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 투고 : 2012.11.29
  • 심사 : 2013.01.21
  • 발행 : 2013.02.28

초록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과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성공적 노화구성요소를 비교하고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 620명,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 3,460명으로 모두 4,080명으로 구성되었다.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는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 및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이 사용되었고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 건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교육수준, 심리적 건강이 높았다. 반면 질병 비율은 낮았고 직업활동, 노후생활비준비나 경제적 독립은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중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고 연령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노후연령으로 인식한 집단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도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 또한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활동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used the third wave of individual data of KReIs(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because the third wave of data only had the necessary variables which fit into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in 2010 using national random sampling. The target population was adults who are older than 65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4,080.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were compared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group (1): people who recognize they are not older adults(n=620); group (2): people who recognize they are older adults(n=3,460)). For comparison of each variable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t-test, chi-square test and ANCOVA were used depending on the types of variables. To test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used for each group. 1) Except for the number of leisure activities, older adults who recognized they were not old(group (1)) had a higher level of factors composing of successful aging than older adults who recognized they were old(group (2)). 2) For group (1), age did not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for group (2) age negatively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ing were more important than avoiding disease and disability. 4) For group (2), IADL affect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for group (1), IADL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5) For group(2), whether they had a job or not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different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