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miotic In-depth Analysis of the Children's Picture Book : "Who Pooped on My Head?"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의 심층의미 분석 - Greimas기호학을 중심으로 -

  • 장성단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이주리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picture book "Who Pooped on my Head?" by using semiotic theories and considered involved meaning of the text. Becau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picture book should be in harmon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ext in-depth.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ext help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tains the meaning and value that guides children into social value or norm. Analyzing the text by using Greimas' Semiotic square, the meaning that following bowel movement standard is socially established behavior was involved. It seems that giving up instinct and accepting standard are process to extend though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aning and value that support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was contained in the picture book, "Who Pooped on my Head?".

본 연구는 Greimas 기호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에 내포된 심층의미를 분석한 후 텍스트에서 생성된 의미가 아동발달과 연관성이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텍스트에 내재된 심층의미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 인정된 배변규범이 전제되었으며, 배변규범을 준수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갈등과 불안과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의미생성과정인 기호작용과 인지발달이 유사한 맥락이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기호사각형 모델을 적용하여 그림책의 의미생성과정을 분석하였을 때 사고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Piaget의 인지발달 주요개념인 도식, 동화, 조절이라는 의미와 같은 맥락이라 보았다. 따라서 연구 텍스트는 배변과 관련하여 심리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에서 아동의 발달과 연관성이 있는 내용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영(1990). Locke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공현희(2010). TV 공익광고의 기호학적 연구 -그레마스의 의미생성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학술지-일러스트레이션 포럼, 25, 18-26.
  3. 김경용(199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4. 김성도(2002). 구조에서 감성으로-그레마스의 기호학 및 일반 의미론의 연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5. 김 석(2010). 프로이트 & 라캉 무의식에로의 초대. 파주: 김영사.
  6. 김은하(2003). 1990년대 한국 아동문학 장의 지배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경, 김수정(2009). 아파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의미 연구 -Greimas의 구조주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 연구, 10(2), 113-122.
  8. 김원숙(1998). 그림책에 나타난 인식의 과정.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정원, 서정숙, 김유정, 남규(2008).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이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9), 71-85.
  10. 김태환(2001).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 수용의 문제점: 발신자/수신자 개념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화권연구, 10(1), 104-118.
  11. 구희정(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유아교육학 논집, 14(3), 271-291.
  12. 노희연(2008). 배변훈련을 통해 본 영아의 분리와 전이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2(1), 289-317.
  13. 박명진(1995).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기호학연구, 1(1), 151-168.
  14. 박미정, 김영주, 송연숙(2009).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73-88.
  15. 박찬옥, 신혜선(2005). 유아 그림책 강아지 똥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아형성 과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93-213.
  16. 백선기(2007).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7. 서정숙(2000).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양상과 문제점. 어린이 문학교육, 창간호, 99-113.
  18. 서정숙(2001). 유아 문학교육내용과 교수계획에 대한 논의.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2), 21-39.
  19. 서정숙, 김정원, 남 규(2006). 그림책 중심의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학적 능력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6), 103-127.
  20. 서정철(1992). 그레마스의 기호학 사각형. 외국어교육연구논집, 8, 103-112.
  21. 서현아, 김소연(2002).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33.
  22. 송명희, 김민진(2010). 그림책 읽기 후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2), 83-113.
  23. 송미선, 서정숙(2012).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그림책 관련 논문의 경향 분석.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3(1), 1-17.
  24. 송주진, 전일우(2006).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5(2), 1-21.
  25. 신혜선(2005). 유아 그림책 강아지 똥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아형성과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193-213.
  26. 신혜선(2006a). 유아 그림책 누가 내 머리에 똥쌌어?의 기호학적 분석. 유아교육연구, 26(6), 199-224..
  27. 신혜선(2006b). 유아 그림책의 기호학적 구조분석을 통한 교육적 이해 -그림책 무지개 물고기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5), 147-171.
  28. 신혜선(2009).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의사소통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271-290.
  29. 양진희, 박 윤 (2009). 또래관계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적 활동이 비인기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 123-152.
  30. 우정민 (2009). 아동문학과 새로운 현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피터의 기묘한 몽상, 영미문화, 9(2), 1- 31.
  31. 유영의, 곽정인(2012). 유아문학 연구의 동향분석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1982-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107-130.
  32. 이무석(2006).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서울: 이유.
  33. 이병용(2007). 옛이야기 그림책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연옥(2004). 독서의 사교육화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5(3), 41-63.
  35. 이지영, 이방실(2006). 그림책에 나타난 옛이야기 내용분석 : 베텔하임의 정신분석적 가치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40, 45-75.
  36. 이희원 (2004). 보편서사구조와 행위의 특수화. 기호학연구, 15, 411-437.
  37. 임진수 (2010). 위상학적 정신분석. 서울: 파워북.
  38. 이상금, 장영희(2007). 유아문학론. 서울: 교문사.
  39. 장휘숙(2001). 아동발달. 서울: 박영사.
  40. 정옥분(2012).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41. 조창연(2004). 인지생성과 기호생성의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삐아제의 발생학적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 기호학연구, 15, 273-300.
  42. 지연주, 최나(2012).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6), 5-28.
  43. 최형주, 김영주(2008). 그림책을 활용한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4(2), 156-179.
  44. Bettelheim, B.(2002). The uses of enchantment, 옛 이야기의 매력1(김옥순, 주옥 옮김). 서울 : 시공사(원판 1975).
  45. Evans, D.(2004).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 psychoanalysis. 라깡 정신분석 사전(김종주 외 역). 서울: 인간사랑(원본발간일 1996).
  46. Nodelman, P.(2001).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김서정 옮김). 서울: 시공사(원판1991).
  47. Wittmer, Donna. Petersen, Sandra H.(2012)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영아 발달과 반응적 교육 -관계중심접근법- (이승연, 김은영, 강재희, 문혜련, 이성희 옮김). 서울 : 학지사(원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