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Accomodation-lag using Monocular Estimation Method(MEM)

단안평가법(MEM)을 이용한 조절지체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3.10.20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accomodation is made to see near objects. This accomod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Difference also occurs accommodation of the theory and real. This is accomodative-lag. Depth of focus directly affects the accomodative-lag. Depth of focus is affected by the refractive power and the size of the pupil. Depth of focus becomes deeper as the size of the pupil is small, the refractive power is increased. The accomodative-lag occur more as depth of focus is deep. In this paper, a study was made of the relationship of the accomodative-lag and refractive power. A Monocular Estimation Method(MEM) use for measuring the accomodative-lag. Results were measured by MEM, it tended to increase the refractive power so as to increase the accodative-lag. The accomodative-lag amount was measured at 0.51D. Men were measured at 0.52D, women were measured at 0.49D. The accomodative-lag by gender tended also increases the amount of refractive power increases.

가까운 물체를 보기 위해서 조절이 일어난다. 이 조절은 개인마다 다른 특징이 있다. 이론적 조절력과 실제 조절력도 차이가 생긴다. 이를 조절지체라 한다. 조절지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초점심도이다. 초점심도는 동공크기와 굴절력에 영향을 받는다. 동공크기가 작을수록, 굴절력이 높을수록 초점심도가 깊어지게 된다. 초점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조절지체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굴절력과 조절지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조절지체를 측정하기 위해서 단안평가법을 이용하였다. 단연평가법으로 측정한 결과 조절지체는 굴절력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 조절 지체량은 0.51D로 측정되었다. 남성은 0.52D, 여성은 0.49D로 측정되었다. 성별에 따른 조절지체량도 굴절력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