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Waste Factors for Business Phases on Customized Apartment Project

맞춤형 공동주택 프로젝트의 업무단계별 낭비요인 분석

  • 최정임 (숭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이기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정성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송영웅 (숭실대학교 미래기술연구소) ;
  • 최윤기 (숭실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Recently, to reflect the various needs of customers in the apartment field, the customized apartment has emerged. From the point of the customer, customized apartments have the definit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uarantee more customer options. On the other hand, from the point of the project manager, there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with increase of management factors, construction delays, etc. The reasons for this are, to date, the insufficient systematic analysis of the project, and the lack of experience of similar projects. This study provides the waste factors of each phase in a customized apartment project. A survey and interview are conducted to achieve the waste factors using MUDA methodology; a process of the project was analyzed; and a factor of each process was identified. Also,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re used, to evaluate the waste factors in project stages. The AHP results show that "Design change" and "Inappropriate intervention in construction process" ranked highly in the waste factors. The results of our research will provide a countermeasure that addresses waste factors in similar projects, and contributes to reducing the extra cost and time in new projects.

최근 맞춤형 공동주택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의 반영을 통해 공동주택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수요자 측면에서 맞춤형 공동주택은 수요자의 다양한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공급자인 건설사입장에서는 현장 관리요소의 증가, 공기지연 증대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맞춤형 공동주택 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의 부족과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고객요구에 대한 업무대응 방안의 부재, 사업수행 경험부족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공동주택 프로젝트의 활성화를 위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낭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자문 및 설문을 통해 프로젝트 단계별 수행절차 및 주체를 분석하고 정의하였으며, 무다방법론을 통해 각 단계별 낭비요인을 도출하고, AHP를 통해 각 단계별 낭비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출결과 각 단계별로 발생되는 낭비요인 중 고객의 요구사항 및 수정에 의해 발생되는 설계변경 및 부적절한 프로세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사 프로젝트 수행시 발생되는 낭비요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공할 것이며, 불필요한 공기 단축 및 비용발생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수 (2009). "가변형 공동주택 개발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민형 (2007). "환경 변화와 건설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3. 김유신.오예근.김재준 (2004).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한 아파트 개발 사업 기획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제3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88-96
  4. 김정재.홍형균.김용수 (2003). "국내 맞춤주택(아파트) 수요자 요구사항에 대한 조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33-336
  5. 서혜정.윤춘섭 (2001). "변화대응형 도시집합주택에 관한 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1권 제2호
  6. 신성은.이성옥.김수암 (2008). "맞춤형 아파트의 계획 및 공급의 특성과 발전방향".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7. 장성수.서정렬.경신원 (2000). "소비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아파트 상품 개발 전략 연구". 한국주택산업연구원
  8. 한송이.최재규.김재준 (2003). "국내 맞춤형 아파트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권
  9. 홍형균 (2003). "소비자 중심의 맞춤형주택 요구분석 및 업체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Tomas L, Saaty (2005).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