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spectives on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by Improving Management Scheme for the Dangsan Forest in Singeum Village, Goheung-gun

고흥군 신금마을 당산숲의 관리 개선을 통한 농촌마을 활력 제고방안 고찰

  • Choi, Jai-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Dong 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Mi Heui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Ahn, Ok S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최재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김미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안옥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3.05.10
  • Accepted : 2013.06.05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condition of the Singeum village's Dangsan forest, and to seek the revitalization of rural village by improving management scheme. The Dangsan forest in Singeum-ri, Goheung-gun was composed of a Dangsan forest and a Bibo forest. The Dangsan forest wa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 362, and named 'Evergreen forest of Bongnae-myeon, Goheung'. The Dangsan forest area has been disturbed by the building of student training center. Even the local resident couldn't enter the forest due to the fence at the forest boundary except for Dangsan ritual which used to be serviced once a year. The Bibo forest was included in a beach area, and disturbed by lack of management. The Dangsan forest did not stay in good condition with various problems, such as wrong naming as a natural monument and misuse. The driving force of the Dangsan forest maintaining the beauty for several hundred years originated from the conservation of the forest with Dangsan ritual by local residents. Today, the Dangsan forest is in danger of being vanished and not regarded any more as a holy place due to inaccessibility for Dangsan ritual. The Dangsan forest in Singeum village needs to enhance its value as a tradition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improving the management scheme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village.

이 연구는 고흥군 신금마을 당산숲의 특성,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관리 개선방안 고찰을 통해 농촌마을 활력을 제고하고자 한 것이다. 해안가마을인 신금리의 당산숲은 비보숲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당산숲+비보숲' 유형을 갖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62호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으로 지정되어 있는 당산숲 안에는 학생수련장 건물이 들어서면서 훼손되고, 둘레에 철책이 설치되면서 마을주민들 조차 출입이 금지되어 1년에 한번 당산제를 지낼 때에만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비보숲은 나로도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면서, 관리 부재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등 천연기념물로서 당산숲의 명칭, 이용행태에서 많은 문제점과 함께 올바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신금마을의 당산숲이 현재까지 수백 년간 그 아름다움을 유지해 온 원동력은 당산제 등을 통해 마을주민들이 지키고 보호해 왔기 때문이다. 현재 마을이장 홀로 당산제를 지내며 마을 성지(聖地)로서의 위상이 소멸될 위험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신금마을 당산숲은, 전통문화경관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관리 문제 개선을 통해 마을의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2. 김종원, 임정철. (2007). 전통 마을숲과 식물사회학.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 총서20 마을숲과 참살이 (pp.133-188). 계명대학교 출판부.
  3. 김학범, 장동수. (1994). 마을숲 : 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서울: 열화당.
  4. 김학범. (2010). 자연유산 식물의 지속가능한 보존과 활용 : 마을숲을 대상으로.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식물 보존.관리 개선 워크숍 (pp.123-139).
  5. 김효정. (2012),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1), 492-501.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492
  6. 남연화, 윤영활. (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7. 농림부. (2004). 농업. 농촌종합대책.
  8.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2011. 12. 23일자). 농촌다움 제고를 위한 五感경관 만들기.
  9.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2012. 1. 19일자). 농어촌 고유의 자원을 살려 색깔 있는 마을 만든다.
  10. 농촌진흥청. (2011). 올바른 당산숲 활용 지침. 농촌진흥청 영농활용 자료.
  11.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13). 당산숲 탐방길.
  12. 문화재청. (2005).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II : 전라남도 도서지역.
  13. 박재철. (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14. 윤영활,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 (1998). 강원도 동해안지역 정주지 구성요소로서 풍숲(風藪)의 경관과 그 효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59-81.
  15. 이선. (2010). 천연기념물 식물의 문화적 가치.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식물 보존. 관리 개선 워크숍 (pp.103-122).
  16. 이원열, 서호석, 이대섭, 조현제. (1992). 전통생활환경보전림의 실태 및 보존대책. 임업연구원보고서(pp.25-33).
  17. 이창석, 유영한. (2001). 한국의 문화경관, 그 실체,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가치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4(5), 323-332.
  18. 조도순. (2010). 수림지의 보전과 개선방안.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식물 보존. 관리 개선 워크숍 (pp.69-82).
  19. 주강현, 장정룡. (1993). 朝鮮땅 마을지킴이. 서울: 열화당.
  20. 최병택. (2010). 일제하 조선임야조사사업과 산림 정책. 서울: 푸른역사.
  21. 최원석. (2004).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한국의 전통생태학 (pp.76-103). 서울: 사이언스북스.
  22. 최재웅, 김동엽. (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23. 최재웅, 김동엽. (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24. 최재웅, 김동엽. (2006).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 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
  25. 최재웅, 김동엽.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지. 27(1), 35-47.
  26.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 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27. 최재웅. (2009).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문화재. 27(1), 188-209.
  28. 최재웅, 김동엽. (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 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29. http://www.cha.go.kr(문화재청 홈페이지).
  30.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베니스 헌장).
  31. http://cmsdata.iucn.org/downloads/pa_guidelines_016_sacred_natural_sites.pdf

Cited by

  1.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Scheme of Landscape Management for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 in Dangin-ri, Wando-gun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4.083
  2. 천연기념물 인식수준에 따른 자연에 대한 태도 차이 vol.29, pp.6, 2013, https://doi.org/10.13047/kjee.2015.29.6.959
  3. 농업유산으로서 남해군 물건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가치 제고방안 vol.23, pp.4,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6.23.4.0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