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Programs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Focusing o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지원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art programs supporting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 art activities were planned. And the program was executed among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The young children in the program showed either positive attitudes or conflicts with their peer group at the beginning. As the program continued, young children were gradually harmonized, yielding to each other and were negotiating. During the last stage of the program,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demonstrated prosocial behaviors of sharing, helping,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hese kinds of results prove that the art programs are helpful in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among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Therefore, it appears that an educational institute in whic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taught would be able to support prosocial behavior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typical Korean families using this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지원하는 미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요구 조사 결과와 문헌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미술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활동 초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또래와 갈등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프로그램이 중기로 접어들면서 유아들은 서로 어울리고, 양보하고, 협상하기 시작하였고 프로그램 후기에는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 모두 나누고, 돕고, 협력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 다문화 가정 유아를 수용하고 있는 교육 기관에서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문화 유아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영애(2008).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김민화, 신혜은(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4. 김병순(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상임(2011). 소그룹 협동놀이를 통한 사회성 훈련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설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긍정적 정서 향상을 위한 협동미술활동 적용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신영(2009). 협동조형활동을 통한 다문화 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혜(2005).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영옥(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10. 김현경(2009).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혜영(2010).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희태, 권영덕(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3. 나희주(1998). 미술 공동작업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미경, 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5. 박민아(2007).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순자(2010).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방소영(2011).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방소영, 황혜정(2011).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수용, 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7), 51-66.
  19. 보건복지부(2012). 제2차 표준보육과정 고시. 서울 : 보건복지부.
  20. 서문희, 양미선, 조혜주, 정은미(2011). 다문화가족 자녀 양육 및 지원 실태와 요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1. 손환호(2010).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성 신장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송선진(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32(3), 61-83.
  24. 유수영(2009). 유아미술교육에서 재료 선택의 의미.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유승애(2009). 4, 5, 6세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실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육아정책연구소(2012). 5세 누리과정 자료집.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27. 이 륜 (2011).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도 차이와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설희(2011).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숙영(1994). 공동작업의 경험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정아(2011).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중국 출신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어휘력, 이야기 이해, 이야기 산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임지애(2000). 협동학습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장영아(2006). 친사회적 행동신장을 위한 효율적 미술 협동작업의 방법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장영은(2006). 미술활동을 통한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장혜경(2010). 그림책 읽기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정선아(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정책에 대한 연구 -유아 삶과 보장의 관점에서-. 유아교육연구, 29(1), 253-272.
  36. 정연주(2011).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조선연(1995). 조형놀이를 통합 협동작업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조은진(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비판적 문헌고찰과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7(4), 181-202.
  39. 차명선(2010). 오르프 음악활동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채영란, 지성애(2010). 동화를 활용한 토의 미술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3), 317-336.
  41. 천숙향(2009). 다문화 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와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통계청(2011). 다문화인구동태통계. 대전 :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43. 한상미(2002). 협동미술작업에서 공유되는 유아들의 상상력과 즐거움에 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행정안전부(2011). 2011년 외국인주민 현황. 서울 : 선진화담당관실.
  45. 황상심(2009). 다문화가정아동의 5세 전 후 집단 간 언어발달특성 비교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0(3), 265-281.
  46.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1), 1-103.
  47. Bierman, K. L., Torres, M. M., Domitrovich, C. E., welsh, J. A., & Gest, S. D. (2009). Behavioral and Cognitive Readiness for School: Cross-domain associations for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Social Development, 18(2), 305-323.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8.00490.x
  48. Eisenberg, N. (1982).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Y: Academic Press.
  49. Eisenberg, N., Fabes, R. A., & Spinrad, T. L. (2006). Prosocial development. In W. Damon & R.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647-702). NJ: John Wiley & Sons.
  50. Eisenberg, N., Guthrie, I. K., Murphy, B. C., Shepard, S. A., Cumberland, A., & Carlo, G. (1999). Consistency and development of prosocial dispositions: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0(6), 1360-1372. https://doi.org/10.1111/1467-8624.00100
  51. Leeper, S. H., Skipper, D. S. & Witherspoon, R. L. (1979). Good schools for young children. NY: Macmillan.
  52. Mayesky, M. (1995).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Y: Delmar.
  53. Miles, S. B., & Stipek, D. (2006). Contemporaneous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social behavior and literacy achievement in a sample of low-income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77(1), 103-117.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6.00859.x
  54. Walster, E., & Piliavin, J. A. (1972). Equity and the innocent bystander. Journal of Social Issues, 28(3), 165-189.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2.tb00038.x
  55. Weir, K., & Duveen, G. (1981). Furth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osocial behaviour questionnaire for use by teac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2(4), 357-37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1.tb0056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