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공영애(2008).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김민화, 신혜은(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 김병순(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상임(2011). 소그룹 협동놀이를 통한 사회성 훈련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설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긍정적 정서 향상을 위한 협동미술활동 적용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신영(2009). 협동조형활동을 통한 다문화 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영혜(2005).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 김현경(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혜영(2010).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희태, 권영덕(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 나희주(1998). 미술 공동작업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미경, 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 박민아(2007).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순자(2010).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방소영(2011).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방소영, 황혜정(2011).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수용, 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7), 51-66.
- 보건복지부(2012). 제2차 표준보육과정 고시. 서울 : 보건복지부.
- 서문희, 양미선, 조혜주, 정은미(2011).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 및 지원 실태와 요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손환호(2010).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성 신장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송선진(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32(3), 61-83.
- 유수영(2009). 유아미술교육에서 재료 선택의 의미.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유승애(2009). 4, 5, 6세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실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육아정책연구소(2012). 5세 누리과정 자료집.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 이 륜 (2011).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차이와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설희(2011).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숙영(1994). 공동작업의 경험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정아(2011).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중국 출신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어휘력, 이야기 이해, 이야기 산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임지애(2000).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장영아(2006). 친사회적 행동신장을 위한 효율적 미술 협동작업의 방법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장영은(2006). 미술활동을 통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장혜경(2010). 그림책 읽기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정선아(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정책에 대한 연구 -유아 삶과 보장의 관점에서-. 유아교육연구, 29(1), 253-272.
- 정연주(2011).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선연(1995). 조형놀이를 통합 협동작업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은진(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비판적 문헌고찰과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7(4), 181-202.
- 차명선(2010). 오르프 음악활동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채영란, 지성애(2010). 동화를 활용한 토의 미술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3), 317-336.
- 천숙향(2009). 다문화 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와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통계청(2011). 다문화인구동태통계. 대전 :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 한상미(2002). 협동미술작업에서 공유되는 유아들의 상상력과 즐거움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행정안전부(2011). 2011년 외국인주민 현황. 서울 : 선진화담당관실.
- 황상심(2009). 다문화가정아동의 5세 전 후 집단 간 언어발달특성 비교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0(3), 265-281.
-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1), 1-103.
- Bierman, K. L., Torres, M. M., Domitrovich, C. E., welsh, J. A., & Gest, S. D. (2009). Behavioral and Cognitive Readiness for School: Cross-domain associations for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Social Development, 18(2), 305-323.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8.00490.x
- Eisenberg, N. (1982).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Y: Academic Press.
- Eisenberg, N., Fabes, R. A., & Spinrad, T. L. (2006). Prosocial development. In W. Damon & R.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647-702). NJ: John Wiley & Sons.
- Eisenberg, N., Guthrie, I. K., Murphy, B. C., Shepard, S. A., Cumberland, A., & Carlo, G. (1999). Consistency and development of prosocial dispositions: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0(6), 1360-1372. https://doi.org/10.1111/1467-8624.00100
- Leeper, S. H., Skipper, D. S. & Witherspoon, R. L. (1979). Good schools for young children. NY: Macmillan.
- Mayesky, M. (1995).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Y: Delmar.
- Miles, S. B., & Stipek, D. (2006). Contemporaneous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social behavior and literacy achievement in a sample of low-income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77(1), 103-117.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6.00859.x
- Walster, E., & Piliavin, J. A. (1972). Equity and the innocent bystander. Journal of Social Issues, 28(3), 165-189.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2.tb00038.x
- Weir, K., & Duveen, G. (1981). Furth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osocial behaviour questionnaire for use by teac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2(4), 357-37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1.tb0056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