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isolated from leaves of pine (Pinus densiflora), nut pine (Pinus koraiensis), larch (Larix kaempferi) and khingan fir (Abies nephrolepsis) in Korea. In a seed bioassay, essential oils of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hibited the growth of rapeseed (Brassica napus) seedlings by 50% at 4,766, 1,865, $5,934{\mu}g\;ml^{-1}$, respectively, however, that of pine did not show any herbicidal effect. In a green house experiment, fall panicum, Southern crabgrass, sorghum, barnyardgrass, quackgrass, black nightshade, Indian jointvetch, velvet leaf, and Japanese morningglory were controlled in 24 hours by the foliar application of 10%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The treated plant parts showed burndown effect, however, new shoots appeared 3 days after treatment. Results of GC-MS analysis showed that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contained 16, 25, 25, and 16 compounds, respectively, with hydrocarbons, alcohols, ketones, and esters. The major compounds of the essential oils were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and ${\beta}$-phellandren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