, Choong Ki & Ki-joon Back(2003) Pre and post-casino impact of resident's percep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30(4): 868-885. https://doi.org/10.1016/S0160-7383(03)00060-4
  27. Thibaut, J. W. &H. H. Kelley(1959) The Social Psychology of Groups. New York: Wiley.
  28. World Tourism Organization(1997) Yearbook of Tourism Statistics 1996 (49th edn), Madrid: W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