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전후 청년 코호트의 노동경력 비교

The Change of Work Careers in Youth Cohort pre and post-the Economic Crisis-

  • 문혜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투고 : 2012.11.22
  • 심사 : 2013.01.21
  • 발행 : 2013.02.28

초록

외환위기 이후 청년실업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으나, 청년층의 노동시장 경험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경력을 단순한 일자리 이동과 달리 노동지위의 연속적 배열과 순서적이고 위계적인 변화과정으로 개념화하였으며, 배열분석을 활용하여 외환위기 전후 청년층의 노동경력을 노동지위의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이 장기화되고 고용형태와 사업장 규모 면에서 첫 일자리의 질적 저하가 발생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청년 코호트는 미취업형과 실업형, 비대기업형, 비정규직형 및 이동형 특성을 갖는 경력유형에 속할 상대적 위험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청년층의 고용불안정성이 더 커졌으며, 내부노동시장형에 비해 외부노동시장형 경력유형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early work career of youth cohort entering the labor market pre and post-the economic crisis and compare career pathway types of different cohorts. Labor market experiences of youth cohort were constructed by sequencing the number of organizations, kinds of jobs, the scale of the business, and type of employment. In addition, a holistic sequence was created by including complementary factors. In this sense, the labor market experience in this study was conceptualized as a process involving continuous sequences and hierarchical and orderly changes which differs from a simple job mobility. Sequence analysis involving Optimal Matching method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ch cohort-differences in labor market experiences were related to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career pathway typ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st-economic crisis cohort had a relatively higher likelihood of falling into the non-employment type, unemployment type, non-corporate employment type, irregular employment type, and mobile employment type.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employment precariousness of cohort has exacerbated after the economic cri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