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 동관왕묘(東關王廟)의 공간구성 및 원형경관 해석

Studies o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Prototype Landscape of Donggwanwangmyo Shrine in Seoul

  • 투고 : 2013.07.30
  • 심사 : 2013.11.14
  • 발행 : 2013.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동관왕묘를 대상으로 문헌의 발굴 및 고증 그리고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동관왕묘의 공간구성 및 원형경관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의 집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관왕묘는 중국의 영향을 받은 유적으로, 기본적인 배치는 주요 건물들이 남북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둘째, 중국 양식과 특색은 정전과 중문 등에서 나타났으며 각 공간에서 왕권을 상징하는 요소를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공간구성은 진입영역, 의례영역으로 구분된다. 진입영역의 경우, 평소에는 수직하는 관원들의 관리적 성격이 강했으며, 제례 시에는 제례 준비공간으로 이용되었다. 넷째, 현재 동관왕묘는 70년대 공원화 사업으로 인해 원형경관이 훼손되어 있었다. 동관왕묘의 원형복원을 위해서는 사적지에 적합하지 않은 식생의 경우 대부분이 교체되어야 할 것이며, 사료에 나타난 취병, 연지, 점경물 등 다양한 경관요소들이 복원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재의 동관왕묘는 제례공간으로서의 엄숙한 분위기를 찾아볼 수 없는바, 사당으로서의 경건한 분위기를 되찾을 수 있는 정비가 요구되며, 문화재 관리적 측면에서 '사적'으로 재분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각에서 동관왕묘를 사대주의의 산물이라 비판하는 의견이 있으나, 당시 조선역사의 한 부분이자 시대성이 반영된 조영물이므로, 차후 한 중 교류의 상징적인 유적으로 정비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prototype landscape through literature reviews, historical evidences, and field surveys for Donggwanwangmyo(東關王廟) shrine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basic layout of the main buildings in Donggwanwangmyo which is the remains influenced by China had bilateral symmetry on the central axi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econd, the Chinese forms and features were found at Jeong-jeon and middle gate in Donggwanwangmyo, and the symbolic elements of royal authority was also found in each space of Donggwanwangmyo. Third, spatial organization was classified as the entrance and the ritual area, and the entrance area was maintained by administrators and was used as the place of ritual ceremony preparation. Fourth, the original form of Donggwanwangmyo had been damaged due to the project for making urban park in the 1970s. The most of the existing trees and shrubs which are not suitable to the shrine should be removed to recover the original landscape of Donggwanwangmyo and chui-byoung(翠屛), pond, landscape facilities also needed to be restored. Fifth, Donggwanwangmyo needed to reorganize the pious atmosphere to recover of the shrine environment, and needed to be reclassified as historical site. Finally, some criticizes that Donggwanwangmyo is the result of Toadyism, but Donggwanwangmyo can be used as the valuable tourism resource through the awareness that Donggwanwangmyo was built under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and organization and understanding that Donggwanwangmyo is a symbolic remains for the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2004). 동묘의 건축.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 김두규(2000). 조선 풍수학인의 생애와 논쟁. 서울: 궁리.
  3. 김명자(2005). 안동의 관왕묘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동향. 한국민속학. 42(1): 75-104.
  4. 김영모, 이선, 진상철, 정종수(2004). 화성 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 한 고증과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39-53.
  5. 김윤수(2008). 高宗時代의 鸞壇道敎. 동양철학. 30: 57-102.
  6. 경향신문. 1969. 7. 19. 5면.
  7. 동아일보. 2013. 10. 28. 23면.
  8. 박정해(2012). 동관왕묘 입지의 풍수 분석. 아시아문화연구. 26: 273-299.
  9. 박한남, 양수지, 조원래, 김대길, 이기남, 조준호, 정만조, 배성, 김학수, 이민원, 박민영, 문숙자, 이종길, 김해영, 심승구, 신명호, 이근호(2003).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서울: 집문당.
  10. 불교문화재연구소(2010). 서울 동묘 정비사업 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서울: 불교문화재연구소.
  11.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2012). 국역 경성부사 제1권. 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2.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2011). 1901년 체코인 브라즈의 서울 방문.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13. 손숙경(2003). 19세기 후반 관왕 숭배의 확산과 관왕묘 제례의 주도권을 둘러싼 동래 지역사회의 동향. 고문서연구. 23: 211-241.
  14. 유본예 저, 권태익 역(1974). 한경지략. 서울: 탐구당.
  15. 유현(2006). 고종시대 관왕숭배의 확산과 국왕의 정치적 태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미(2012). 동관왕묘 정전의 건축특징과 중국건축과의 관계. 향토서울. 81: 206-245.
  17. 이경선(1974). 관우신앙에 관한 고찰. 한양대학교 논문집. 8: 11-65.
  18. 이태호(1995). 서울의 옛 모습. 서울: 서울학연구소.
  19. 장경희(2013). 동관왕묘(東關王廟)의 조각상 연구. 문화재. 46(3): 94-112.
  20. 장장식(2004). 서울 관왕묘 건치와 관우신앙의 양상. 민속학연구. 14: 403-440.
  21. 장지연(2008). 조선 후기 도성도를 통해 본 단묘 인식. 조선시대사학보. 45: 263-300.
  22. 장지연(2009). 권력관계의 변화에 따른 동교 단묘의 의미 변화-근대 선농단과 동관왕묘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6: 39-76.
  23. 정우진, 심우경(2013).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인쇄중).
  24. 종로구청(2011). 동관왕묘 종합정비계획. 서울: 종로구청.
  25. 한국전통조경학회(2011).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대가.
  26. 허승(1992). 동묘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홍순민(2009). 서울풍광. 파주: 청년사.
  28. Emil Bourdaret(1904). En Coree, 정진국(역).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파주: 글항아리, 2009.
  29. http://db.itkc.or.kr(한국고전종합DB)
  30. http://map.daum.net(다음지도)
  31. http://search.i815.or.kr/Main/Main.jsp(한국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
  32. http://sillok.history.go.kr(조선왕조실록)
  33.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20125000199 (아주경제, 걸어서 삼국지 기행 31)
  34. http://www.cyworld.com/angayo(문화유산에게 소심하게 말걸기)