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多)공구 도로 건설 현장의 장비 공유시스템 구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ing Road Construction Productivity by Developing a Programmatic Resource Distribution System for Equipment Sharing in Multi-sectioned Road Construction Projects

  • 구본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
  • 투고 : 2013.02.07
  • 심사 : 2013.03.12
  • 발행 : 2013.05.31

초록

국내에서 시행되는 대형 도로건설사업은 공구별로 분리 발주되고 개별 시공사는 단절된 형태로 시공을 하게 된다. 공구별 공종 및 활용 장비는 유사하나, 공구 간 장비의 공유는 비공식적이고 부분적으로만 일어난다. 이로 인해 도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고가의 장비들은 낮은 가동률을 보이며 임대비용이 공사비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린 건설과 프로그램 매니지먼트의 이론에 근거하여 개별 공구에서 발생하는 유휴 및 부족 장비를 전체 사업 차원에서 공유함으로서 장비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개발된 장비공유시스템은 정의된 기준(최단거리, 연속성, 빈도 및 일대일) 및 일련의 절차에 따라 공구들의 장비 수급현황을 바탕으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가동률을 높여주는 조건하에 두 공구 간 장비의 매칭(matching)을 자동화해준다. 본 시스템을 실제 도로공사 현장 4개 공구에 3개월 간, 3개 장비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다공구에서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nDPR이 향상되었으며, 장비 비용 또한 4.45% 개선되었다. 더불어, 공유횟수가 많은 장비일수록 nDPR 및 비용이 비례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 장비의 공유를 통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사업이 아닌 전체사업 차원의 관리를 통해 증대되는 사업 가치를 정량적으로 제시함으로서 프로그램 차원의 사업관리모델을 조기 도입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oad construction projects are parcelled into sub-sections which are then tendered to individual contractors for construction. The type of work and equipments used are similar for each sub-section. However, such equipment are not shared on a regular basis among the contractors and only partially performed in an informal and ad hoc manner. Consequently, road construction equipment suffer from low utilization and increased leasing costs. Lean construction and Program Management approaches stres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mong individual participants in a way that increases the collective cost savings of the entire project. This research attempts to apply such theories with the notion that under utilization of expensive equipment can be improved by formalizing a way to enable the sharing of equipment in large, public sponsored, multi-sectioned road construction projects. A system was developed consisting of a set of criteria and processes that enables automatic allocation of equipment to multiple sites on daily basis, in a way that minimizes equipment costs and improves their individual utility. The system was then applied in allocating three different types of equipment to an actual road construction project with four sub-sections for three months. A new metric, nDPR showed that utilization improved for all equipment and also equipment related costs were decreased by 4.45%. Results also showed that increased shared opportunities of equipment correspond to an increase in utilization and cost sav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지훈 (2008). "토석자원의 재활용과 토석정보공유시스템(TOCYCLE)". 국토연구원, 건설경제 2008년 여름호, 통권 56권, pp. 74-84.
  2. 김홍열 (2012). "다(多)공구 도로 공사 현장 장비들의 운영 실태 파악을 위한 생산성 지표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00-109. https://doi.org/10.6106/KJCEM.2012.13.4.100
  3. 송설민.김예상.진상윤.권순욱 (2011). "IPD 도입을 위한 국내 건설기술자의 인식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72-80. https://doi.org/10.6106/KJCEM.2011.12.2.72
  4. Ballard, G.(1994). "The Last Planner", Lean Construction Institute, Northern California Construction Institute Spring Conference, Monterey, CA, April pp. 22-24.
  5. Ballard, G. and Howell GA. (2005). "Relational Contracting and Lean construction". Lean Construction Journal, Vol 2 No 1 pp. 1-4 https://doi.org/10.1142/S0219869X05000373
  6. Kent C. D. and Becerik-Gerber, B. (2010). "Understanding construction industry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integrated project delivery". AS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ugust 2010, Posted ahead of print 16 January 2010.
  7. Kim, Y. and Ballard G. (2000). "Is Earned Value Method an Enemy of WorkFlow", Proceedings Eigh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Lean Construction, IGLC-6, Brighton, UK, July, pp. 17-19.
  8. Kini, D. U. (2000). "Global Program Management - Not Business as Usual",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 16, No. 6, November/December 2000, pp. 29-33.
  9. Nokes, S. (2008). "The Definitive Guide to Project Management: The fast track to getting the job done on time and on budget.". New York: Prentice Hall.
  10. Project Management Institute(PMI) (2008).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2nd Ed, Project Manage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