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lications Representated in Korea's Traditional Sokgasan

한국 전통 석가산에 표상된 함의성

  • Choi, Woo-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ung-Jo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Firm LHYn) ;
  • Seo, Ok-H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ung-Hwa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Korea's traditional Sokgasans(a artificial rock mountain) are elements of our excellent rock garden culture that have been inherited from Goryeo Era to Chosun Era.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ulture of Sokgasans in the Goryeo and the Chosun Eras has been has been representated the implications and inherited in terms of historical aspects. Korea's traditional Sokgasans, which were created in the Goryeo Era by imitating the landscape of mountain ranges, created a small artificial mountain made of oddly shaped stones, imitating a real mountain. People in those days would reproduce mountain landscapes through a miniaturization technique, enjoying the pleasure of deep mountains and valleys as they lay on their gardens at home while having an aesthetic experience of the landscape that supported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healing. The inner side of these Sokgasan was intended to represent the world of the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in terms of utopia, expressing 5 Ak mountains(Song Shan, Taishan, Huashan, Heng Shan and Hyeong Shan) where the mountain of 3 Gods(Youngju, Bongrae and Bangjang) wishing for 'No aging and living long' and idea of the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re concentrated beyond the beauty of form in the landscape itself. In addition, people could refine their minds by practicing the Confucianist lesson of loving the mountain and water by watching the Sokgasan and imitating 'Famous mountains and lakes" from China and they had been changed and advanced embracing various implications in inner side of Sokgasans. Korea's traditional Sokgasans not only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experience aesthetic landscapes as a practical element of the scenery but also had deep symbolic implications that go beyond their formal beauty and were sublimated as an ideational space of unlimited imagination.

한국의 전통 석가산(石假山)은 고려시대 창안되어 조선시대로 계승된 우리의 우수한 석정문화(石庭文化)이다. 이 연구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석가산 문화가 시대 흐름에 따라 석가산 내면에 어떠한 함의성(含意性)을 표상하며 계승되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고려시대 산악형 풍경을 모사해 창안한 한국의 전통 석가산은 괴석을 소재로 진산(眞山)을 모사한 작은 인공가산(人工假山)을 만들었다. 그리고 산수풍경을 축경적(縮景的)으로 재현하고 심산유곡의 흥취를 집안에서 와유(臥遊)하며, 풍류를 즐기는 동시에 정서적 안정과 치유라는 실용적 측면의 경물(景物)로서의 심미적 풍경의 산수체험을 석가산을 통해 경험하였다. 이러한 석가산은 내향적으로는 경물 자체의 형식미를 초월하며 불로장생을 염원하는 삼신산(영주, 봉래, 방장)과 도교적 신선사상이 응축된 오악(숭산, 태산, 화산, 항산, 형산)을 표상하며, 신선계(神仙界)를 이상향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석가산을 대하며 유교의 요산요수(樂山樂水)의 교훈을 실천해 심성을 가다듬고, 중국의 명산명호(名山名湖)를 모방하는 등 석가산 내면에 다양한 함의성을 포용하며 변천, 발달하였다. 한국의 전통 석가산은 심미적 풍경의 산수체험은 물론 실용적 경물로서의 형식미를 초월하며, 석가산의 심오한 상징적 함의성을 표상하여 무한한 상상의 관념적 공간으로 승화시켰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안. 이병훈 역(2005). 양화소록. 을유문화사. pp.141-142.
  2. 국립중앙도서관(간사년미상). 백포집(영인본). 채무 저. 古3648-80-30.
  3. 국립중앙도서관(간사년미상). 약산만고. 오광운 저 한古朝46-가1297.
  4. 국립중앙도서관(간사년미상). 육우당유고. 이하진 저. 성호古3648-62-915.
  5. 국립중앙도서관(간사년미상). 지천집, 황정욱 저. 한古朝46-가44.
  6. 도광순(1994). 신선사상과 도교. 범우사.
  7. 문헌편찬위원회(1960). 정다산전서(영인본) 정약용 저.
  8. 민족문화추진회(1992). 경와집. 김휴 저. 한국문집총간.
  9. 민족문화추진회(1994). 구당집(영인본). 박장원 저. 한국문집총간.
  10. 민족문화추진회(1998). 관양집(영인본). 이광덕 저. 한국문집총간.
  11. 민족문화추진회(1997). 나재집(영인본). 채수 저. 한국문집총간.
  12. 민족문화추진회(1983). 다산시문집(영인본). 정약용 저. 한국문집총간.
  13. 민족문화추진회(2006). 동국이상국집(신편 국역). 이규보저. 한국문집 총간.
  14. 민족문화추진회(1976), 동문선(국역). 김연 저. 청연각기. 한국문집총간.
  15. 민족문화추진회(1989). 사가집(영인본). 서거정 저. 한국문집총간.
  16. 민족문화추진회(1989). 사숙재집(영인본). 강희맹 저. 한국문집총간.
  17. 민족문화추진회(1989). 삼탄집(영인본) 이승소 저. 한국문집총간.
  18. 민족문화추진회(1989). 식우집(영인본). 김수온 저. 한국문집총간.
  19. 민족문화추진회(1989). 점필재집(영인본). 김종직 저. 한국문집총간.
  20. 민족문화추진회(1989). 허백당집(영인본). 성현 저. 한국문집총간
  21. 박경자(2001).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문화재 제 14호: 61-79. 국립문화재연구소.
  22. 박경자(2008). 조선시대 석가산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23. 보경문화사(1983). 임원경제지(영인본). 서유구 저. 보경문화사
  24. 북한과학원(1998). 고려사(북역). http://www.krpia.co.kr/pcontent/?svcid=KR&proid=1
  25. 아세아문화사(1976). 용재집(영인본). 이행 저. 아세아문화사.
  26. 유교경전번역총서 편찬위원회(2005). 논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7.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8. 윤국병(1982). 문수원 정원의 시대적 배경. 한국정원학회지. 1(1): 77-83.
  29. 윤영조, 최우영, 김용현, 윤영활(2010). 전통 석가산의 구조적 형상과 재현에 관한 연구. 조형예술논문집 4집. 강원대학교 조형예술연구소.
  30. 윤영조, 윤영활(2010). 한국 전통석가산의 유형과 역사적 변천. 한국조경학회지. 38(3): 83-97.
  31. 윤영조, 윤영활(2012).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 조명된 상징성과 형태적 구현.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 159-169.
  32. 윤영활(2009). 고려시대 석가산의 시원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0-18.
  33. 이은창(1983). 조선시대 별서연구-우규동의 소한정을 중심으로.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27(1): 217-261.
  34. 이종묵(2004). 조선시대 와유 문화 연구. 진단학보 제98호: 91.
  35. 이종묵(2005).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집안으로 끌어들인 산수. 서울: 소명출판사. pp.387-497.
  36. 이현국(2011). 중국 국가급풍경명승구총람. 도서출판 황매희.
  37. 전인초(2008). 오악의 신화전설.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과학 제88집: 25.
  38. 정동오(1990) 동양조경문화사. 전남대학교 출판부.
  39. 정재훈(2005) 한국전통조경. 서울: 도서출판 조경.
  40. 한국정신문화원(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2. 웅진출판사.
  41. http://blog.daum.net/han0114/7970407
  42. http://blog.naver.com/ama217/91422793
  43. http://jianceren.cn/news/201001/22-635.html
  44. http://jingguan.yuanlin.com/marsh/2008-3-21/7911.html
  45. http://korean.cri.cn/1760/2009/12/02/1s153486.htm
  46. http://ko.wikipedia.org
  47. http://www.nipic.com/show/1/27/5285335k34e44380.html
  48. http://www.nipic.com/show/1/62/4180024k886f9d0d.html
  49. http://www.trip118.com/jingdian/huadong/238.html
  50. hppt://tupian.baike.com/a4_77_18_01300000165495122008181838680_jpg.html
  51. http://tupian.baike.com/s/%E5%BA%90%E5%B1%B1/xgtupian/1/1?target=a1_15_91_01300000374846124401913404684.jpg
  52. http://tour.cthy.com/scenic_simple_97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